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작열통을 견뎌낸 스님, 틱꽝득

미르띤이마룡
23.10.20
·
조회 911

베트남 불교 단체에 의하면 7살에 베트남 임제종(Lâm Tế tông)에 입문하여 출가했고 이후 1932년까지 수행을 거듭하다가 1932년에 안남불교회가 성립되면서 베트남 중부와 남부 일대를 돌아다니면서 포교와 사찰 재건에 힘을 썼다고 한다. 이후 캄보디아로 유학 가서 상좌부 불교에 대해서도 공부했고 베트남이 프랑스 식민 지배 체제에서 벗어난 후에는 남베트남에 머무르면서 사찰 재건 및 포교, 신도 교화에 힘을 쓰면서 남베트남 불교계의 거목이 되었다.

 

그러나 바오다이를 내쫓고 남베트남의 대통령이 된 응오딘지엠(Ngô Ðình Diệm)이 불교 탄압 정책과 독재 정치를 펴기 시작했고[2] 친인척들이 대규모로 비리를 저지르면서 남베트남의 형세가 다시 막장이 되기 시작했다. 게다가 불교 탄압 정책에 맞서서 저항하던 승려들을 무차별 진압하는 일과 베트남 곳곳에서 가톨릭을 내세워 불교 신자인 마을 주민들을 강제로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는 일도 벌어졌다.

 


1963년 5월 8일은 부처님오신날(베삭 데이) 2527주년인 만큼 남베트남 전역에서 일련의 축하 행사가 열렸는데 가톨릭 신자였던 응오딘지엠은 불교 행사를 못마땅하게 여기고 종교적인 상징을 내세우고 거리 행진하는 것은 법에 저촉된다며 부처님오신날(베삭 데이) 축하 행사를 진압할 것을 경찰에 명령했다. 당연히 진압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했고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람도 발생하였다.

 

 

틱꽝득은 이에 맞서 1963년 6월 11일 불교 승려들의 침묵 가두시위가 있었던 사이공에서 가부좌를 틀고 주변 승려들의 도움을 받아 휘발유를 몸에 붓고[4] 소신공양을 감행하였다. 그리고 사진과 영상이 특보에 호외, 속보를 타고 전 베트남은 물론 전 세계로 일파만파 전파되었다. 소신공양 당시 67세(세는나이), 법랍 47년이었다.

 

 

내가 눈을 감아 부처님의 곁으로 가기 전에, 국민들을 받들고 조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해 종교적 평등을 실행하기를 응오딘지엠 대통령께 정중히 간청드립니다. 경애하는 신도들이여 부처님이여, 그대들이 결속하여 불교를 지키기를 바라며 이 몸을 바칩니다. 나무아미타불.
Trước khi nhắm mắt về cảnh Phật, tôi trân trọng kính gởi lời cho Tổng thống Ngô Đình Diệm nên lấy lòng bác ái từ bi đối với quốc dân và thi hành chánh sách bình đẳng tôn giáo để nước nhà vững yên muôn thủa. Tôi thiết tha kêu gọi chư Đại Đức Tăng Ni Phật tử nên đoàn kết nhất trí hy sinh để bảo tồn Phật giáo. Nam Mô A Di Đà Phật
- 틱광득이 죽기 전 남긴 마지막 편지
 
 
나는 그 광경을 다시 볼 수도 있었지만 한 번으로 족했다. 불꽃이 솟구치더니 몸이 서서히 오그라들면서 머리는 새까맣게 타들어갔고, 사람 살 타는 냄새가 진동했다. 놀라울 정도로 인간의 몸은 빠르게 불탔다. 내 뒤에 모여든 베트남 사람들은 흐느끼며 울기 시작했다. 너무나 충격을 받은 나는 울음도 나오지 않았다. 극도로 혼란스러워 메모를 작성하거나 질문을 던질 수도 없었다. 생각조차 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불길에 휩싸여 타들어 가면서도 틱꽝득은 미동은커녕 신음소리 하나 내지 않았다. 그런 그의 모습이 울부짖는 주위 사람들과 날카로운 대조를 이루었다.
- 뉴욕타임스 베트남 특파원 데이비드 핼버스탬
 
