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지하철 타고 갈 때 생각하기 좋은 2호선 역명 역사

데미소다
22.12.19
·
조회 5475

1. 을지로입구

 

 

을지문덕 장군의 이름을 따 만든 을지로이다.

광복 후 일제 잔재지명을 바꾸게 되는데, 을지로, 충정로, 충무로, 세종로가 이와 같다.

한국 역사 속 위인들의 이름을 따 만들게되었다.

 

2. 왕십리

 

 

도읍을 정할 때 가장 중요했던 건 풍수지리였다.

무학대사가 여기쯤이 좋지 않을까? 해서 이 곳을 정했으나, 어느 농부가 이 곳이 아니라 십리를 더 가라 해서

왕십리라는 이름이 되었다. 말 그대로 갈 왕 往 열 십 十 길 里 (왕 왕 王이 아니다!)

후대에 십리를 더 가라고 했던 농부는 도선대사(신라 말 승려이자 풍수지리에 큰 영향을 줌)의 화신(아바타)이었다는 설이 있다.

 

3. 뚝섬

 

 

이름의 유래는 태조 이성계를 상징하는 깃발, 독기라는 깃발이 이 곳까지 떠내려와 이 곳을 독도라 부르게 되었다.

그런 후 세월이 흘러 독도→둑도→뚝도→뚝섬으로 이름의 변형을 걸쳐 자리잡게 되었다.

+ 뚝섬은 섬이 아니지만, 홍수가 나면 섬처럼 변해 사람들이 섬으로 생각했었다.

 

4. 성수

 

 

뚝섬을 품고 있는 성수는 두 가지 이름을 합쳐서 만들어진 것인데

앞의 성은 성덕정의 성으로 성덕정이란 왕이 군사 훈련과 말 사육을 바라보던 곳이었다. 뒤의 수는 뚝섬 수원지의 수를 가져왔다. 

또 다른 어원으로는 말 그대로 깨끗하고 아름다운 성스러운 물에서 따왔다고 한다.

 

5. 잠실

 

 

잠실의 잠은 누에 잠 蠶 으로, 말 그대로 누에를 치던 방이다.

또 하나의 이야기로 옛날 사람이 남산을 볼 때 누에처럼 생겼다 해서 남산의 또 다른 이름으로 잠두봉이라 불렀다.

잠두봉은 말 그대로 누에의 머리라는 뜻이다. 그 당시 중요했던 누에산업이었기 때문에, 남산을 먹여야한다라는 마음으로 

남산을 중심으로 동잠실, 서잠실로 나누게 되는데 현재 동잠실은 잠실로, 서잠실은 연희동쪽이다.

 

6. 삼성

 

 

봉은사 마을, 닥점 마을, 무동도 마을 이렇게 세 마을을 합쳤다고 하여 삼성이다.

삼성이 아니다!

 

7. 선릉

 

 

선릉은 성종의 묘, 정릉은 중종의 묘이다. 선정릉이라 붙여 얘기 하는데 여기서는 선릉만 떼서 사용한 것이다. 

 

8. 역삼

 

 

윗 방아다리, 아랫 방아다리, 말죽거리 이 세 역촌이 모여있다 하여 역삼이다.

우리가 아는 말죽거리 잔혹사의 말죽거리가 여기서 따온 것이다.

 

9. 낙성대

 

 

강감찬 장군이 태어난 곳으로, 태어날 때 별이 떨어졌는데, 범상치 않은 인물이 태어났다 하여 

떨어질 낙과 별 성을 붙여 낙성대라는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대학교가 아니다!

 

10. 문래

 

 

문래는 두 가지 썰이 있다.

하나는 일제강점기때 방직공장이 이 곳에 들어섰는데, 방직과 관련해 가장 유명한 사람의 이름을 따

문익점으로부터 목화가 전래라고 하여 문래가 되었다는 썰

다른 하나는 이 지역에 학교와 관공서가 밀집하게 되어 글자가 온다라는 뜻의 문래가 되었다는 썰이 있다.

 

11. 합정

 

 

지금은 합할 합 合과 우물 정 井을 쓰지만, 원래는 조개 합 蛤을 썼다.

