콜라 페트병을 열다가
24.01.31
·
조회 342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콜라의 병뚜껑을 빠르게. 매우빠르게 열고 닫으면
콜라 안의 탄산은
거의 열고 있는것과 다름없어서 탄산이 많이 빠질까요?
아니면
거의 닫고 있는것과 다름없어서 탄산이 거의 빠지지않는것입니까?
댓글
시카고노동자
24.01.31
페트병은 꽉 닫혀 있어도 두면 탄산 빠집니다
정제탄수붕어
24.01.31
페트병안과 밖의 압력 차이가 커서 여는 즉시 압력이 작은(밖) 쪽으로 탄산이 빠져나오기 때문에 뚜껑을 빠르게 여닫는거는 큰 변수가 아닌것 같습니다!
cg49zh
24.01.31
질문의 요지가 잘못된것같아 다시 수정합니다.
뚜겅을 여는 순간 많은 양의 탄산이 날아가고.
남아 있는 탄산을 전제로 여쭤봅니다.
뚜껑을 열고 충분히 탄산을 날아가게 한 후
남아 있는 적은 탄산도 뚜껑을 막은것과 막지않은것과는 날아가는 양이 차이가 있잖아요?
그때 뚜껑을 빠르게 열고 닫으면
이것은 열고 있는 상태와 다름없는건지 닫고 있는 상태와 다름없는건지
궁금합니다
Fortaleza
24.02.01
닫고 있는 상태와 다름 없다는게 무슨 뜻잌지는 잘 모르겠지만.. 닫혀있는게 열려있는 것보다 좀 더 느리게 탄산이 빠집니다.
sqdybx
24.02.04
콜라의 탄산함유량은 결국 페트병속의 탄산이 얼마나 많이 들어있느냐(탄산기체의 수), 그 탄산이 얼마나 콜라에 녹아있느냐(온도, 압력)로 결정됩니다.
페트병 안은 약간 높은 압력, 뚜껑 안쪽은 진공, 바깥쪽은 매우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기체분자는 뚜껑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일 겁니다.
1. 그냥 매우 빠른 속도
압력차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뚜껑 안쪽으로 유입되고 결국 이 페트병 안의 기체와 밖의 공기가 교환이 됩니다.
빠른 속도로 움직임에 따른 열량공급도 콜라가 가지는 탄산의 양을 줄이는 요인이 됩니다.
2. 빛에 가까운 속도
압력차가 아무리 많이 난다 해도 빛의 속도를 따라올 수는 없습니다. 압력이 전달되기도 전에 닫힐겁니다. 따라서 뚜껑을 닫아놓는것과 다름이 없습니다.(정확히 같은 경로로 여닫을 때)
빛의 속도로 움직이면서 생긴 열에 의해 페트병 자체가 녹아버리거나 콜라가 증기가 되어버리지 않는다면 말이죠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우주의 중심은 어디인가요?
3
현재글
콜라 페트병을 열다가
5
마찰대전
1
거짓말의 과학 풀영상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1
기어 100개?!?
1
등산중 발견한 이상한 식물
4
겨울철 나무
1
의문: 산업혁명 시기의 백인 당뇨병은 체질 변화에 유의미한 사망률을 냈을까?
6
잠에 대한 것이 궁금해요
7
(과학?) 회원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18
구기도님 새프로그램 하나 하시네요.
6
갤s24 사시 분들 궤도캐릭터 에디션은 어떠신가요?
1
합성인줄..
1
궤도 + 우츄키
1
궤도님 전형태T 닮으시지 않았나요 ??
2
강심장 제목 어그로 너무 웃김 ㅋㅋㅋㅋㅋ
4
유준호님 유튜브 영상에 궤도님 목소리 출연 ㅋㅋㅋㅋㅋㅋ
16
덜지니어스 궤도님 편도 무쳤네요
5
강심장 나오신거 지금하네요
1
찾아보면 나올 것 같지만 빛의 속도 질문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