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지면에 엄청 무겁고 작은 물체를 내려두면 어떻게 되나요?

침하루방
23.06.30
·
조회 515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문과의 궁금증을 해결해줄 사령부원분들을 구합니다.

 

만일 10톤 무개의 각설탕만한 철덩어리가 존재한다고 했을때

그것을 각설탕 올리듯 지면에 천천히 올려놓으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대로 땅을 뚫고 내려가버리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도 못들어올리는 토르의 각설탕이 되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땅을 뚫고지나간다면 왜 내려가는지

아니면 토르의 각설탕으로 유지되서 지면에 붙어있기만 하면 왜그러는지 궁금합니다!

댓글
라이부
23.06.30
사령부원은 아니지만 저도 궁금하네요.
하지만 지구 지면에게 10톤의 무게는 너무나도 가볍지 않을까 싶습니다. 몇만톤의 건물을 지면은 버티고 있으니까요.
몇만톤을 버티기 위해서 여기저기 분산시키더라도 10톤보단 높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아무튼 엄청나게 무겁지만 굉장히 작은 모양이며 심지어 토르의 망치는 면을 바닥에 대지만 완벽한 구의 모양이며 한 점을 지면에 내려 놓는다면 지면은 아마 반원?반월? 모양 까지만 들어가고 멈추지 않을까 싶습니다?
처음엔 점에서 시작해서 점점 면적이 넓어지면서 면을 떠맡게 되니까요?
ABCJ
23.06.30
조금은 뚫고 내려갈 것으로 생각되네요.
조금 비슷한 예시로, 독일의 마우스라는 탱크는 3.7m×10m의 크기에 약 200톤의 무게를 가지고있습니다.
현재까지 제작된 전차 중 가장 무거운 전차이지용.
이 전차는 무른 땅을 지날 때 땅속으로 전차가 가라앉는가 하면, 도로 측면에 건물이 있는 일반적인 포장도로를 지나가면 도로에 홈이 푹 파이면서 주변 건물의 유리창이 진동에 의해 몽땅 깨졌다고 하네용.
각설탕 크기의 10톤이면 면적당 무게가 더 크기 때문에 이보다 더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당
ABCJ
23.06.30
물론 땅을 뚫으면서, 그 각설탕 철덩어리의 밑 흙은 점점 더 단단해질 것이므로 어느 순간은 멈출 것 입니다.
유압프레스가 레고를 누르다가 멈추는 것처럼용
시카고노동자
23.07.01
압력은 힘/면적 입니다
각설탕 이던
각설탕 두께의 1km짜리 철근을 세로로 세워두던
무게가 같으면 누르는 압력은 같습니다
시카고노동자
23.07.01
10톤의 중력이 1제곱센티미터 면적으로 누르는 압력은
대충 1GPa 정도 되는 것 같은데
그렇게 엄청 큰 압력은 아닌 것 같아 보이네요
전문 실험 장비로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는 수준인 듯 합니다
뽁뽁이아저씨
23.07.01
땅에 말뚝을 박는것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바닥이 어떤재질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드러운 흙바닥이라면 그 물건을 버텨줄 암반층이 나올 때까지 뚫고 들어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Foucault
23.07.01
일단 철이든 뭐든 각설탕 크기로 10톤짜리를 만드는 것은 지구에 있는 물질로는 불가능할거 같네요 만약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어느정도는 뚫고 들어가다 멈출듯 하고요 그것은 그 지면이 얼마나 단단한지에 달려있을듯 하네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4000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37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55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31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490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685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832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16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77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08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1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24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39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10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69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47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25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24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82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52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