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 건축의 아버지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들
샤를에두아르 잔레그리(Charles-Édouard Jeanneret-Gris), 예명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스위스 출신 프랑스인 건축가로 현대 건축 디자인 및 도시 계획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인물입니다.
르 코르뷔지에 건축가이자 도시 계획자, 예술가로 모더니즘 건축양식과 퓨리즘의 창시자이며 현대 밀집 도시 설계에도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모든 성과를 다루기에는 너무 긴 글이 될테니, 이 글에서는 그의 건축물만 살펴봅시다.
우선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을 이해하려면 그가 창시한 공법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르 코르뷔지에 이전 시대에는 벽으로 건물의 하중을 지탱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벽으로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공법은 크게 두가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 집을 튼튼하게 지으려면 벽을 가능한한 두껍게 지어야 해서 내부 공간이 협소해진다
- 벽을 빈틈없이 채워야하니 창문과 문 정도를 제외하면 벽면 공간을 활용하기 어렵다
이에 르 코르뷔지에는 돔-이노(Dom-Ino) 시스템, 여러분도 익숙하실 필로티 공법을 개발해냅니다.

바로 건물 하중은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기둥으로 지탱하고 나머지 공간은 건축가가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 있도록 구조 기능을 갖지 않는 벽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현대의 건물들은 모두 이 르 코르뷔지에의 돔이노 시스템의 영향 아래에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필로티 공법을 그대로 차용한 건물은 한정되어 있을지라도, 벽이 아닌 기둥으로 건물을 지탱하고 남은 공간과 벽면을 활용한다는 컨셉은 현대 건축 공법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이 구조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의 5원칙'이라고 하는, 건축 공업의 표준을 제시하여 짓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던 건물들을 훨씬 정형화되고 합리적으로 통일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이론을 바탕으로 많은 우수한 역작 건축물을 만들어냈지요.


프랑스 보르, 시테 프뤼제 개발 주, 1924년 완공


독일 바이센호프 주거단지, 1927년 완공



프랑스 파리, Villa savoye, 1931년 완공


프랑스 파리, 몰리토르 공동주택, 1934년 완공

인도 찬디가르 주회의사당 단지, 1952년 완공


아르헨티나 라플라타, 쿠르체트 주택, 1955년 완공

![Photographes en Rhône-Alpes::[Couvent Sainte-Marie de La Tourette à Eveux]](http://numelyo.bm-lyon.fr/f_eserv/BML:BML_01ICO001014ce3b60d8ac8a/preview_Source0.jpg)
프랑스 리옹, 라 뚜레트 수도원, 1957년 완공
사진들을 보시면서 어? 어딘가 익숙한데? 디자인이 영 낯설지가 않네? 라는 생각이 드실 것 같은데요.
완공된 시기들을 보면 놀라실겁니다. 이르면 1920년대, 늦어도 50년대의 건물들이 현대 건물들과 비교해봤을 때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니까요.
괜히 르 코르뷔지에가 현대 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는게 아니겠지요.
그렇게 합리적이고 기능성과 효율을 중시하여 건축해오던 르 코르뷔지에는 어느 순간부터 대단히 혁신적이고 비규격화된 건물들을 짓기 시작합니다.
평생을 기능미에 충실하던 노 건축가가 말년에 이르러서는 혁신의 아이콘으로 탈바꿈한 것이 대단하면서도 참 아이러니한 일이죠.


프랑스 보주, 룽샹 순례자 성당, 1954년 완공


미국 메사추세츠, 하버드대학 카펜터 시각예술센터, 1963년 완공



프랑스 피르미니, 피르미니 문화센터, 1965년 완공

프랑스 피르미니, 생트 피에르, 1973년 착공 2006년 완공
르 코르뷔지에의 철학을 두고 현대 건축물들을 천편일률화 시켰다, 너무 기능미에만 집중하여 현대 도시가 갖고 있는 무미건조하고 삭막한 이미지의 원흉이 되었다는 등의 비판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가 현대 건축의 아버지이자 사조로서 크나큰 영향력과 훌륭한 건축물들을 남겼음은 부정할 수 없는 일입니다.
유네스코는 위에 소개한 작품들을 비롯, 20세기를 대표하는 건축가로서 그의 건축물 17체를 세계 유산에 공동 등재하고 있습니다.
침하하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다음에는 르 코르뷔지에와 쌍벽을 이루었다는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작품들을 소개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