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모기 관련 질문
1
23.02.01
·
조회 360
대부분의 기생생명체는 숙주가되는 생명체에 생명에 큰 위해를 주지 않는 방향으로 진화하였다는데(숙주가 죽으면 나도 죽어),
말라리아 처럼 모기와 인간, 두 생명체를 번갈아가며 옮겨타는 녀석들은 숙주가 죽건 말건, 그 자신의 생존, 유전자 전달에는 상관이 없어서 그 치명률이 높다고 알고있습니다.
여기서 갑자기 든 생각인데, 말라리아 원충이 모기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계신 분이나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을까요?? 구글링으로는 인간에 미치는 영향밖에 안나오네요.
혹 모기도 죽는다면 모기도 말라리아 인간 조심해야 하잖슴~
모기야 미안해…
댓글
뽁뽁이아저씨
23.02.01
과학자들도 모기가 말라리아로 죽건말건 신경 안쓸것 같습니다ㅋㅋㅋ 모기가 귀에서 앵앵거려서 잠방해받은 경험이 있다면 좋은감정을 가지기 어렵잖아요ㅋㅋ 그런데 모기는 별 문제 없지 않을까요? 소화기관에 기생충이 있을 때가 순환계에 있을 때보다 덜 위험할 확률이 높다고 어디선가 들었습니다.
닥터프레드릭쇼팽
23.02.01
예 모기에게도 영향이 있읍니다. 그러나 인간과 곤충의 면역 메카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원충 침입 시 모기의 면역반응 : 모기도 원충이 침입하면 물리치려고 합니다. 면역세포들이 원충을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합니다.
2. 원충 감염 이후 모기에게 미치는 영향: 모기의 장에서 번식합니다. 적절하게 번식을 하고이후 모기의 입으로 옮겨가, 타 개체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합니다. 장벽을 약화시킨다고도 하는데, 관련해서 자세한 reference나 리서치가 없어서 어떤 메카니즘인지 모르겠습니다. 장내 미생물로써 모기가 번식을 적게하고 흡혈을 자주 하게 만드는 등, 타 개체로 원충의 감염기회를 높이는 방향으로 호르몬을 분비한다고 합니다.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원충에 감염된 모기는 수명이 25% 정도 짧다고 합니다.
닥터프레드릭쇼팽
23.02.02
침효오오
23.02.02
오 신기방스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3.02.02
어허 싸이 허브의 존재를 바깥으로 유출하다니
@닥터프레드릭쇼팽
rgmq19
23.02.02
싸이허브 도메인은 또 언제 hkvisa로 바뀐거죠 ㅋㅋㅋㅋ
@닥터프레드릭쇼팽
닥터프레드릭쇼팽
23.02.03
모두에게 평등한 지식을!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닥터프레드릭쇼팽
23.02.03
최근 리걸 압박이 심해지면서 도메인 종류가 더 늘어난 것 같습니다
연구자료 업데이트도 2022년 2월이 마지막이고.. 오호통재입니다...
@rgmq19
어금니탈곡기
23.02.04
무친 감사합니다. 모기도 말라리아 인간 조심해야겠네요
@닥터프레드릭쇼팽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테이저건
1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님 목격 썰
4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무한궤도
1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이번 팝업에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