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모더니즘 건축의 아버지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들

바닐라아몬드
22.12.18
·
조회 4419

샤를에두아르 잔레그리(Charles-Édouard Jeanneret-Gris), 예명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스위스 출신 프랑스인 건축가로 현대 건축 디자인 및 도시 계획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인물입니다.

 

르 코르뷔지에 건축가이자 도시 계획자, 예술가로 모더니즘 건축양식과 퓨리즘의 창시자이며 현대 밀집 도시 설계에도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모든 성과를 다루기에는 너무 긴 글이 될테니, 이 글에서는 그의 건축물만 살펴봅시다.

 

우선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을 이해하려면 그가 창시한 공법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르 코르뷔지에 이전 시대에는 벽으로 건물의 하중을 지탱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었습니다.

Village House - Pencil drawing by Nikolin292 on DeviantArt

 

이런 식으로 벽으로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공법은 크게 두가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1. 집을 튼튼하게 지으려면 벽을 가능한한 두껍게 지어야 해서 내부 공간이 협소해진다
  2. 벽을 빈틈없이 채워야하니 창문과 문 정도를 제외하면 벽면 공간을 활용하기 어렵다

 

이에 르 코르뷔지에는 돔-이노(Dom-Ino) 시스템, 여러분도 익숙하실 필로티 공법을 개발해냅니다.

The City as a Project | The Dom-ino Effect

 

바로 건물 하중은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기둥으로 지탱하고 나머지 공간은 건축가가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 있도록 구조 기능을 갖지 않는 벽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현대의 건물들은 모두 이 르 코르뷔지에의 돔이노 시스템의 영향 아래에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필로티 공법을 그대로 차용한 건물은 한정되어 있을지라도, 벽이 아닌 기둥으로 건물을 지탱하고 남은 공간과 벽면을 활용한다는 컨셉은 현대 건축 공법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이 구조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의 5원칙'이라고 하는, 건축 공업의 표준을 제시하여 짓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던 건물들을 훨씬 정형화되고 합리적으로 통일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이론을 바탕으로 많은 우수한 역작 건축물을 만들어냈지요.

 

Le Corbusier's Cité Frugès: Lessons from a Modern Social Housing  Neighborhood | ArchDaily
Le Corbusier's Cité Frugès housing now hosts fashionable apartments

프랑스 보르, 시테 프뤼제 개발 주, 1924년 완공

 

WeissenhofMuseum-pjt.jpg

독일 바이센호프 주거단지, 1927년 완공

Villa Savoye by Le Corbusier (article) | Khan Academy
Ramp and spiral staircase, Le Corbusier, Villa Savoye, Poissy, France, 1929
(photo: Scarletgreen, CC BY 2.0) https://flic.kr/p/53cVEg
View to the upper garden from the atrium, Le Corbusier, Villa Savoye, Poissy, France, 1929 (photo: a-m-a-n-d-a, CC BY-NC-SA 2.0) https://flic.kr/p/6nfZxR

프랑스 파리, Villa savoye, 1931년 완공

Immeuble locatif à la Porte Molitor - Le Corbusier - World Heritage
Immeuble locatif à la porte Molitor — 現場的建築史 Vers Une Architecture

프랑스 파리, 몰리토르 공동주택, 1934년 완공

Complex du Capitol, Chandigarh - World Heritage - TheTravelShots

인도 찬디가르 주회의사당 단지, 1952년 완공

✓ Curutchet House - Data, Photos & Plans - WikiArquitectura
Maison du Docteur Curutchet, 1949. La Plata, Argentine. - YouTube

아르헨티나 라플라타, 쿠르체트 주택, 1955년 완공

Couvent Sainte-Marie de La Tourette (Le Corbusier) - Éveux… | Flickr
Photographes en Rhône-Alpes::[Couvent Sainte-Marie de La Tourette à Eveux]


프랑스 리옹, 라 뚜레트 수도원, 1957년 완공

 

사진들을 보시면서 어? 어딘가 익숙한데? 디자인이 영 낯설지가 않네? 라는 생각이 드실 것 같은데요.

 

완공된 시기들을 보면 놀라실겁니다. 이르면 1920년대, 늦어도 50년대의 건물들이 현대 건물들과 비교해봤을 때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니까요.

