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릴 때 이런 사진을 찍고싶었음.
1
22.12.13
·
조회 485
방에 불을 켜면 빛이 방안에 퍼지는 찰라를 찍어보고 싶었음.
그래서 사진을 딱 보면 위는 밝고 밑은 전등 빛이 도달하지 않아 어둡게 돼있는 사진을.
요즘도 가끔 불을 엄청 깜빡깜빡 거리면서 촬영을 해보는데 무소용.
역시 빛이 너무나도 빨라 불가능 한건지…
혹시나 그런 사진이 있을랑가요?
댓글
1STP
22.12.13
빛의 속도는 299,792,458 m/s
천장에서 바닥까지 평균 2.5m 라고 가정, 위는 밝고 밑은 도달하지 않으려면 약 1~1.5m 전전했을때 촬영해야됨.
다만 촬영이라는것은 광자가 물체에 반사되어 카메라까지 도달한다는 뜻이므로, 그 거리가 바닥보다는 짧아야함.
따라서 광원지로부터 가까워야 한다.
고로 시도해볼수 있는것은 형광등을 바라보며 찍는것이고 바닥에 도달하기전 찍어야 하므로
불을 켜고 5X10^-9 초만에 찍어야합니다. ( 1/5000000000 초)
자 이제 방법 알려드렸으니, 촬영해서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니고막에숨결
22.12.13
이…해 했습니닦…

1STP
22.12.13
그런데 불을 켜고나서 카메라 셔터를 누르기 위해선 뇌에서 명령을 내린후 손의 근육을 움직여야 하는데, 그 신호가 빛보다 느리므로, 켜고 나서 찍는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셔터를 누르고 바로 찍히는게 아닌 프로그램상에서도 누른다는 신호를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카메라 누르는 타이밍과 불켜는 타이밍을 잘 계산 하셔야겠네요 ^^
귀여운호민
22.12.13
조금 더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어떤 전자장치를 만들어서 타이밍을 맞춘다고 해도 불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전등에서 나오는 빛은 펄스로 만들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저게 가능하려면 빛의 앞대가리, 즉 빛이 없다가 시작되는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이 되어야 하겠죠? 그런데 전등에서 나오는 빛은 그 경계가 또렷하게 만들어 질 수 가 없습니다. 굉장히 흐리멍텅한 경계를 갖게 되고, 따라서 아무리 타이밍을 잘 맞춰서 찍어도 서서히 밝아지는 중인 방이 찍힐 뿐입니다.
귀여운호민
22.12.13
그럼 경계가 또렷한 빛은 어떻게 만드냐? 요것은말이죠~ 꽤나 복잡하기 때문에 다음에 기회가 되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귀여운호민
니고막에숨결
22.12.13
엿튼 타이밍을 잘 잡으면 되는거죠? 알겠습니다!
@1STP

니고막에숨결
22.12.13
으… 골이딱딱… 궤도님 이거 콘텐츠로 해.줘.
@귀여운호민

오래된코코
22.12.13
카메라가 사진을 찍는 다는 것은 순간을 포착한다고 표현하지만 진짜 순간을 포착하는 것은 아닙니다. 노출 시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장노출 사진이라는 것은 본적 있겠죠? 하지만 아무리 짧게 찍어도 빛의 이동 시간 보다 짧게 찍는 카메라는 일반인이 소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1/1000 초 정도만 해도 상당히 짧은 노출입니다. 그런데 1/5000000000 초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는 구할 수 없습니다. 더군다나 그렇게 짧게 찍으면 보이지 않고 그냥 검은 색으로 나옵니다. 노출 시간을 늘리는 이유는 빛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한 밤중에 찍어도 약간의 빛만 있다면 노출 시간을 늘려 낮 처럼 환하게 찍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대낮에도 노출 시간이 극도로 짧으면 아무거도 보이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특수 장비가 있지 않다면 그러한 사진은 촬영 불가능합니다.
@니고막에숨결
궤착맨
22.12.13
ㅋㅋㅋㅋㅋㅋ 아 기여웡
병건건
22.12.13
이거는 상대성이론민수께서 오셔야 될 것 같읍니다...?
덱시부프로펜
22.12.13
포토샵에서 보정을 하시면 됩니당
광원주위는 더 노출을 올리고 멀어질수록 노출을 점점 줄이는 그라데이션을 주십시오!
니고막에숨결
22.12.13
그런 얌생이는 허용 못합니다. 딱 찍어서
오…오오오오!!!! 해야합니닷!
귀여운호민
22.12.13
귀여운호민
22.12.13
한 11분쯤 나오네요 갠적으로는 8:39초부터 나오는 장면이 인상깊음
니고막에숨결
22.12.13
있다가 함 봐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닷!!

절대햄탈해
22.12.13
무친 영상 따봉 드리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테이저건
1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님 목격 썰
4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무한궤도
1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이번 팝업에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