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컴퓨터 '과학'이 뭘까용

4rom1b
23.01.20
·
조회 670

저는 미국 컴퓨터 ‘과학’ 박사과정 학생이고, 컴퓨터 시스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 분야도 대충 학계가 컴퓨터 ‘과학’이라고 인정해주긴 하는데 저는 왜 이게 ‘과학’인가 싶습니다.

왜냐면 컴퓨터 시스템 분야는 과학에 거의 기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위해 개쩌는 컴퓨터 시스템 학회(OSDI)의 개쩌는 논문(REPT[1], Best Paper Award 받음)의 예를 들어봅시다.

REPT는 프로그램에 버그가 났을 때, 버그가 난 시점으로부터 명령어를 거꾸로 실행시켜서 버그의 원인을 최대한 알아내는 방법에 대한 논문입니다..

이게 개쩌는 이유는 (1) 모든 명령어를 거꾸로 실행시킬 수는 없고 (e.g., xor eax eax) (2) 동적인 변수 (메모리 주소)는 명령어만 봐서는 값을 모르고 (3) 실제 프로그램은 병렬 처리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제약조건들을 잘 해결했기 때문입니다.

REPT는 저 3가지 문제를 컴퓨터 명령어들을 정/역 방향으로 반복실행하는 것으로 일부 해결합니다.

 

저는 이게 오지고 지리는 공학적 아이디어인 점은 인정하지만 과학에 기여한 것은 상당히 적다고 봅니다.

그래프 이론, 오토마타, 암호학 등 이론 컴퓨터 과학에서 풀고있는 문제와는 거의 접점이 없고, 저자들 스스로도 ‘개발자’들에게 이 아이디어가 도움 될 것이라고 논문을 마무리 짓고 있기 때문입니다[2].

 

즌문분야의 즌문용어가 나오니 어려워보이는데, 좀 쉬운 예시로 삼각형 모양의 커피우유 디자인을 들겠습니다.

서울우유

1980년경 당시 종이곽이 상용화 되기 전에, 유리병의 단가와 회수 문제로 도입된 일명 ‘포리’팩입니다.

포리 팩은 개쩌는 공학적 디자인입니다. 유리병 대비 적층시 단위 부피당 음료량이 많고, 쉽게 깨지지도 않고, 가격도 쌉니다.

하지만 이런 디자인 고안 자체가 1980년 당시 과학에 뭔가 기여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컴퓨터 시스템 연구들도 대부분 포리팩처럼 번득이는 직관으로 매우 좋은 공학적 아이디어들을 낸 것들입니다.

다시 말해서, 매우 좋은 공학적 아이디어들일 뿐, 컴퓨터 과학에 기여한 점은 상당히 적습니다.

님들 의견은 어떠신가욤? 동의하시놔욤?

 

[1] https://www.usenix.org/conference/osdi18/presentation/weidong

[2] we hope one day developers will refuse to debug failures without reverse debugging