 
틱꽝득의 소신공양 사진. 충격적일 수 있으므로 클릭 시 주의
 
 
정권에 저항한 분신자살 시위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끝까지 가부좌를 풀지 않고 비명조차 지르지 않는 위업은 종교적인 열망과 독재 정권의 패악에서 고통받는 민중을 구원하고자 하는 진심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통증 중 굉장히 고통스럽기로 유명한 작열통을 죽음에 이를 때까지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태연하게 견딘 것은 평범한 인간을 초월한 인내력이 아니면 불가능한 행위다. 문지방에 발가락 끝을 부딪혔을 때에도 저절로 아! 소리가 나오고 얼굴이 찌푸려지며 때론 욕설까지 나오기도 하는데 온몸이 활활 불타는 상태에서도 신음 한 번 내지 않고 가부좌를 유지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울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9] 이를 본 주변 사람들은 당연히 경악했다.
 
 
소신공양을 감행하기 전에 그는 제자들에게 “앞으로 넘어지면 흉한 것이니 해외로 피신해야 하며 뒤로 쓰러지면 투쟁이 승리할 것”이라는 말을 남겼고 진짜로 뒤로 쓰러져 사망했다. 이건 정말 자유에 대한 갈망이 낳은 기적적인 일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신체는 반사작용을 통해 고통이 있는 부위를 중심으로 움츠러들게끔 설계되어 있어 소사체는 근육들이 수축해서 자연스레 안으로 오그라들기 때문이다.그렇게 되지 않았다는 것은 본인이 고통을, 그것도 작열통을 견디면서 그 고통과 동반되는 신체작용을 의식적으로 억제했음을 의미한다. 그는 그렇게 표현조차 하기 힘든 고통을 인내하며 초월적인 의지로 몸을 펴고 열반했다. 이 경이로운 광경에, 그리고 그 숭고한 최후에 경찰들은 넋을 잃고 멍하니 서서 바라보았으며 주위의 승려들은 틱꽝득에게 일제히 절을 올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승려들을 감시하던 경찰들도 같이 그에게 절을 올리거나 받들어 총 자세로 예를 갖추었다.
 

결국 틱꽝득은 특단의 결정을 내렸다. 가두 행진 1달째인 6월 11일, 미국 대사관 한복판에 가부좌를 하고 앉은 그는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다. 독재 정권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소신공양을 하기로 한 것. 그는 소신공양을 하기 전, 다른 승려들에게 "앞으로 넘어지면 흉조이고 뒤로 넘어지면 평화를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놀랍게도 그는 온몸이 화염에 휩싸였음에도 끝까지 가부좌 자세를 유지했다.

그의 모습을 본 사람들은 오열하며 슬퍼했고, 시위를 막아서던 경찰들 역시 받들어 총 자세로 경의를 표했다. 결국 10여 분 뒤 틱꽝득은 뒤로 쓰러지며 숨을 거두고 말았다.

 
소신공양이 끝난 후 그의 법체는 다시 한 번 소각로에 넣어져 8시간 동안 화장(火葬)되었지만 그의 심장은 전혀 타지 않았다는 말이 있다.[12] 이후 남베트남 정부에서 파견된 비밀경찰이 황산을 뿌려 훼손을 시도했으나 이마저도 실패해 금속 용기에 구리줄로 봉인하여 스웨덴 은행에 맡겨졌다가 이후 하노이 국립 은행에서 소장 중이라고 한다.
 
그 후 더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소신공양 이후 틱꽝득의 시신은 소각장으로 옮겨져 6시간 동안 더 태워졌는데, 4천 도 씨의 불에서도 그의 심장이 타서 없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후 연료를 보충해 2시간을 더 태웠지만, 여전히 그의 심장은 없어지지 않았고, 심지어 경찰들이 황산을 뿌려도 심장은 녹지 않았다.
 
