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질문) 인공위성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 feat. 궤도

김주용
23.03.04
·
조회 896

안녕하세요 궤도님! 

늘 궁금했던 것이 있었는데 궤도님이라면 명쾌한 해답을 주실 것 같아 여기에 글을 남겨봅니다.

우선 제 소개를 하자면 이과였고, 공대를 졸업했고 현재는 직장에 다니고 있는 평범한 시청자입니다.

 

시작은 어릴적 문득 든 생각이었습니다.

그건 “어떻게 수많은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날고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비행기가 그 만큼 날고 있으려면 엄청난 연료를 써야 할 텐데 말이죠.

 

그래서 저는 인터넷과 인터넷과 인터넷을 뒤져 정보를 찾았습니다.

처음에는 무중력 상태라 그런거겠지 싶었지만 막상 찾아본 정보는 전혀 달랐습니다.

실제로 인공위성은 중력의 영향을 지표면보다는 덜하지만 유사하게 받고 있고,

중력을 구심력으로 가져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궤도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아래 그림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가 열심히 찾아서 만든 그림입니다.

 

 

그런데 문득, 사진에 마지막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그럼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계속 가속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x축 방향으로는 힘이 작용하지 않고 등속도 운동을 하고,

y축 방향으로는 지구 중심을 향해 중력의 영향으로 가속도 운동을 할테니까요.

 

그렇다면 점점 아래로 떨어지는 속력이 빨라지면서 모든 인공위성은 지표면에 처박히거나,

최소한 대기권에 진입하여 공기저항을 받게 될텐데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잖아요.

 

어떤 정보글에는 컵에 물을 넣고 돌려도 떨어지지 않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하는것 같은데, 저에게는 와닿게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애초에 컵의 물은 돌리는 손을 향해 떨어지는 게 아니라 바닥을 향해 떨어지지 않나? 하면서요.

또 어떤 정보글은 구심력과 반대방향으로 같은 정도의 가상의 힘인 원심력이 작용한다는데. 그 원심력은 어디서 튀어나온 힘인가 싶고요.

 

결국 steady하게 작용하는 힘이 중력밖에 없는 것 같은데, 왜 지구중심방향 가속도 운동이 생기지 않는지(위성 속력이 빨라지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원심력이 구심력과 평형이 되어 상쇄된다면 아래로 떨어지는 속력이 일정하다(등속도운동을 한다)" 이 부분까지는 어떻게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원심력은 실제 힘이 아니라 가상의 힘이라고 하는데… 그럼 얘는 어디에서 온거지..? 중력에 반대되는 동일한 크기의 힘?

아.. 여기까지 생각이 닿으면 머리가 복잡해지면서 더 진전이 안됩니다. 지금도 뭔가 횡설수설 하고 있지요.

 

그래도 궤도 선생님께서는 제가 모르고 있는 부분을 캐치해서 알려주시리라 믿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저는 대학원생이 아니라 대중이니까 너무 혼내지 말아주세요. 

