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은 그렇게 멀리 있는데 어떻게...
2
23.05.09
·
조회 551
안녕하세요 요즘 궤소리를 즐겁게 정주행중입니다
근데 별은 그렇게 멀리 있는데 어떻게 우리눈에 도달하나요?
멀리 있는 산은 눈을 가늘게 떠도 흐릿한데
밤하늘 별빛은 비록 아주 오래전것이라고 하지만 우리눈에 잘 도달해서
어디에 떠 있는지가 보인다는 게 문득 이상하게 느껴졌어요
심지어 달은 육안으로도 표면이 보임
시력이 좋아서 그런건 아닐테고… 광원이 세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만약에 땅 위에 시야를 가리는게 전부 사라지면
지구는 둥그니까 어떻게 해도 지표면 위의 물체를 직선거리로 보는건 불가능할텐데요
별과 나의 거리는 직선으로 닿으니까 그런 영향도 있는걸까요?
-궤소리 부작용으로 모든게 다 고ㅏ학으로 보이기 시작한 시청자 올림
댓글
모둠커틀릿의신
23.05.09
커서 그런거 아닐까요
라타타탐
23.05.09
멀리 있는 산은 직접 발광하는 물체가 아니고 대기질이 안좋아서 뿌옇게 보이죠.
진~~~~~짜 맑은 날은 멀~~~리 있는 산도 또렷하게 보여요.
별은 직접 발광체라 잘 보이죠.
구름 끼거나 대기 질 안 좋으면 별도 잘 안보여요.
여기까지 도달하게 빛을 뿜뿜 할 수 있는 별이면 그만큼 크고 씬 놈이라는 것.
달이나 금성같은 직접 발광체가 아닌 놈들은 워낙 지구와 거리가 가까워서 태양의 반사광만으로도 눈에 보이고요.
비센샤프트
23.05.09
태양에 비해 무지막지하게 밝은 별들이라서 보이는 것도 있고, 인류의 별을 보는 기술이 발전한 것도 있고, 특히 우주에서 찍을 경우 대기중의 입자와 같이 시야를 방해할 물질도 적다는 이유가 있을 수 있겠네요
화과산돌숭이
23.05.09
사실 빛은 중력 때문에 항상 직선으로 들어오지 않습니다. 중력 렌즈 효과로 훨씬 멀리 있는 천체도 관측하고 있지요.
시카고노동자
23.05.10
공기 중에 태양 빛이 산란된다는 사소한 이유로 낮에는 별이 거의 안 보이잖아요
산도 공기 주변에 있는데 보이는 거니까
사실 별보다 산이 훨씬 잘 보이는거죠
아마 밝기 측정해 보면 가장 밝은 별보다 낮에 하늘에 날아가는 새가 수백배 이상 밝지 않을지
dn4lzx
23.05.10
ㄴ 와 댓글들이 너무 재미있어요! ㅋㅋ
우와와앙
23.05.10
별도 잘 안보입니다.
실제로 별이 밤하늘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데,
몇개만 겨우 보이잖아요.
주변에 아무런 불빛도 없는 곳에 가서 우리 눈 동공을 최대한 열어야 간신히 좀 보입니다. 그리고 하늘을 빼곡히 채우고 있더라도 다 보이는 것도 아니죠. 그보다 훨씬 많으니까. 허블 망원경이 며칠씩 빈 공간으로 보이는 곳을 찍어야 겨우 관찰할 수 있는 딥필드도 있죠.
실제 별의 갯수에 비해 우리 눈에 보이는 갯수는 극소수이니까, 별도 멀어서 잘 안보이는 겁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테이저건
1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님 목격 썰
4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무한궤도
1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이번 팝업에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