이는 예전에 조개우물이 있던 곳이었다는 것인데, 조개우물을 어디에 사용했냐면 망나니들이 참수를 할 때 뿌리는 물이었다.

합정동에 절두산이 있는 이유도 그 이유에서이다.

 

12. 충정로

 

 

을사늑약 체결에 항거한 충정공 민영환과 관련이 있다.

민영환의 시호를 붙여 만든 것이 충정로이다.

 

13. 아현

 

 

5호선 애오개역과도 관련이 있는데, 아이가 나가려는 형상이라, 이를 떡을 주어 앉힌다는 뜻 유래가 있고,

고개가 험하다보니 아이고~ 소리가 나 아이고개라는 말이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짧은 역 지식으로

 

14. 신답, 용답 - 답은 논 답 畓과 관련이 있다.

15. 구의 - 구정동의 구와 산의동의 의를 합쳐 만들었다.

16. 방배 - 우면산을 등지고 있다라는 뜻이다.

17. 사당 - 말 그대로 사당이 있었던 곳이다.

18. 당산 - 당이 들어가면 주로 무당과 관련이 있는데, 무당이 있던 산자락이라는 뜻이다.

19. 신촌 - 말 그대로 새로운 마을이라는 뜻이다.

 

 

 

 

 

 

 

 

이 정도로 2호선의 역 이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이동진님의 파이아키아 채널에 있는 내용을

글로 적어놓은 것 뿐이라, 시간이 있다면 적지 못한게 더 많으므로 이동진님의 유튜브를 참조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하다보니 재밌어져서, 마지막에 추천해주신 책을 바탕으로 내가 주로 다니는 역 호선을 찾아볼까 생각 중이다.

 만약 다음에 다시 적게된다면 5호선, 9호선 이름의 역 유래가 되지 않을까 싶으면서..

 

 

 

참조 :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 역사로 알아보는 2호선 역명의 유래

       :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이미지

 

 

 

관련 글

 

지하철 타고 갈 때 생각하기 좋은 1호선 역명 역사

댓글
데미소다 글쓴이
22.12.19
글 잘 쓰는 게 어려워서 딱딱한 문어체로 쓰게 되네요.. 전에 봤던 내용인데 글로 정리가 안되서 제가 찾아볼 겸해서 정리하는 식으로 적어둡니다. 저 또한 역 이름에 대해 궁금해져서 찾아보게 되네요. 만약 다음에 또 글을 쓰게 된다면 그때는 5호선과 9호선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니면 다른 인물이나 사건으로 또 적어보겠습니다 그럼 이만 아디다디도다스
라그나로크
22.12.19
저는 이런 지식글은 구어체보단 문어체로 쓴것이 더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호선 역명들도 시리즈로 보게되면 좋겠네요~
모곰모곰
22.12.19
흥미롭네요~ 역삼역은 평소 지나치며 응삼이 비슷한 역이름이 촌시럽다 생각했는데 뜻은 생각보다 단순하네요
기부니조크든여
22.12.19
중국인들 많이 살았던 곳엔 을지로, 일본인들 많이 살았던 곳엔 충무로 센스있는 작명이죠ㅋ
침허허실실
22.12.19
2호선 매일 타는데 몰랐네요 유익하고 꿀 지식.. 감사하다
닉네임은어려워
22.12.19
서울대입구역에서 직선거리로 가장 가까운 대학은 숭실대입니다
두번째로 가까운대학은 무려 총신대입니다
서울대는 3번째에요
명예소방긘
22.12.19
넘모넘모재밌어요~~!!!
이빨빠진옥수수아앙
22.12.19
3호선 지축사는데 3호선도 이상한 이름 많은데 해주셍요
섹프박
22.12.21
웃지마세요
22.12.21
을지로, 충정로, 충무로, 세종로 이 세곳의 옛지명이 궁금해지네요!
유관장펄침기
22.12.21
10.문래
일제시대→일제강점기
일제시대라 함은 고구려시대, 조선시대 처럼 우리 한국의 독자적인 역사시대로 인정하는 뜻이라고 배웠읍니다.
따라서 강점기라는 표현을 쓰는게 옳다고 하더이다.
(반박 시 할 말 없음. 나 이과임. 고등학교 졸업한지 10년도 넘음. 공통사회 시간에 배움.)
데미소다 글쓴이
22.12.21
감사합니다 수정해놓을게요! :)
주부타이
22.12.22
길도랑
22.12.21
역시 위인 배성재의 일생과 함께하는 2호선
뜨뜻미지근
22.12.22
저는 신천 물길바뀐 얘기가 항상 재밌슴
빠니하오쉐쉐
22.12.22
천지호
22.12.22
너무 재밌어요 신기하네요 ㅎㅎ
볼기큰사춘기
22.12.22
오호라! 그래서 왕십리역 근방에 무학여고 이런 학교들이 있는 거군요!!
카스가이치반
22.12.22
신답-신설동+답십리
용답-용두동+답십리
둘 다 답십리와 관련된 역 이구요. 논에서 유래했다는 설 말고도 다른 설도 있습니다.
1.조선초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려고 이곳을 밟았다 하여 답심리(踏尋里)로 불렸다는 것과
2.흥인지문으로부터 10리가 떨어진 곳이라고 하여, 왕십리와 같이 답십리라고 불렀다는 설
전부 설이라 확실하지는 않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다는 점
권라떼
22.12.22
너무 재밌고 유익해요!!

