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학생들의 이런 질문이 좋더군요.
5
23.01.05
·
조회 393
승화가 고체 → 기체로 바로 되는 거라고 하던데
그래도 얘네가 벌어지는 그 순간에 우리가 액체라고 말하는 그 입자 사이의 거리를 거치긴 할 거니까 액체도 거친다고 할 수 있지 않나요?
란 질문을 듣고 너무 흥분한 나머지 액체의 정의부터 시작해서 강의 한편 하고 싶었지만
승화하는 물질들은 그 순간이 너무 짧은 순간이라 우리가 유의미하게 액체 상태를 지난다고 하진 않는다 정도로 마무리했습니다.
좀 더 고학년이었다면 분자간 결합부터 해서 특정 분자의 성질로 인해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분자간 결합 상태를 그냥 스킵해버린다 정도의 추가 설명도 해주려고 했었는데 말이죠…
댓글
감자만두
23.01.05
와 액체의 정의부터 시작하면 개꿀잼일 것 같은데
물린이
23.01.06
근데 또 정의라는게 수적으로 들어가면 쉽지가 않아서ㅠㅠㅠ
정수론민수
23.01.06
저도 어렸을 때, 막 물리학에 관심이 생겼을 무렵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질의 상태 그래프를 보고 감탄했던 적이 있었어요 ㅎㅎㅎ 너무 신기방기 그 자체입니다.
물린이
23.01.06
어렸을 때부터 삼중점 그래프에 관심을 가지시다니요~
갸라도스
23.01.06
중딩때 딱 이런거 선생님께 물어보고 다녔는데 ㅋㅋㅋㅋ
물린이
23.01.06
그렇게 궤도게시판 멤버로 크셨군요
뽁뽁이아저씨
23.01.06
그냥 분자들이 두루뭉술 뭉쳐서 움직이는것이 액체고 분자들이 줄을 맞춰서 서 있다가 바깥에서 부터 하나식 뿔뿔이 흩어지는게 승화라고 설명하면 되지 않을까요?
물린이
23.01.06
실상에서야 표면화학적인 반응인데 교육과정상 그렇게 따로 익히는 건 증발/응결 정도라(그것도 고2에서나 자세히 구분)
얘네는 포인트 기점으로 상이 전체적으로 바뀌는 형태로 배워서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궤도민수님 사랑합니다
3
킹받는 연애과학 너무 재밌어요
2
안될과학 굳즈
3
거인들은 왜 느린가요?
19
고추의 매운맛은 껍질에 있을까? 씨앗에 있을까?
4
여러분들께 과제를 하나 내드리겠습니다. 관상의 과학 (궤도님 포함)
12
행성 최초촬영과 최신촬영
6
양자역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빌려온 뇌피셜)
2
질문] 수평선이 둥글게(호 모양) 보이는 이유
12
대혜성이 2년만에 또 왔었네요!
2
전은지 교수님
2
양자역학에서 불확정성의 원리란? (스압주의)
17
과학 연구에 종사하시는 분들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16
질문)내가 하면 불륜 남이 하면 로맨스
19
질문) 갑자기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생각 정리 겸 작성해 봅니다.
9
실제로 할 수 있을까요?
20
외계인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0
질문) 검의 고수가되면
7
현재글
저는 학생들의 이런 질문이 좋더군요.
8
천체의 질량 구하기를 보고 생긴 질문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