 
 

영향

 

이 사진이 미국 언론에 보도된 덕분에 원래도 이미지가 안 좋아지던 응오딘지엠 정권의 이미지는 바닥을 치게 되었고 응오딘지엠을 그때까지 지원하던 미국은 부패 정권을 돕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면서 베트남 개입의 명분이 약해졌다. 그리고 인구의 90%에 달하는 불교를 탄압하며 시선을 끌던 응오딘지엠 정권에 민심은 더욱 분노해 사회 혼란은 가중되었다.

게다가 응오딘지엠의 동생인 응오딘누의 부인이자 역시나 당시 응오딘지엠 정권의 부패와 깊숙히 연결되어 있었던 마담 누 쩐레쑤언은 틱꽝득 스님의 소신공양에 대해 미국 방송 인터뷰에서

 

그에 비하면 불교 지도자 놈들이 한 게 뭐가 있습니까? 기껏해야 중놈 하나 바베큐로 만든 것뿐인데 말입니다.
What had the buddhist leaders done comparatively? The only thing they have done: They have barbecued one of their monks.

 

이런 사탄도 차마 못 할 고인에 대한 모욕을 해서 베트남 국민들의 깊은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모욕 대상을 보면 당연히 어지간한 쌍욕보다도 높은 수위다. 자기 말로는 서구화에 항의하는데 미국제 가솔린을 쓰고 있으니 이건 앞뒤가 안 맞는 일이라고 아무렇지도 않게 말해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도 "뭐 저런 정신나간 미친 여자가 있어?"라며 그 자리에 같이 있었던 미국인들도 어이없어했을 정도였다.

 
군다나 쩐레쑤언은 응오딘지엠 대통령 본인의 부인이 아닌 제수였지만 응오딘지엠이 독신주의자라 영부인이 없어 실질적인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하던 사람이었는데 그녀는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본인의 친정 오빠가 처형된 것에 앙심을 품고 반정부 세력에 대해 퍼스트 레이디로서는 부적절할 정도로 지나치게 극단적인 증오심을 표출했음은 물론, 굉장한 무개념이라서 오만가지 비리와 폭정에 관여하는 통에 베트콩의 선전에도 간접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미국 보수파들도 이를 두고 스스로 베트남 반공세력을 좀먹게 한다고 한탄했을 정도였다.
 


여기에 응오딘지엠 대통령은 대통령대로 정신 못 차리고 불교도들의 저항을 강경하게 찍어눌렀고 8월 초 응오딘뉴가 사이공의 싸 러이 사원에 군경을 보내 짓밟아 반발심을 초래했다. 쩐레쑤언이 가사를 입었든 말든 외국인 선동자들은 모두 추방해야 된다고 주장하면서 강경진압을 옹호한 것은 물론, 이를 두고 "1955년 빙쑤옌 진압 이후로 내 인생에 가장 행복한 날(the happiest day in my life since we crushed the Bình Xuyên in 1955)"이라는 발언까지 하면서 불교 신자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갔다. 베트남 국민의 90%가 넘는 불교도들이 분노한 것은 당연했지만 응오딘지엠은 이게 다 빨갱이들의 준동일 뿐이라는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았다.
 
 
응오딘지엠 정권의 이런 막장 대응에 식겁한 백악관은 결국 응오딘지엠 정권을 종교를 탄압하는 악질 부패 독재 정권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결국 미국은 1961년의 쿠데타를 묵인했으며 1963년 10월에는 백악관 주도로 응오딘지엠 교체가 논의되었고 케네디 대통령은 응오딘지엠 제거에 동의했다. 이러한 미국의 모습에 남베트남의 군사 지도자들은 미국이 응오딘지엠에게 완전히 등을 돌렸다는 것을 확신하고 크게 고무되었다.
 
