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잊혀진 성군, 고려 현종 5화 [두 번 도망치지는 않겠다.]

참칭맨
23.07.01
·
조회 3341
출처 : 사진들은 되도록 개인 저작물이 아닌 사극이나 다큐멘터리 방영분 갈무리에서 가져왔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방장님, 큰 힘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편은 하이라이트라서 이전 편보다 분량이 많네요..

스압 죄송합니다..

 

[1편. 늙은 신하의 고집]

 

[2편. 근친혼으로 태어난 사생아]

 

[3편. 왕에게서 날아온 편지]

 

[4편. 힘 없는 왕의 몽진]

 

 

5편. 두 번 도망치지는 않겠다.

 

 

슬퍼할 시간도 없었다.

하공진양규의 죽음으로

고려는 겨우 한숨 돌렸으나

현종은 거란의 요구에 

전혀 응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거란의 황제 성종은 겨우 체면을 지켜냈지만

자칫 압록강에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다.

황제는 순간 등골이 서늘하였다.

 

황제는 두 차례에 걸쳐 고려에 사신을 보내

고려왕의 입조(직접 오라는 뜻)를 요구하였다.

고려는 두 차례 모두 왕의 건강을 이유로 응하지 않았다.

황제의 노여움이 온 황궁에 진동했다.

 

 

황제의 사위 소배압에게는 형이 있었다.

그는 형의 최후를 기억한다.

그의 형은 일찍이 고려 원정에 나섰고

그들의 항복을 받아 돌아왔다.

그는 형의 그 당당한 모습을 기억한다.

 

그러나 그 공적에 취한 형은

추태를 부리다 결국 황실의 노여움을 사

처형당했다.

 

소배압은 형 소손녕의 최후를 기억한다.

 

그에게 강동 6주는 필히 돌려받아야 하는 땅이다.

 

 

거란이 물러간 후 약 7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 동안 현종은 평야에 위치한 개성의 둘레에

굳건한 성벽을 축조하고 송악산에도 산성을 올렸다.

전쟁으로 가족을 잃은 백성들을 구휼하고

정규군의 수를 대폭 늘렸다.

 

또한 비참했던 몽진의 경험을 토대로

지방의 제도 개혁에 박차를 가했다.

 

잿더미 위에서의 초라한 다짐이

점차 현실화 되어 가고 있었다.

 

그러는 한 편,

그가 두 번이나 거란의 요구를 거부함으로서

또 다시 그들이 몰려 올 것은 분명했다.

 

현종은 다가올 침입에 대비하여

서북면을 담당할 총사령관을 올려보낸다.

일흔의 나이를 넘긴 강감찬이었다.

 

 

<강감찬 동상>

 

1018년 겨울, 소배압이 이끄는 거란의 정예 10만 대군

압록강을 건넌다.

 

흥화진에서 출병하여 매복한 강감찬군은

압록강을 건너는 거란군을 공격하여 격파하였다.

7년 전 흥화진의 신화를 이어나가는 승전이었다.

 

그러나 소배압의 거란군은 이에 흔들리지 않았다.

그들은 기마군의 장점을 살려

곧바로 개경을 향해 진격했다.

 

고려의 주력군을 피해 곧장 개경으로 내달리니

현종은 또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개경의 주둔 병력은 현저히 부족했기 때문이다.

 

 

앞서 강감찬은 적이 곧장 개경으로 진격할 것을 대비해

길목 곳곳에 미리 별동대를 배치해뒀었다.

고려의 별동대는 적의 행군을

지옥의 행군으로 탈바꿈시켰다.

 

거란의 병졸들은 극도의 공포에 시달렸다.

앞서갔던 부대가 도륙된 시신으로 발견되거나,

식량 보급을 담당한 후방 부대가 오지않아

길을 돌아가보니 식량은 이미 사라져있고

처참히 살해된 시신만이 즐비했다.

 

정신적 고통과 굶주림 속에서도

소배압의 군대는 개경으로 행군을 이어나갔다.

거듭된 고려 별동대의 훼방에도 불구하고

거란의 정예군은 기어코 개경 코 앞에 당도했다.

 

 

강감찬은 개경을 구원하기 위해

휘하 장수 김종현에게 1만의 기병을 이끌게 하고

빠른 시일 내로 개경을 구원할 것을 명한다.

 

추가로 동북면의 정예 병사 3천 3백을 개경으로

보낼 것을 명하는데

동북면의 병사들은 호랑이 사냥 등 수렵을 업으로 하는

당대 최정예 병사들이었다.

