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각종 커뮤에서 과학시험문제 정오답 화제인건데 보자마자 궤도님 생각났습니다

리얼리
23.11.01
·
조회 861

고1 아이가 지금까지 전교 1등이었는데

20점짜리 서술형 문제에서 0점 처리가 되었습니다.

 

솔레노이드에서 도선을 어떻게 감아야하느냐는 문제였는데

 

답은 “많이” 감는다이고

아이는 “촘촘하게” 감는다라고 썼습니다.

지구과학 전공한 과학쌤이 0점 처리했습니다.

 

서울대 나온 친구 교수에게 물어보니

오히려 촘촘하게 감는다는게 더 정답에 가깝다고 합니다.

 

저희가 이의제기했고 과학쌤들 모여서 회의한다고 합니다.
 

채점한 쌤은 촘촘하게 감아도 부분적으로만 촘촘할수 있으니 안된다고 합니다.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날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일단 자료를 찿아보니 
 

 

솔레노이드 자체를 설명할 때 촘촘하게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참고로 다른 파일들도 함께 올립니다.

 

 

다른 학교에서 촘촘히 감는다가 정답인 경우도 있었고

촘촘히가 많이랑 함께 쓰이거나 거의 같은 뜻으로 설명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담임쌤을 통해 성적이의 신청했고

과학 교사들끼리 회의를 해서 정한다고 합니다.

 

과학담당 부장쌤과도 통화했는데

“교과서에 나온 그대로 쓴 것만 정답”이라는 말만 반복했습니다.

 

정답은 안되고 부분점수는 줄 수도 있다고 했는데

문제는 과학이 중간고사 만점자가 너무 많아서

이대로라면 2등급도 어렵고 3등급이나 4등급이 될 가

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성적 이의 신청 결과도 뻔하고

재신청을 해도 결국 그 분들이 정하니까 의미가 없습니다.

 

주변에서 소송하는게 좋다고 해서

서울법대 출신인 친구 검사에게 물어보니 100퍼센트 승소할거라고 합니다.

소송비는 대략 400-700사이 들거고, 학교 측도 변호사 써야할거고

기간은 6개월 안에 1심 결과가 나올텐데

패소한 측이 대략 1/3정도 비용을 승소한 측에 주어야한다고 합니다.

 

수요일 낮에 학교에 가려고 합니다.

교장, 교감, 담임, 과학 쌤들을 함께 만나

위에 올린 자료들 보여주고 설명해도 안될까요

 

처음에는 한 교사의 판단이었고

두 번째는 동일한 과학담당 부장의 판단이고

세 번째는 교장/교감에게 호소해보고

그래도 안되면 판사에게 호소하는게 순리라고 하는데

그렇게까지 해야할까요? 


 

 

출처 : https://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2311010086984564&select=&query=&subselect=&subquery=&user=&site=&reply=&source=&pos=&sig=h6j9Sg-Ak3aRKfX2h3aXGY-Yjhlq

 

우선 선생이 말한 “부분적으로 촘촘하게 감는다” 이건 개념적으로 말이 안되는 것 같고

결국에 “촘촘하게 감는다” 이게 전체적으로 촘촘하게 감는거고, 이게 “많이 감는다” 즉 회선수 N이 증가 이렇게 볼 수 있어서 정답같은데

궤도님 생각은 어떠신지???