태그 :
#질문
댓글
슈뢰딩거
23.03.04
궤도는 어떻게 고정하셨죠
시카고노동자
23.03.04
궤도 운동을 한다는건 영원히 떨어지고 있는 겁니다
시카고노동자
23.03.04
x 방향 속도가 너무 빨라서
물체 입장에서는 지구에 떨어지기도 전에 지구가 자꾸 뒤로 사라지는 거죠
말씀 처럼 y 방향으로 가속이 생기지만 내가 앞으로 날아갔기 때문에 이제 y방향에 지구가 없습니다
김주용 글쓴이
23.03.04
영원히 떨어지는데 속도가 일정한 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
대기권처럼 공기저항에 의한 종단속도가 만들어질 수도 없는데 말이죠.
시카고노동자
23.03.04
속도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속력이 일정하죠
중력 가속도는 여기서 결과적으로 속력은 바꾸지 않고 방향만 바꿉니다
@김주용
김주용 글쓴이
23.03.04
중력가속도만큼의 힘이 인공위성의 방향을 바꾸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면 이해는 되지만,, 그 과정이 뭔가 시원하게 납득되지가 않네요,, 사실 인공위성은 단순히 앞으로 가고 있는것 뿐이고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것은 다른 축의 운동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시카고노동자
시카고노동자
23.03.05
관성좌표계랑 절대좌표계를 혼용해서 헷갈리시는 것 같은데
인공위성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관성좌표계) 앞으로 가고 있는거지만
절대적(인 좌표는 없지만.. 지구 밖에서 본다 치면) 인공위성은 계속 지구 중심 방향의 가속도를 받고 있습니다.
관성 좌표계에서는 원심력이라는 가상의 관성력이 존재 해야 운동이 설명 가능하지만
절대 좌표계에서는 그냥 F=ma 만으로 충분합니다.
@김주용
김주용 글쓴이
23.03.05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결국 "등속 원운동 = 가속도 운동" 이다. 이걸 직관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면 어렵겠네요.
@시카고노동자
51구역
23.03.04
공을 실에 매달고 빙글 빙글 돌리면 어떻게 되나요. 그 공은 원운동을 하죠?? 같은 원리입니다.
그냥회사원
23.03.05
물컵 비유가 딱인거같은데...
물이 바닥으로 떨어진다고 하셨는데, 물컵이 하늘쪽으로 상승하는 경우는 아예 생각을 안하시는거 같네요.
그냥회사원
23.03.05
저도 물리알못이긴 한데... 원심력은 어디서 튀어나왔나?
아마 최초 발사 시점의 힘에 의해 생성되지 않았을까 하네요???
위성을 발사할때 쓴 힘의 크기가 지구의 영향권을 벗어날 만큼 충분하지 않아, 어느정도 날아가다가 구심력과 평형을 이뤄 궤도를 도는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아닐지도 모르겠네요.
설규을
23.03.05
원심력은 좌표계를 변환해서 생긴 가상의 힘입니다.
@그냥회사원
바다바다
23.03.05
지구는 둥그니까 앞으로(본문에서는 x방향으로) 계속 가면 지표면을 따라가는게 아니라 지표의 접선방향으로 날아가게 됩니다. 보통 걸어다닐때는 매 걸음마다 땅으로 다시 떨어지니까 땅에서 멀어지는것을 자각하기 어려운데, 충분히 빠른 경우를 상상해보면 어떨까요?
수평으로 더 빠르게 갈수록 땅에서 더 멀어지게 되겠지요. 충분히 빠르게 앞으로 가면 떨어지는 속도와 땅이 멀어지는 속도가 일치하고, 궤도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바다바다
23.03.05
본문에서 x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림에서 수평 방향입니다. 그런데 말씀은 수평, x, steady 라고 하시면서 그림은 자연스럽게 지표를 따라 둥글게 그리셨잖아요? 물체 입장에서는 계속 앞으로만 가는 걸로 보이지만, 지구와 물체가 동시에 보이는 본문의 그림에서는 지표를 따라서 물체의 운동 방향을 계속 돌려 주는 힘이 있다는 말이죠. 그게 중력입니다. 계속 떨어지고 있는거예요.
한동현
23.03.06
지구 중력과 정확히 수직인 방향으로(옆으로) 계속계속 이동하니까 계속 떨어질 수 있는 겁니다.
궤도를 지속적으로 돌 수 있는 속도란게 그런 거예요.
중력으로 땅 방향으로 곤두박칠 치는 딱 그만큼씩 앞으로 계속 이동하는 거죠.
계속 떨어진다는게 그런 거예요.
계속 떨어지는데 지구는 둥그니까(~) 인공위성이 있는 정도로 높은 고도에선 내가 앞으로 가면 땅이 사라지는 거죠.
한동현
23.03.06
계속 앞으로 갈 수 있는 이유는 대기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 돌고 있어서 저항이 매우 낮아서 그렇구요.
그래서 희박하게 있는 공기저항 때문에 점점 느려져요.
그 공기저항 때문에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가 줄어들어서 인공위성은 느려지는 만큼 추력을 주지 않으면 결국 추락함니다요.
레드팬텀
23.03.09
이론적으로가 아닌 예시로 접근하면
달이 지구로 추락하지 않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거같습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4000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37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55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31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490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685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829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16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77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08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1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24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39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09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69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47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25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24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82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52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