 

괜히 르 코르뷔지에가 현대 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는게 아니겠지요.

 

그렇게 합리적이고 기능성과 효율을 중시하여 건축해오던 르 코르뷔지에는 어느 순간부터 대단히 혁신적이고 비규격화된 건물들을 짓기 시작합니다.

 

평생을 기능미에 충실하던 노 건축가가 말년에 이르러서는 혁신의 아이콘으로 탈바꿈한 것이 대단하면서도 참 아이러니한 일이죠.

 

Le Corbusier's Ronchamp chapel is one of his most important buildings
AD Classics: Ronchamp / Le Corbusier | ArchDaily

프랑스 보주, 룽샹 순례자 성당, 1954년 완공

 

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at Harvard University… | Flickr
Carpenter Center for Visual Arts , de la Universidad de Harvard, Cambridge,  Massachusetts, EE.UU Fotografía de stock - Alamy

미국 메사추세츠, 하버드대학 카펜터 시각예술센터, 1963년 완공

Maison de la Culture – Firminy - Le Corbusier
Maison de la Culture - Site Le Corbusier
Le site Le Corbusier de Firminy-Vert | Meubles de véranda, Le corbusier,  Idee deco chambre garcon

프랑스 피르미니, 피르미니 문화센터, 1965년 완공 

AD Classics: Church at Firminy / Le Corbusier | ArchDaily

프랑스 피르미니, 생트 피에르, 1973년 착공 2006년 완공

 

르 코르뷔지에의 철학을 두고 현대 건축물들을 천편일률화 시켰다, 너무 기능미에만 집중하여 현대 도시가 갖고 있는 무미건조하고 삭막한 이미지의 원흉이 되었다는 등의 비판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가 현대 건축의 아버지이자 사조로서 크나큰 영향력과 훌륭한 건축물들을 남겼음은 부정할 수 없는 일입니다. 

 

유네스코는 위에 소개한 작품들을 비롯, 20세기를 대표하는 건축가로서 그의 건축물 17체를 세계 유산에 공동 등재하고 있습니다.

 