댓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23.11.01
지식이 없으니 뭐라 코멘트는 못하겠는데
'교과서에 써 있는 그대로가 정답'과 '이대로라면 4등급 가능성도 있고 이의제기 의미없으니 소송하는게 낫다'는 말들은 굉장히 기분이 묘해지네요...
차도르자브종수
23.11.01
과학선생님이 일을 복잡하게 만드는 재주가 있으시네... 맞는 답을 표현이 다르다고 정답 안줄거면 서술형 문제는 내지 말아야지
다만 부모님께서 인터넷에 올린 글로 일이 커지고 학생이 특정되어 불이익을 받을까 그게 걱정이네요
ABCJ
23.11.01
보통이면 점수 챙겨줄라고 애매해도 맞게 해주는데
얼마다 시험이 쉽게나왔으면 저런 답을 틀리게 채점했나...
양길리
23.11.01
부분적으로 촘촘하게 감는다는 말은 세상에 처음 들어보네요 ㅋㅋㅋㅋ촘촘하게라고만 썼으면 당연히 전체지요...그럼 부분적이지만 않으면 촘촘하게 또한 정답이라는 걸 인정하는 것과 다름없는 대답 아닐까요 결국 부분적이라는건 회피하기 위한 선생님의 독단적인 해석이니 답은 맞는거 같은데 차라리 교과서에 나온대로 써야한다는 답이 더 이해가 가는거 같아요. 고소까지 가는건 씁쓸하긴 한데... 아이가 맞는 답을 썼는데 큰 리스크를 지게 된 부모님 또한 할 수 있는건 다 해주고 싶으실거 같기도 하고 그러네요
행복한발바닥
23.11.01
과학쌤이 부분적으로 촘촘히라는 게 예를 들어, 특정구간은 1미리간격으로 감고, 특정구간은 2미리간격감고 이런거 말한거 같은데 이런식으로 해석하면 많이 감는다도 특정부분만 많이 감을 수 있다고 해석되는 건데, 이래서 서술형 내고 채점할때 채점 기준을 여러개, 구체적으로 설정해야하는거죠.
Ornithopter
23.11.01
다른 조건은 가만히 놔둔 상태에서 비교하는게 일반적이죠. 이 경우
1. 감은 횟수는 같은데 촘촘히 감는다
2. 코일의 길이는 같은데 촘촘히 감는다->감은 횟수도 증가
1도 전류가 세지니까 오답이라고 하긴 어렵죠. 다만 많이 감는게 더 확실한 답 같기는 합니다. 1의 경우 자석이 움직이는 범위에서 가까운 쪽에 촘촘히 감으면 전류가 세지고, 먼 쪽에 그렇게 해놓으면 오히려 약해질 수도 있겠죠. 선생님은 아마 이런 상황을 생각하신 거 같습니다.
자료에서 자기력선이 촘촘하다는 표현들은 지금 문제와 별 관계가 없습니다.
확실히 판단하려면 문제와 실제 답안을 봐야 할 거 같습니다.
리얼리 글쓴이
23.11.01
애초에 고딩수준의 문제라 걍 코일에 흐르는 전류, 즉 유도기전력 크기 늘리는 법 물어보는거 같은데
여기서 당연하게 길이, 자속 변화량, 왔다 갔다 하는 빠르기가 동일하다 이건 기본 전제로 들어갈 수 밖에 없고
그러면 변수는 걍 감은수 N이고, 길이는 일정하므로 촘촘히 감는다=많이 감는다 같은 말 같음
Ornithopter
23.11.01
저도 그런 거 같긴 한데 그래도 실제 문제가 어떻게 돼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리얼리
병건과아이들
23.11.01
정시를 늘려야 하는 이유
병건과아이들
23.11.01
사례와는 완전 다른 케이스인데 omr카드 뒷면 서술형 답안 작성시 해당 문항의 번호를 적고 답안을 기재해야 했음. 근데 저는 실수로 두문항의 번호를 바꿔서 기재했고 당연하게 오답 처리 되고 전 깔끔하게 인정했었음. 근데 다음학기에 다른 학생b가 똑같은 짓을 했음. 두 경우 모두 같은 선생이었는데 전 그 선생이랑 사이가 좋지 않았고 b는 싹싹해서 둘이 꽤나 친밀했음.결과는? b는 답안 확인 시간에 번호 수정해서 정답처리 해줌. 전 그뒤로 내신을 다 던지고 정시로 대학을 왔슴..
JUSTLUCK
23.11.01
20점짜리 문제에서 0점 처리는 좀 이상하긴 하네요
이폴폴
23.11.02
학생이 원리를 이해하고있는게 명백한 상황에서 교과서의 어휘를 그대로 쓰지않았다고 이해못한사람취급을 한다는건 시험의본질을 잊어버린것 같음.. 근데 전교1등이면 억지를 부려서라도 성적,생기부 몰빵해서 좋은대학 보내려고 안달인게 일반적이지않나요?희한하네요
SATELLITE
23.11.06
'이과형'이라는 분이 이 문제를 다룬 게 있네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4038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52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82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45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506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707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973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33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88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33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22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41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49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23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713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66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43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36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607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64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