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간접적으로 광속을 체험하고 기분이 묘하네요

함마바크
23.02.11
·
조회 423

유투부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마주친 영상입니다.

처음에 지구에서 출발해서 점점 우주공간으로 나아가는데요, 지구에서 출발할 때 이미 광속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왜 이렇게 느리지?’라는 생각을 했더랬지요.

태양을 지나고 다른 항성들을 지나고 우리은하를 벗어나는 과정에서 시뮬레이터를 통해 점점 속도를 올려 결국 광속의 10조 배나 되는 속도에 도달하게 되었는데, 영상이 끝날때까지도 우주의 끝은 고사하고 안드로메다 은하 근처까지도 가지 못했어요.

 

이쯤 되니 불편한 진실이 보이는겁니다. 인류는 결국 태양계를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인 것 같기도 하고, 지금보다도 천체물리학이 발달한 먼 미래에도 우리는 밤하늘의 별을 관측하며 기록하는 일 밖에는 할 수 있는게 없다는 생각도 들고.. 우주의 비밀을 모두 알아낼 천재 과학자가 등장한다고 해도 인류가 멸종할때까지 광활한 우주에 티끌만큼의 영향도 주지 못하고 받기만 하는 짝사랑 같은 연구를 하다 생을 마감하게 되는 건 아닌지.. 천재적인 천체물리학자 일수록 지식의 저주를 받는 건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도 해버렸더랬지요.

 

그러다가 문득 괴상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질문1 : 철학적 고민]

과학자들, 특히 천체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우주를 상대하면서 덧없음을 느끼지는 않는지 궁금하네요. 인터스텔라에서 중력방정식을 풀어내서 결국 인류를 구원하듯, 알 수 없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목적도 있을까요?

 

[질문2 : 진짜 궁금함]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가 빛보다도 빠르다고 표현하는 걸 얼핏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럼 우주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물질들은, 반대쪽 가장자리에 대해 빛보다 빠르게 멀어지고 있는건가요? 빛보다 빠르게 멀어지는 물질의 물리적 정보가 우리에게 도달할 수는 없으니,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일정 거리 이상이 되면 사건의 지평선처럼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과 다름없는 영역이 존재하는건가요? 그럼 우주 가장자리에 있는 계는 반대쪽 가장자리와는 시간의 방향이 반대인건가요..? 궁금해잉..

 

요약 : 천체물리학보다 국어가 더 시급하다

댓글
침굴맨
23.02.11
저가요 이 글 보고 천문학자의 자살률이 높다는 말이 생각나서 검색해봤는데 관계가 전혀 없더라구요, 그러니까 덧없음 때문에 자살한 경우는 거의 없다라는 거예요. 잘못된 정보일 수도 있어용~
함마바크 글쓴이
23.02.11
천문학자가 그런 통계가 있다는 루머도 방금 처음들었어잉.. 알려주지 말지.. 더 심란해졌잖슴ㅠ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3.02.11
우주론은 유사 전공자의 입장에서 인류의 덧없음보다도 인류가 향해야 할 우주의 모습을 알 수 있기에 필요한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함마바크 글쓴이
23.02.11
일반인 비전공자의 지식으로는 시야가 좁아서 그 분야 종사자들을 이해하기는 아직 어렵겠네요.. 그나마 궤도님 방송 챙겨보니까 이런 궁금증이라도 조금씩 생기는 것 같아요잉
근본이란무엇일까
23.02.11
이론적으로, 우리가 현재 물리적으로 갈수있는 우주는 전체의 6%(180억광년)밖에 안되고 이마저도 우주팽창속도때문에 점점 줄어들고있죠. 밤하늘의 별들이 점점 붉은색을 띄면서 사라져갈거고,
억겁의 시간후, 지구에 사는 생명체는 우주에는 자기가 사는 은하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고 느끼고 우주가 팽창은커녕 정적일거라 생각할거에요. 그때가면 우주배경복사나, 빅뱅의 흔적도 찾아볼수 없을테니까요.
마치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이 우리의 은하를 감싸고 있는것처럼 말이죠... 사실 이렇게 별들이 우수수 보이는세대에 태어난것이 행운일지도?
1STP
23.02.13
실제로 우리가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면 주위가 정지되어 있는것처럼 보이고, 우리의 시야가 바늘만큼 좁아지고 그 주위는 도플러 효과때문에 붉게 보일겁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3998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34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52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28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486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685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825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14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76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07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0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21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38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02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69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46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25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24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81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52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