 

개경을 향한 거란과 고려의

한반도 역사상 가장 긴박한 추격전이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소배압과 거란군은 추위와 굶주림, 공포를 이겨내며

개경에 당도했다.

지난 원정으로 미루어보아

이번에도 개경만 함락시키면 모든 게 해결될 것이란

믿음에서였을까.

 

 

개경의 신료들은 또 다시 혼란에 빠졌다.

7년간의 요새화 과정이 있었다고 해도

절대적인 수비 병력이 부족한 상황.

예상과는 달리 여전히 상당한 규모를 유지한 채

진격해온 거란군을 상대할 마땅한 대책이 없었다.

 

신하들은 현종의 결정만을 기다렸다.

현종은 침묵을 깨고 말했다.

“인근의 백성들을 성 안으로 들이고, 성문을 굳게 닫으라.”

 

그것은 두 번은 도망치지 않겠노라는 일종의 선언이었다.

 

지난 침략의 상처가 아물지 않았던 개경의 백성들은

왕이 남아 함께하기로 했다는

예기치 못한 소식에 사기가 한껏 올랐다.

 

삶의 터전에 들이닥칠 위협 앞에선

귀천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것.

개성의 모든 이들이 하나가 되어 적을 대비했다.

 

현종은 기어코 만백성과 함께 죽음을 각오하였던 것이다.

 

 

소배압과 거란군은 당황했다.

이전의 개성과는 달리 항전의 의지가 하늘을 찌르는

굳건한 요새가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경을 치기만하면 끝날거라는 희망이

힘 없이 사그라드는 순간이었다.

 

현종의 명령으로 인근의 백성들과 식량은

모두 개경의 성 안으로 들어가 있는 상황,

거란군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텅 빈 집과 곳간들 뿐이었다.

 

척후병들은 연일 고려의 구원군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려왔다.

소배압은 군사를 돌릴 수 밖에 없었다.

 

황제의 명령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는 사실보다

소배압을 두려움에 떨게 했던 것은

그들이 지나쳐왔던 수많은 고려군이었다.

그들은 이미 너무 깊게 들어와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고려군이 주둔한 거점을 피해

험한 길로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물러나는 적병을 보며

개경의 백성들은 환호를 터뜨렸다.

 

가끔은 소수의 결정이 역사를 바꾼 때라든지,

역사의 방향을 결정할 때가 있는데

저는 현종이 도망치지 않고 거기서 버텼다는 것을

그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수가, 역사를 움직인 순간.

 

정명섭. 《고려전쟁 생중계》 저자

 

 

강감찬은 각지에 퍼져있는 별동대에게

집결 명령을 내렸다.

적에게 지옥의 행군을 선물했던 별동대원들은

강감찬의 지령서를 펼쳐 들었다.

‘집결명령, 귀주, 신속을 요함.’

 

소배압과 거란군은 맹렬한 고려의 겨울을 뚫고

행군을 이어나갔다.

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귀주를 지나야만 했다.

 

<거란의 배수진> 

 

소배압과 거란군의 귀향길엔 중대한 장애물이 있었다.

바로 복수심에 불타고 있는

고려의 20만 군병들이었다.

 

소배압은 귀주 평원에서 배수의 진을 펼쳤다.

그들 역시 결사의 의지를 불태웠다.

 

거란의 병사들은 생각했을 것이다.

‘강을 건너 도망쳐도 적의 땅이다.

고향의 가족들을 보려면 저들을 넘어야한다.’

 

그러나 이미 적에게 가족을 잃은 고려의 병사들은

결코 그들을 온전히 보낼 생각이 없다.

 

양 측의 군대는 한 치의 머뭇거림 없이

온 힘을 다해 맞부딪쳤다.

 

투지가 불타오르는 고려군 이었지만

상대는 중원을 휘저으며 수많은 성을 깨뜨렸던

요 제국의 정예군,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전황은 함부로 예단할 수 없는 혼전의 양상으로 흘러갔다.

자칫하면 거란이 승기를 잡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 날, 귀주에선 두 번의 기적이 일어나는데,

이때 첫 번째 기적이 일어난다.

 

 

앞서 강감찬의 명을 받고 개경 구원을 위해 출정했으나

집결명령에 응답하지 않아 행방불명 상태였던,

김종현의 1만 기마대

혼전의 귀주 평원에 출현한 것.