댓글
급할때는우에하라
23.01.20
과학의 의미는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연구하는 것이라고 대학 시절 배웠습니다. 결과보다는 과정에서 과학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분류학에서도 '공학'도 '기술과학'이라는 대분류에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저는 컴퓨터 시스템 연구도 실험을 통해 증명하는 학문이라면 충분히 과학이라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rom1b 글쓴이
23.01.20
제 주장은 컴퓨터 시스템 연구는 공학적 아이디어의 제안일 뿐, 과학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에 대한 반대 의견으로 공학은 이미 과학이며, 컴퓨터 시스템 연구 자체도 과학이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저어는 사알짝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요, 그 이유는:
- '공학'도 '기술과학'이라는 대분류에 포함이 됩니다
일부 공학은 과학적이다, 정도 의미로 생각됩니다.
만약, 모든 공학이 과학적이라면 반례가 여럿 있기 때문입니다. (e.g., 모래성 높게 쌓기는 공학적이지만, 모래와 물이 만나면 왜 성을 쌓을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해지는지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최근에 진행되었습니다)
- 실험을 통해 증명하는 학문이라면 충분히 과학
유사과학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문제도 있고, 결정적으로 이론컴퓨터 과학들을 과학으로 부를 수 없게 됩니다.
계산 복잡도 문제들 (e.g., 정지 문제)은 수학적 증명으로 끝내니까요.
급할때는우에하라
23.01.20
유사과학은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과정이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엄연히 과학이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 우리는 보통 과학을 얘기하면 자연과학에 한정해서 떠올립니다. 하지만 학문에서의 과학은 실험을 통해 증명하는 걸 통틀어서 과학이라고 부르며 작성자님께서 연구하시는 학문도 -구체적으로는 제가 뭔지는 잘 몰라 아닐 수 있지만-단순히 공학적 아이디어의 제안일지라도 여러 테스트를 통한 연구의 과정을 거친다면 충분히 과학이라 부를 수 있지 않을까요....? 기술적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을 공학이라고 했을 때 컴퓨터공학 또한 컴퓨터에 대한 기술적 방법을 여러 실험을 통해 증명해야 결과가 나오니까 과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일부 공학이 과학적이다라기 보다는 공학 자체가 과학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4rom1b
뽁뽁이아저씨
23.01.20
저 커피우유 모양으로 만들면 많이 넣을 수 있다는 지식이 쌓였는걸요? 그리고 처음에 제안할 때 그 모양이 왜 효율이 높은지 왜 파손이 덜 되는지도 설명하거나 검증하지 않았을까요? 이 또한 과학인것 같습니다.
4rom1b 글쓴이
23.01.20
지식이 쌓이면 과학이다 -> 동의합니다.
커피우유 모양으로 만들면 많이 넣을 수 있다는 지식이 쌓였다 -> 글쎄요, 1980년 이전에 이미 그 정도는 알고있었을 것 같습니다.
처음에 제안할 때 그 모양이 왜 효율이 높은지 왜 파손이 덜 되는지도 설명하거나 검증하지 않았을까요? -> 동의합니다. (검증했을것같다는말)
이 또한 과학인것 같습니다. -> 글쎄용; 이미 증명된 과학적 사실의 재검증, 재증명 정도 아닐까요. 재검증과 재증명 정도의 과학적 기여는 확실해보입니다. 다만 그 정도가 상당히 적어보입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소스코드 분석할때 (이미 검증된) 그래프 탐색 이론 가져다 쓰는데, 그 탐색 이론이 잘 동작한다고 재검증했다는 정도의 과학적 기여가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별사람
23.01.20
Rocket Science라는 말도 사람들이 쓰지만 사실 공학이죠
4rom1b 글쓴이
23.01.20
넴 (잘은 모르지만) 로켓사이언스랑 비슷한 느낌 들어요
치즈모치
23.01.20
Computer Science는 Science department 보다는 Engineering department 에 속하는 경우가 더 많은 거 같아요.
이름의 역사에 관해선 "Computer Science"란 단어를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에서 이런 문구가 있네요:
₩₩₩ the field of business, computers, data processing and closely related fields (let us call them the "computer sciences")₩₩₩
저는 조금만 읽어봤는데 이름의 역사에 대해 궁금하시면 재밌게 읽으실 수 있을듯.
4rom1b 글쓴이
23.01.20
무명소졸
23.01.20
알고리즘학에 가까운것이 컴퓨터 '과학' 아닐까요? 좀더 수학에 가까워진 느낌으로...
절대햄탈해
23.01.20
사이언스 라는 단어의 어원과 현재 우리가 느끼는 사이언스는 차이가 있다 합니다.
뉴턴도 자기가 저작한것을 자연철학이라 했어요. 이게 나중에 사이언스로 떨어져 나온거구요.
갈릴레오도 후원자 찾는다고 옛날식 PPL만들고 별 난리가 아니었습니다. 우리가 존경하는 학자들은 당대에 기여할려고 연구한게 아닙니다. 할 수 있었고 하고 싶어서 그리 된거지요. 그들 모두의 성공과 실패가 기여 그 자체지요.
그 겸손하심에, 횐님은 그런 의문 자체로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4rom1b 글쓴이
23.01.21
예 뭐, 제 의문이 과학에 기여를 하는지는 별개로 두고,
시대가 바뀌어감에 따라 과학의 범위가 점점 변하니까 (테세우스의 배 처럼), 오늘날 컴퓨터 시스템 분야도 미래에는 이견없이 과학으로 쳐줄 날이 올 수 있다, 로 정리해도 될까요?
절대햄탈해
23.01.21
과학이 뭐 별거 있습니까. 정량화 하고 실험하고 통계냈는데 맞으면 그게 과학이지요.
@4rom1b
궤소리방정식
23.01.21
컴퓨터과학 내에 수많은 분야가 있는데 그중 어떤 분야는 과학에 가깝고(오토마타 이론, 알고리즘, 암호학,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 등) 어떤 분야는 공학에 더 가까운게 아닐까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론, 네트워크, 그래픽, HCI 등) 근데 생각해보니 이건 이론이랑 응용의 구분같기도 하고... 컴퓨터과학이라는 단어가 좀 모호해서 그런지 정의를 확실히 해야 할 것 같습니다.
4rom1b 글쓴이
23.01.21
생각해보니 과학철학자들이 하는 일이 '무엇이 과학인가'에 대답하는 건데, 문제는 이분들의 통일된 대답이 딱히 없단겁니다.
일단은 컴퓨터 사이언스에 유리한 의견 골라서 컴퓨터과학도 과학이라고 주장해주면 되는 부분인거같습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겠지만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3924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291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497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482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463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652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716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288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41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985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394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887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16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680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67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17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095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04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56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36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