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서로 같은 색을 본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2
23.06.30
·
조회 905

책을 읽다가 ‘강아지에게는 세상이 흑백으로 보인다.’는 내용을 보고 질문 드립니다. 상대방이 세상을 볼 때 어떤 색으로 볼 지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여기 A, B 두 사람이 있습니다.
A는 날 때부터 파란 계열 색이 빨간 계열로 보인다고 가정합니다. (하늘은 주황색, 바다는 빨간색으로 보임). 하지만 그는 부모님, 선생님을 비롯한 사람들에게 하늘은 하늘색, 바다는 파란색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는 실제로 하늘을 볼 때 주황색, 바다를 볼 때 빨간색으로 보이지만, 하늘색과 파란색이라고 언어적으로 칭합니다.
B는 날 때부터 파란 계열 색이 초록 계열로 보인다고 가정합니다. (하늘은 연두색, 바다는 초록색으로 보임). 하지만 그는 부모님, 선생님을 비롯한 사람들에게 하늘은 하늘색, 바다는 파란색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는 실제로 하늘을 볼 때 연두색, 바다를 볼 때 초록색으로 보이지만, 하늘색과 파란색이라고 언어적으로 칭합니다.
A와 B가 서로 만났습니다. 둘 앞에 파란색 크레파스가 있습니다. A에게는 빨간색으로 보이고, B에게는 초록색으로 보입니다. 서로 다르게 보이지만, 둘 다 언어적으로 '파란색'으로 칭하기 때문에, 소통에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우리가 서로 같은 색으로 보고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더 나아가, 과학 기술 없이 언어적 의사소통만으로 우리가 같은 색을 본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을까요?
댓글
Chany
23.06.30
헐 저도 이 생각 엄청 많이하는데
yeezy
23.06.30
포토샵쓸줄 모르시나보네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23.06.30
저거 #FF0000 색이잖아?
퍼스트디센던트많관부
23.06.30
사실상 감각질의 문제는 해결이 불가능합니다 그냥 서로 소통이 실용적으로 이뤄지니까 소통이라고 얘기할 뿐이지요
Ornithopter
23.06.30
알 수 없다고 생각해요. 다들 색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본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같은 음식을 먹으면서 누군 달다고 하고 누군 짜다고 하는 것과 비슷하고,
영어로 Bye라고 말한 것을 '바이'나 '빠이'로 인식하는 사람의 차이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사회적으로 어떤 색, 맛, 발음 등의 범위를 학습하는데, 이게 사람마다 조금씩은 기준이 다른 거 아닌가 싶어요.
평균 근처에 개개인의 기준이 겹쳐있지만, 외곽쪽에서는 차이가 나는 거죠.
그래서 중간에 있는 맛이나 색은 갈릴 수 있는 거고
YellowLabel
23.06.30
소통으로 명확한 구분은 어렵죠, 하지만 색상은 색각이상이 아니라면 가시광선의 파장이기 때문에 바다를 초록색으로 보진 않을거에요 대체로 푸른 계열로 보이겠죠
시카고노동자
23.07.01
알 수 없을 뿐더러
같은 색을 볼 가능성이 아주 낮습니다
흰골/파검 드레스만 봐도 그렇잖아요
뽁뽁이아저씨
23.07.01
실제로 여성이 남성보다 색깔을 민감하게 구분하기 때문에 전부 같은 빨간색을 들고 "오빠 어떤 색깔이 나아?" 같은 질문이 나온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파란색을 빨간색으로 보진 않지만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에도 분명히 개인차가 존재합니다.
갸라도스
23.07.01
ㄹㅇ 너무 궁금함
뇌과학적으로 접근해야 할 거 같은데
별사람
23.07.01
역전 스펙트럼이라는 사고 실험이 이 내용이죠
비센샤프트
23.07.02
어떤 시신경이 얼마만큼 자극되고있는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면 그나마 단초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몸보신의 과학이 궁금해요
3
아무도 안 궁금한 스타트렉 속 과학이 궁금해요
2
제2의 아인슈타인이 되고 싶은 사람들이여
4
오늘자 페르미 역설을 보니까 오히려 우리가 운이 없는 우주 생명체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민지님의 얼굴을 보면 눈이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4
열역학 벼락치기 하는 법 (helpme)
1
일주일 전에 다녀온 모스크바 우주 박물관 사진입니다
1
티즐제로 피치얼그레이 어떤가요?
5
궤도님 언제 식당 차리셨죠?
3
냉장고랑 에어컨이랑 같은 원리라는데여
7
지면에 엄청 무겁고 작은 물체를 내려두면 어떻게 되나요?
7
이거 따라하면 안되겧죠?
7
현재글
우리가 서로 같은 색을 본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13
귀신이 지평좌표계 고정할 수 있는 이유 찾음
8
[뉴썰] 과학으로 보는 '산타와 루돌프'… "우는 아이 선물 안주는 이유 과학적이다"
17
궤도 선생님에 대한 뜬금 궁금한 것
7
궤도민수님 이런것도 가능할까요?
3
그날밤...포옹을 넘어 하나된 순간
2
궤도님 요즘 미모 물올랐네요~
3
체렌코프 현상?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