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 [홀로그램 우주론]과 [시뮬레이션 우주론]에 대한 궁금점 (문과주의)
안녕하세요 궤도님 & 한국인 여러분
이번에 침투부에 드디어 우주론이 등장해서
안될과학 채널의 우주론 관련 영상을 복습하고 왔어요
해당 영상에도 당시에 댓글을 달았었는데
(답변은 없었어요 T^T)
궁금한 점이 있어서 여기에 질문을 남겨보아요
질문이 조금 많은데 최대한 간결하게 해보겠읍니당
1. 홀로그램 우주론
(1) 인간의 의식은 양자 정보로써 의미가 있나요?
인간의 기억이 뇌에 저장되는 메커니즘 자체가
현재의 과학으로는 아직 연구가
조금 더 필요한 분야 이기는 하지만
홀로그램 우주론에 따르면 현재, 지금의 우주에서
인류 혹은 지성체가 존재한다는 것은
‘블랙홀 표면에 2차원의 형태로 입력된 정보로써
지성체의 정보가 입력되었다’ 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해당 양자 정보가 우리 인류의 존재 자체를
뭔가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점이 있을까요?
(인류 혹은 지성체의 발생은 우연이 아니다.
혹은 홀로그램 안에서도 우연으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등)
아니면 정보의 역설과 호킹 복사는
그저 이 우주가 홀로그램일 가능성이 있다는
아이디어에 근거가 되는 이론일 뿐일까요?
(이 우주는 그저 더 고차원의 세계로부터
생성된 홀로그램일 뿐이다)
(2) 2차원의 표면에 입력되어 있는 양자 정보가
사건의 지평선을 경계로
쌍생성-호킹복사 한 입자들에게는
해당 양자 정보가 없는 거라고
보는 게 맞는 건가요?
사건의 지평선 표면에만 정보가 남아있는 것이
홀로그램 우주론이라면
호킹 복사로 방출된 입자들은 정보가 없는
순수한 질량이라고 볼 수 있는 건가요?
그렇게 된다면 블랙홀이 흡수한 질량에
정보가 없는 질량이 있었다라고 볼 수 있나요?
(현재의 우주가 정말로 홀로그램이라면
호킹 복사를 통해 질량이 작아질 텐데
「블랙홀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표면이 줄어듦」
이것이 이 우주 「홀로그램」 의 질량 「총량」 이
줄어든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방출되는 정보가 있는 것일지?
그렇다고 한다면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 답은 관측 불가능한 우주
(관측 가능한 우주의 바깥)에 있는 것일까요?
2. 시뮬레이션 우주론
(1) 시뮬레이션 우주론에서는
암흑 에너지를 어떻게 해석하나요?
(2) 진보한 인류 혹은 지성체의 ‘의도’로
시뮬레이션 우주를 만들었을 때,
(자연에서 어떠한 의도도 없이
스스로 시뮬레이션 우주 「≠평행우주」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가정)
그 의도와 함께 우주를 만듦으로써
인류 혹은 지성체가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설득력이 높은 것이 뭘까요?
(3) 굉장히 미시적인 관점(양자역학)과
굉장히 거시적인 관점(우주과학)이
왠지 모를 유사성을 보이는데
해당 관점으로 출발하는
다른 흥미로운 이론이 있을까요?
너무너무 질문이 많은데 다 여쭤볼 수 없어서 너무 아쉬워요
문과(예체능)라서 과학적인 식견이 너무 얕은데
너그럽게 봐주시기를 바랍니당
현재 과학으로는 해석하기 어렵거나
‘빛의 속도로 이동할 때’ 같이
말도 안되는 가정에서 출발하는 내용일 수도 있지만
궤도님 말고는 어디 물어볼 데가 없어서 이렇게 남겨보아요
(그리고 궤도님은 ‘시뮬레이션 우주론’ 혹은
‘홀로그램 우주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시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요)
너무나도 길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땡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