 
결국 1963년 11월 베트남 공화국 육군의 즈엉반민(楊文明)[21] 소장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응오딘지엠 정권은 무너졌다. 한편 응오딘지엠 대통령은 사이공의 한 성당으로 달아난 뒤 미국 대사에게 지원을 요청하고 미국의 입장을 요청했지만 주 베트남 미국 대사 롯지는 아무런 입장이 없다며 사실상 도움을 거절했고 자신은 누가 쿠데타를 일으켰는지 모른다면서 신변상의 이유로 하야를 권하고 쿠데타 세력이 만약 당신이 항복한다면 안전한 출국을 보장한다고 말하면서 사실상 쿠데타 세력에 편중된 모습을 보였다. 실망한 응오딘지엠은 질서 회복에 노력할 것이라고 하고 전화를 끊었다.
 

하지만 대세는 완전히 기울어졌고 이후 동생 응오딘뉴(吳廷瑈 1910~1963)와 함께 11월 2일 오전 6시에 쿠데타군에게 항복했으나 군부에게 처형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쿠데타군이 두 형제의 안전한 출국을 보장하겠다며 호송용 육군 장갑차를 보냈고 거기에 탑승하자마자 양손을 결박한 뒤 장갑차 안에서 총살해 버렸다. 물론 군부는 그들이 탈출 중에 사살당했다고 주장했지만 후일 공개된 처형 직후의 사진은 양 손이 묶여 있고 머리에 총알구멍이 난 전형적인 총살당한 사람의 모습이었다.
 

한편 응오딘뉴가 참혹하게 사살당할 때 당시 방미 중이던 쩐레수언은 얼른 달아나서 프랑스, 미국, 영국 같은 나라를 떠돌다가 87세였던 2011년 4월 24일 이탈리아 로마의 초라한 호텔에서 초라하게 천수를 누리고 세상을 떠났다. 죽을 무렵에 베트남 정부에 대해 고향에서 죽고 싶다고 애원했으나 베트남 정부나 여론은 "우리는 그쪽네 시체도 받아줄 생각이 추호도 없고 50년 가까이 지났어도 당신 죽이고 싶어하는 사람 아직 많으니까 베트남에 오면 당신 시체도 보전 못 한다. 그러니까 그냥 가만히 해외에서 죽어라."시체 보전하고싶다면 오지말라는 친절한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결국 쩐레쑤언은 이탈리아의 공동 묘지에 대충 묻혔다. 방미 당시 두 딸을 데리고 있었는데 큰딸은 1967년에, 작은딸은 2012년에 차례로 사망했다. 사인은 공교롭게도 모두 교통사고였다고 한다.
 
 
북베트남 정권에서는 틱꽝득의 소신공양 이후 응오딘지엠 정권이 붕괴한 것은 좋게 평가했지만 이후에도 남베트남의 정세는 안정되지 않았으며 혼란만 계속 이어진 끝에 사이공 함락으로 이어졌다고 보아 틱꽝득의 죽음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한동안 평가절하했다. 그의 소신공양 이전에도 불교 탄압에 항의하는 승려들의 분신 사례가 북베트남과 중국에서도 역시 발생한 바 있었기 때문에 북베트남 사회주의 정권도 종교적 신념에 의한 소신공양을 반체제 행위로 보아서 달가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분신 시 틱꽝득의 의연한 태도와 심장 보존 등의 기적이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것도 유물론자들은 좋아하지 않았다. 사실 사회주의자뿐 아니라 쩐레쑤언을 포함한 남베트남의 가톨릭 신자들 중 일부도 틱꽝득이 약에 취한 상태가 아니었는지 의심하기도 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남베트남 출신 이민자들 중 일부는 '틱꽝득이 베트콩 첩자들에게 납치되어 마취당한 후 희생되었다'는 음모론을 지금까지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당시 현장을 목격한 사람들의 주장과도 어긋나는 데다 타당한 근거로 뒷받침되지 못한다
 