💾침하하박물관 전체글

제 취미는 프라모델을 박살내는 것입니다 35
유저
WouldyouKim
·
조회수 5696
·
23.03.10
건축사진을 찍고 있습니당 122
유저
압구정뱀비
·
조회수 5616
·
23.03.10
F1 선수들은 왜 금수저들일까? 47
유저
대한민국은민주공화국
·
조회수 8894
·
23.02.26
🌈 네컷만화 연재 4 🌈 66
침하하
구난후
·
조회수 6795
·
23.01.09
<신문배달> 침하하 단편선 30
침하하
으랏차차우엉박
·
조회수 6369
·
23.01.09
🎊침투부 구독자 200만🎊 82
침투부
생각날때마다척추피기
·
조회수 10500
·
23.01.08
삼국지 연의와 정사의 차이점 85가지 46
유저
삼국군영전2해줘잉
·
조회수 6362
·
23.01.05
침착맨과 만두콘 88
침투부
돌격대장복실이
·
조회수 13120
·
23.01.06
요것만 알아도 나도 물리치료사...랄까? 어깨 통증에 대한 몇 가지 팁들입니다 58
유저
쭈꾸루
·
조회수 4618
·
22.12.27
역대 침투부어워즈 수상자들 32
침투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
조회수 7502
·
22.12.26
최고민수) 다시 다녀온 코쿠라성 40
유니버스
최고민수
·
조회수 8764
·
23.08.20
심심할때 보기좋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추천 21
유저
침나라루뚜공주
·
조회수 5271
·
23.08.20
침국지 마이너 인물열전 - 장범과 장승 (上) 20
유저
뚜자서
·
조회수 5045
·
23.08.13
[침하하게임북] 침하하를 여행하는 개청자를 위한 안내서 68
침하하
맹대곤영감
·
조회수 6559
·
23.08.14
침하하 횐님들을 위한 카메라/사진 설명회 1편 #발효된 지식 주의# 39
유저
사진아저씨
·
조회수 5132
·
23.05.21
해외여행 시 오프라인 저장하면 좋은 침착맨 영상 41
침투부
간하하
·
조회수 7898
·
23.05.05
침착맨을 위한 피즈 가이드(1장 - 라인전 스킬 활용 및 콤보) 35
유저
수학민슈
·
조회수 7482
·
23.05.02
세균민수가 말하는 남극이야기 - 세종기지 이야기 15
유저
세균민수
·
조회수 726
·
23.01.13
침착맨 4컷만화 모음 34
팬아트
파라오짭
·
조회수 8198
·
23.01.30
동양의 신궁(神弓)들 TOP6입니다. 51
유저
모지리
·
조회수 6387
·
23.01.27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