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최신 수학 뉴스: 1년차 대학원생이 정수론 난제를 해결하다.

정수론민수
23.06.08
·
조회 836

옥스포드 대학교의 세드릭 필라테라는 대학원생이 에르되시-사르코지-소스 추측이라는 문제를 해결했다는 소식입니다.

 

에르되시-사르코지-소스 추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의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자연수 집합의 부분 집합은 존재하는가?

  1. 임의의 원소를 두개를 취해서 더한 값들은 모두 제각각이어야 한다.
  2. 모든 ‘충분히 큰’ 자연수는 그 집합에 속한 3개의 원소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일단 첫번째 조건부터 보도록 하죠. 예컨대

{1, 2, 3, 5} 라는 집합을 볼까요? 이 집합에서 임의의 원소 두개씩을 골라서 합을 취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2 = 3

1 + 3 = 4

1 + 5 = 6

2 + 3 = 5

2 + 5 = 7

3 + 5 = 8

이처럼 모든 값들이 다르게 됩니다. 이건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입니다. 반면 {1,2,3,4} 라는 집합은 1+4=2+3이므로,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지요.

 

이 조건은 원소가 적을수록 유리합니다. 아무래도 원소가 많을수록, 그 두개를 취하는 경우의 수도 많아지니, 우연히 같은 값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또한 원소가 밀도가 낮을수록 유리합니다. 예컨대 {1, 3, 5, 8} 같이 숫자간의 간격이 적은 집합보다는 {1, 10, 100, 1000, 10000} 처럼 간격이 클수록 두 개의 합이 우연히 같을 가능성이 낮아지겠죠.

 

하지만 두번째 조건은 이 집합이 원소가 무한히 많아야 한다고 강요합니다. 

 

예컨대 {1, 2, 3, …, 100} 인 집합은, 그 원소 3개를 골라 더해도 300보다 작겠죠. ‘가장 큰 원소’가 있게 되어버리면, 그 것의 3배 크기보다 더 큰 자연수는 하나도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충분히 큰 자연수’라는 조건이 붙는 이유는, 이 집합이 자연수 집합의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작은 수, 예컨대 1과 같은 것은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1은 3개의 다른 자연수의 합으로 표현이 불가능하니까요!)

 

또한 원소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유리합니다. 예컨대 {1,10,100,1000}이라는 집합은 어떤 3개를 골라도 100에서 999 중 111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만들어내지 못하겠죠. (아무거또 못하쥬?!)

 

자 이 두 개의 조건은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 전혀 상반되는 조건을 요구를 합니다.

 

첫번째 조건은 원소가 적을수록, 그리고 숫자간의 간격이 넓을수록 유리합니다.

반면 두번째 조건은 원소가 무한히 많아야 하며, 숫자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유리합니다. 

 

그럼 이 두개의 조건이 동시에 성립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바로 에르되시-사르코지-소스 추측이었고, 이걸 대학원생 1학년이 풀었다는 소식입니다. 

 

(집합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봤는데 굉장히 기술적이고 복잡해서 저도 설명은 생략하겠숑)

 

논문 링크: https://arxiv.org/pdf/2303.09659v1.pdf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quantamagazine.org/first-year-graduate-finds-paradoxical-number-set-20230605/

댓글
TIPTIP
23.06.08
아하 완벽히 이해했어여
야생의밍키
23.06.08
숫자로 하는 예술 같아요
운동안할래
23.06.09
어라 모든 '충분히 큰 자연수' 가 혹시 자연수 전체 집합을 말하는 건가요?
정수론민수 글쓴이
23.06.09
아니요, 하지만 무한집합이어야 합니다. 예컨대
{100, 101, 102, 103, ...} 도 충분히 큰 자연수의 집합이고
{10000, 10001, 10002, ...} 도 충분히 큰 자연수의 집합입니다.
수학에서 '충분히 큰' 이라는 뜻은 '어떤 값 M이 있어서, M보다 큰 값에 대해서는 항상 성립하는' 이란 뜻입니다.
정수론민수 글쓴이
23.06.09
예를 들어 어떤 집합 S가 모든 충분히 큰 자연수든 그 원소 3개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뜻은,
M이라는 자연수가 있어서, M+1, M+2, M+3, ... 은 모두 3개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M 이하의 자연수 중 일부, 예컨대 1이나 M-1이나 하는 것들은 3개의 원소의 합으로 표현은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즉 몇개의 '예외'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걸 제외하면 다른 모든 자연수는 가능하다는 뜻과 같습니다.
운동안할래
23.06.09
아마 이것도 틀린 말일 것 같은데, M+1+M+2+M+3 은 M+a 로 나타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2번째 조건을 보면, (제 이해가 틀린 거겠지만.) M 이나 M+1, M+2 는 어떻게 그 집합 원소 3개의 합으로 나타내나요? +아아 그래서 충분히 큰이란 말이 붙는 건가요?
@정수론민수
정수론민수 글쓴이
23.06.09
아 제 말은 S에 속한 원소들 중 3개를 골라 M+1을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3개를 골라 M+2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M보다 큰 수를 모두 만들 수 있다, 그런 M이 존재한다는 것이 '충분히 큰 수는 모두 만들 수 있다' 라는 뜻이었어요!
@운동안할래
정수론민수 글쓴이
23.06.09
예컨대 A={1,2,3,4}라면 3개를 뽑아 합으로 만들 수 있는 수의 집합은 {6, 7, 8, 9}가 되겠죠, 이 집합을 F(A)라고 할게요. 그럼 두번째 조건은 집합 S는 F(S)가 {M+1, M+2, M+3, ...}이어야 한다 라는 뜻입니다!
@정수론민수
운동안할래
23.06.10
아아 그렇군요. 이해한 것 같아요.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정수론민수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3998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34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52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28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487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685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825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15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77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07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1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22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38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02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69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46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25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24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82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52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