 

두 번째 기적도 함께 찾아오는데

남쪽에서 김종현의 기마대가 등장하자

전투 내내 불어오던 북풍이

남풍으로 바뀌며 거란군에게 역풍이 되었고

거센 비도 함께 쏟아진 것이다.

 

<기적같이 등장한 김종현의 1만 기마대>

 

비바람과 함께 등장한 김종현의 1만 기마대는

순풍을 타고 거란의 후방으로 돌격하였다.

이 돌격에 수많은 침략군이 처단되었다.

 

(2009년 KBS역사스페셜에서 해당 기상현상을 기상청에 문의했고

활강형 한랭전선과 비슷하다는 응답을 받았다.

비슷한 현상이 발생했을 당시 측정한 풍속은 20m/s 이상에 달했다.)

 

<포위섬멸전>

 

전의를 잃은 거란군은 전열에서 이탈하여

저마다 살 곳을 향해 도망쳤다.

고려군은 거란의 패잔병들을 사냥감 몰 듯 몰아

한국사 역대 가장 큰 규모의 포위섬멸

길고 길었던 거란의 침입에 마침표를 찍었다.

 

10만의 거란병 중 살아 돌아간 자는 2천 명에 불과했다.

겨우 목숨을 부여잡고 압록강을 건넌

소배압은 요 성종의 노여움을 사 파면 당했다.

 

현종은 직접 강감찬을 마중나가 극진한 대우을 하였다.

군왕의 체면은 신경쓰지 않고

영웅에 대한 극진한 대우를 하니

훗날 이순신 장군에게도 이러한 임금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고려를 다시 세우고 절망 속에서 일어나

백성의 마음을 하나로 만들어

전성기 요 제국의 침입을 이겨낸

현종, 그의 나이 27세였다.

 

-다음 에피소드-

[6편.기억될 성군, 고려 현종(完)]

 

[고려 현종 시리즈 회차 목록]

 

저가요..

원래 이번 편을 둘로 나눠서

6편에도 실을 생각이었는데요

이번 편에 다 적어서

다음 편엔 많이 적을게 없을 거 같아요..

죄송해요 그래도 고려 사랑하시죠?