침하하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다음에는 르 코르뷔지에와 쌍벽을 이루었다는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작품들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댓글
하스펄
22.12.18
BEST
건축준수님이 예전에 다뤄주셨는데, 벽으로 지탱하던 문화권이 있고 기둥으로 지탱하던 문화권이 있었다고 하셨어요
하스펄
22.12.18
BEST
예컨대, 한국과 일본 같이 강수량이 한 계절에 쏠리고 습하게 되면 땅이 질척해져서 단단한 주춧돌 같은것에 기둥을 올려 하중을 견디게끔 발달하고, 연중 강수량이 고르거나 건조한 지대의 경우 벽으로 하중을 견디는 구조가 나타난다고 하신거 같습니다. 자세한건 건축준수님 방송 ㄱㄱ
Bismarck
22.12.18
좋은글 감사합니다.
주부토로
22.12.18
옛날에는 기둥말고 벽으로 지탱했구나
하스펄
22.12.18
BEST
건축준수님이 예전에 다뤄주셨는데, 벽으로 지탱하던 문화권이 있고 기둥으로 지탱하던 문화권이 있었다고 하셨어요
주부토로
22.12.18
오 문화마다 또 다르군요 감사하다~~
@하스펄
하스펄
22.12.18
BEST
예컨대, 한국과 일본 같이 강수량이 한 계절에 쏠리고 습하게 되면 땅이 질척해져서 단단한 주춧돌 같은것에 기둥을 올려 하중을 견디게끔 발달하고, 연중 강수량이 고르거나 건조한 지대의 경우 벽으로 하중을 견디는 구조가 나타난다고 하신거 같습니다. 자세한건 건축준수님 방송 ㄱㄱ
@주부토로
절대햄탈해
22.12.18
그래서 집이 그만..............
색고드름
22.12.19
"와르르맨션"
도덕경
22.12.18
건축이야기 좋아요! 즉시 침하하
침침한침하핫
22.12.18
재밌어요!
돌격대장복실이
22.12.18
건축준수 한번 와서 건축가 시리즈 해주라!
이말이
22.12.18
고등학교때 이분 위인전 비슷한거 읽었는데 건축물 사진도 있어서 재밌게 봤어요.
근데 다시 보려니까 어디책이였는지 못 찾겠네요.
옥떨메
22.12.18
저도 너무 좋아해서 예전에 국내전 했을때 다녀왔습니다 ! :)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1374658270-ignyzvbnc2c.jpg
황제예수게이
22.12.18
이거 몇년 전에 예술의 전당에서 했던거죠?? 저도 갔다왔잖슴~~~
괘시판
22.12.19
저도 갔다왔잖슴~~
@황제예수게이
귤착맨
22.12.18
건축준수님 와서 한 8시간 강의 해주셨으면
퀘이보
22.12.19
그때 진짜 재밌었는데 짧아서 아쉬웠음ㅠ
지평좌표계
22.12.18
유현준 교수님 책에서 봤는데 ㅎ ㅎ 재밌더군요
가주가주즈아
22.12.19
지금 이쁘다 이쁘다 하는 디자인은 이미 다 엣날엣날에 다 만들어지고 그걸 다듬는 디자인인거 같더라구요.
나처럼사쇼
22.12.19
건축준수님 너무 다시 뵙고싶어요
StaleMeme
22.12.19
하지만 집에 물 새는 것도 못 잡아서 건물주한테 고소미 먹고 감옥 갈뻔한...
병건씨
22.12.19
건축학도인데 여기서 이렇게 재밌는 르꼬르뷔지에님글을 보니 또 새롭네요
홈버튼
22.12.19
+정보)
현대건축 5원칙은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입면, 필로티, 옥상정원, 수평창"입니다.
사진을 다시 보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맨
22.12.19
침하하에서 보는 건축 이야기 감사감사 추수감사
나는야물개다
22.12.19
감사감사 똑똑해지는 기분이 든다~
시나몬
22.12.19
저도 바우하우스에 뿌리를두고있는 디자인학교를 졸업했는데, 오랜만에보니 너무 반갑네요! 개인적으로는 미스반데르로에 작품들도 너무 좋아
합니다!! 건축준수님또 뵙고싶네요
앞으로나란히
22.12.19
대학생때 빌라사보에 모형 만들때가 생각나는군요. 다음 다음에 혹시 건축가 루이스 칸도 다뤄주시면 ㅅㅅ
최유성
22.12.19
전시회 다녀왔던 때가 생각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풍월량은자치구역을만들어라
22.12.19
팝핀현준 선생님 다시 와주세요~~~!~!~!

📖이야기&썰 전체글

경복궁에서 외국인들 동양뽕 풀충전 해주는것 10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1064
·
12시간전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를 위해 다른 국가와 개별적으로 무역 협상 3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260
·
1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2) -조조-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29
·
2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1) -유비-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40
·
2일전
오늘 방송 보고 해본거
미스터리&공포
자동반사
·
조회수 331
·
2일전
챗지피티와 나눠본 "지브리 풍으로 그려줘~" 에 대한 대화
미스터리&공포
미야자키끼얏호
·
조회수 225
·
2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3부] 15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362
·
4일전
포켓몬스터에 알수없는 포켓볼이 있다?! 2
미스터리&공포
깨팔이사료주인
·
조회수 339
·
4일전
싸늘한 제갈량, 어처구니 없는 유비 1
삼국지
참칭맨
·
조회수 343
·
5일전
만화가들 허리가 안좋아지면 그림체가 이상해지는 이유 5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591
·
5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2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764
·
5일전
한국 야쿠르트계 전설로 남은 분 1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421
·
5일전
슈퍼전대 50주년 기념 프로듀서 인터뷰
역사&사건
맵찌리찌릿삑궷츢
·
조회수 275
·
7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1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981
·
7일전
일본, 대만 유사시 오키나와 대피계획 책정 2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486
·
03.29
경북 산불로 국내산식품이 사라짐 17
미스터리&공포
침크빈
·
조회수 4111
·
03.29
어느 실업고교 선생님의 눈물 22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4182
·
03.29
[속보] 경북 산불 모두 진화 완료 19
역사&사건
병건하게
·
조회수 4026
·
03.28
캐나다 총리 : 트럼프 관세로 캐나다와 미국의 '오래된 관계'는 '종료' 7
미스터리&공포
푸르로닝
·
조회수 461
·
03.28
현재 청송 휴게소 모습 22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5936
·
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