당시 종교 탄압에 맞선 저항으로서 이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한국처럼 민주화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면 베트남 역사와 교과서에서 크게 추앙받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히려 남베트남이 멸망하고 적화통일의 도화선이 되었기 때문에 평가절하되는 면이 있다. 실제러 국제인권단체 프리덤하우스에서 발표한 2022년 세계자유지수에서 한국은 83점으로 '자유국가'로 분류되고 그다지 상태가 좋지 못한 방글라데시도 '부분자유 국가'로서 39점인데 베트남은 '19점'으로서 '부자유 국가'로 선정될 정도로 타락하였다. 그렇다고 북베트남이 좋아할 리도 없다. 물론 '이이제이' 전략으로서 당시에야 남베트남을 멸망시키는 도구로서 악용할 수도 있었으나 이젠 자신들의 천국이 되었고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있으니 '저항의 상징'이었던 틱꽝득이 인민들에게 널리 알려지면 오히려 독재정권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공산주의자들은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라는 말처럼 종교 역시 인민들을 압제하는 수단이라고 봤고[26] '불교국가' 티베트를 지배한 중국공산당이 내세우는 명분이기도 하니 베트남 공산당 역시 종교 자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현 베트남 정권은 물론, 해외에 망명한 남베트남 출신 이민자들도 가급적 언급하기를 꺼리는 비운의 인물이 되었다.
 
 
 
댓글

😄유머 전체글

북한의 락 스피릿 7
웃음
샤샤냥냥
·
조회수 937
·
23.10.21
어느 한 금손의 파급력 10
웃음
라노llano
·
조회수 6870
·
23.10.21
대머리 전골 31
웃음
칢챩먢
·
조회수 8293
·
23.10.21
속담 저급하게 말하기 대회 31
웃음
침착맨장재미슴
·
조회수 10843
·
23.10.21
고통의 신 서진이네 2
웃음
잘해구와
·
조회수 1060
·
23.10.21
(공포,기괴) 초당순두부 너무 많이 먹으면 안 되는 이유 3
웃음
GAL
·
조회수 968
·
23.10.21
한국관광공사가 선택한 아저씨 1
이야기&썰
침하와와
·
조회수 1390
·
23.10.21
물고기를 잡은 너희들이 너무 대견하다... 11
웃음
GAL
·
조회수 6328
·
23.10.21
야발아저씨가 미연시를 그만둔 이유 37
웃음
습하이더맨
·
조회수 9176
·
23.10.21
미국에서 인종차별 안 받았던 이유 14
웃음
옾월량
·
조회수 10335
·
23.10.21
야엘과 시사라,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캔버스에 유화, 1620 2
이야기&썰
우기98
·
조회수 617
·
23.10.21
최신 북한 내 한류 근황.hero 2
웃음
서망고
·
조회수 1166
·
23.10.21
관우를 설득하는유비 4
웃음
승듸님
·
조회수 1184
·
23.10.21
'휴가 군인' 고기값 내준 '천사 청년'...장병 아빠는 얼굴을 감싸쥐었다 16
이야기&썰
어려워서잘풀겠는데요
·
조회수 6591
·
23.10.21
2주만에 잡힌 카드 절도범 8
웃음
차도르자브종수
·
조회수 6984
·
23.10.21
'신'의 메시지가 왜곡되는 이유 8
웃음
푸르로닝
·
조회수 7664
·
23.10.21
영화관에서 나쵸를 조용히 먹어야하는 이유 4
웃음
푸르로닝
·
조회수 1254
·
23.10.21
복숭아 밑에 천이 깔려 있어야 하는 이유 15
웃음
GAL
·
조회수 7018
·
23.10.21
비운의 명장, 미나모노토 요시츠네
이야기&썰
미르띤이마룡
·
조회수 1140
·
23.10.21
추워서 말이 안나오네 진짜
바이코딘
·
조회수 1653
·
23.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