댓글
참칭맨 글쓴이
23.07.01
BEST
부족하지만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 편은 내일 저녁 전에 올려볼게요!
참칭맨 글쓴이
23.07.01
BEST
부족하지만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 편은 내일 저녁 전에 올려볼게요!
참칭맨 글쓴이
23.07.01
가독성을 위해 텍스트 몇몇 부분 수정하고
김종현이 출현한 당시 전황 지도를 추가했습니다.
무플방지위원회수석연구원
23.07.01
@참칭맨
가지무침전문점
23.07.02
마제막편이라뇨....다른 주제로 다시 돌아오시는 거죠?
참칭맨 글쓴이
23.07.02
@가지무침전문점
알잘딸꾹질
23.07.01
현종의 무친 배포+강감찬 장군의 꼴라보 캬 이게 야스지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참칭맨 글쓴이
23.07.01
저야말고 감사합니다
침낙수나문
23.07.01
27세였던 현종, 일흔을 넘긴 강감찬 장군 둘다 대단해유
침낙수나문
23.07.01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88200028849-9m3ywtj8xbt.jpg
참칭맨 글쓴이
23.07.01
명군.
@침낙수나문
무플방지위원회수석연구원
23.07.01
이 문장 하나로 정리가 됨. '진인사 대천명.'
소 씨 형제들은 나란히 패장 엔딩...
참칭맨 글쓴이
23.07.01
크..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둔 뒤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
귀주의 싸움이 바로 그것이군요!
무플방지위원회수석연구원
23.07.01
???: 하늘께서 응답하셨습니다!
@참칭맨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88207500094-jxdu85ewumm.webp
울산울주
23.07.01
안그래도 모랄빵 나기 쉬운 배수진인데 심지어 뒤에서 적 기마대가 나타나면... ㄷㄷㄷ
참칭맨 글쓴이
23.07.02
바람까지 타고 충격력 최대로 ㄷㄷ
윤치빗따이
23.07.02
김종현 1만 기마대는 진짜ㅋㅋㅋㅋ 간달프가 헬름협곡에 에오메르의 기마대를 데려왔을 때가 딱 떠오르네요. 영상 보러 가야겠다..
윤치빗따이
23.07.02
장군~ 역풍이 불어 화살이 닿지 않습니다. 그래도 저들을 그냥 보낼 수는 없다. 저들은 다시 돌아와서 우리의 백성을, 우리의 강토를 죽일 것이다.
같은 식으로 싸움 돌입 후
후방에서 1만 기마대 등장하면서 김종현 장군이 “강 장군께서 고려의 운명을 위해 일어나셨도다.” 간지나게 한 마디 날려주고 깃발로 바람 방향 바뀌는 연출 해준 다음에 “고려의 평화를 향해 돌격!” 같은 대사로 마무리 해주면 영화 한 편 뚝딱이겠다..
참칭맨 글쓴이
23.07.02
어우 욕먹겠네요 관객들한테 (실환데..)
@윤치빗따이
배추살땐무도사
23.07.02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88225359311-uye91m4vm2a.jpg
참칭맨 글쓴이
23.07.02
감사합니다!1
가지무침전문점
23.07.02
왔구나..내 보약....항상 감사합니다 넘모 흥미롭고 글도 잘 쓰시네유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88225907855-x30me1x5yja.jpg
참칭맨 글쓴이
23.07.02
칭찬 감사합니다!!
말랑침덩이
23.07.02
"너무 재밌어요" - 구 웹툰작가 현 유튜버 침착맨 -
스크랩해두고 계절학기가 끝나면 읽어보겠습니다
참칭맨 글쓴이
23.07.02
계절학기 힘내세요!
강폭풍
23.07.02
개재밌다 멋있는 인물이 많군요
참칭맨 글쓴이
23.07.02
우리 민족은 복이 많은 것 같습니다 흐흐
얼렁뚱땅맨
23.07.02
고려 거란 전쟁 드라마 예습 잘 되네요 :)
울산울주
23.07.02
저도 너무 기대중이에요
보롬보롬
23.07.03
필력이 정말 기가막히네요. 이런 게 이야기꾼이지.
참칭맨 글쓴이
23.07.03
횐님 복 받으세요 흐흐흐
증거명유니언잭
23.07.10
김종현 등장 대목 읽자마자 반지의 제왕의 기마대 'for the king!' 돌격 장면이 떠오르네요 ㄷㄷ
참칭맨 글쓴이
23.07.11
와 한참 전 게시글에 찾아와주시다니 감동이에요~~ 철학글 준비중이신 횐님이시죠~~ 문과로서 매우 기다려집니다!
증거명유니언잭
23.07.18
준비할 시간이 통 없네요 ㅋ큐TT
@참칭맨
참칭맨 글쓴이
23.07.18
차근차근 하십셔.. 저도 너무 바빠서..
@증거명유니언잭

📖이야기&썰 전체글

사진 한장 때문에 친일파로 몰렸던 인물.jpg
역사&사건
바이코딘
·
조회수 102
·
1시간전
조선시대 능행에 관하여 5
역사&사건
퍼스트디센던트많관부
·
조회수 252
·
15시간전
한 교수님의 독버섯 구분법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232
·
21시간전
경복궁에서 외국인들 동양뽕 풀충전 해주는것 24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5641
·
1일전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를 위해 다른 국가와 개별적으로 무역 협상 5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350
·
3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2) -조조-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62
·
3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1) -유비- 1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79
·
4일전
오늘 방송 보고 해본거
미스터리&공포
자동반사
·
조회수 403
·
4일전
챗지피티와 나눠본 "지브리 풍으로 그려줘~" 에 대한 대화
미스터리&공포
미야자키끼얏호
·
조회수 282
·
4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3부] 17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442
·
5일전
포켓몬스터에 알수없는 포켓볼이 있다?! 2
미스터리&공포
깨팔이사료주인
·
조회수 389
·
6일전
싸늘한 제갈량, 어처구니 없는 유비 2
삼국지
참칭맨
·
조회수 359
·
6일전
만화가들 허리가 안좋아지면 그림체가 이상해지는 이유 5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620
·
6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2부] 12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833
·
6일전
한국 야쿠르트계 전설로 남은 분 1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442
·
7일전
슈퍼전대 50주년 기념 프로듀서 인터뷰
역사&사건
맵찌리찌릿삑궷츢
·
조회수 281
·
03.31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1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2034
·
03.30
일본, 대만 유사시 오키나와 대피계획 책정 2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501
·
03.29
경북 산불로 국내산식품이 사라짐 17
미스터리&공포
침크빈
·
조회수 4154
·
03.29
어느 실업고교 선생님의 눈물 22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4234
·
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