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원래는 완벽귀조(完璧歸趙)란 고사성어에서 유래된 말로,
중국 전국시대의 보물 화씨지벽(和氏之璧)과 관련된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전한 초왕의 무덤에서 발굴된 옥벽으로 화씨지벽도 아마 이렇게 다듬어졌을 것이라 여겨짐.)
전국시대 조나라 혜문왕은 중국 최고의 보물로 일컬어지는 화씨의 옥구슬을 얻게 되었다.
혜문왕이 화씨지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안 진나라 소양왕이 조나라에 사신을 보내 자신의 성 15개와 바꾸자고 제의를 하였다.
이 사신을 맞은 혜문왕은 진나라의 막강한 군사력에 거절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화씨지벽을 준다해도 소양왕이 자신에게 성을 주지 않을 것을 알고 있기에 고심하게 되었다.
이 때 재상으로 있는 인상여가 혜문왕에게 자신을 진나라에 보내달라고 요청하였고, 진나라로 가기 전 혜문왕과 약속을 하나 하였다.
"만약 소양왕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옥구슬에 흠 하나 없이 다시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진나라에 도착한 인상여가 소양왕을 만나러 가자 소양왕은 화씨지벽부터 찾았다.
인상여는 비단으로 곱게 싼 화씨지벽을 소양왕에게 올렸고, 옥구슬을 받아든 소양왕은 화씨지벽을 들어 신하들에게 자랑하며 옥구슬에 대해 극구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자신이 약속한 15개 성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이에 인상여가 소양왕에게 이르되 "폐하. 안타깝게도 그 옥구슬에는 한가지 흠이 있습니다."(여기서 ‘하자(瑕疵)’라는 말이 나오게 된다.)
소양왕이 놀라서 옥구슬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어디에 흠이 있는가?”
“저에게 주시면 제가 보여 드리겠습니다.”
소양왕은 아무 생각없이 옥구슬을 인상여에게 주었다.
옥구슬을 받아든 인상여가 뒷쪽 기둥 옆으로 나아가 소양왕에게 말했다.
"폐하 사실 이 옥구슬에는 아무런 흠집이 없습니다. 폐하께서 약속하신 15개의 성에 대해 한마디도 안 하시기에 옥구슬을 돌려받으려고 한 말이었습니다. 만약 왕께서 약속을 지키지 않으시면 이 옥구슬을 이 기둥에 던져 깨버리고 나도 죽겠습니다"

이에 소양왕은 그에게 속은 것에 대해 분했지만 어쩔수 없어서 약속을 지키겠다고 했다.
여기서 인상여가 소양왕에게 이르되, "이 일로 인하여 이 옥구슬에 부정이 탔을수 있사오니 왕께서는 3일동안 목욕재계하시고 이 옥구슬을 받으소서, 그동안 제가 보관하고 있겠나이다."
닷새 후에 진나라 왕은 구빈대례(九賓大禮)라는 큰 예를 갖추어 조나라 사신 인상여를 접견했다.
허나 인상여는 닷새 전 이미 하인을 백성으로 분장시켜 화씨지벽을 품에 감춰 몰래 조나라로 돌아가게 했다.
“역대 진왕들은 지금껏 한번도 약속을 제대로 지킨 적이 없어서 일단 화씨지벽을 다시 조나라로 돌려 보냈나이다. 15개 성을 먼저 넘겨 주신다면 즉시 화씨지벽을 진나라로 보낼 것입니다. 제가 대왕을 속인 죄는 죽어 마땅하니 팽형(烹刑)에 처해주십시오.”라는 것이었다.
팽형 즉 ‘삶아 죽이는 형벌‘로 죽음을 각오한 인상여의 결연한 대답에 진나라 대신들이 깜짝 놀라고 인상여를 당장 쳐죽여야 한다고 아우성이었다.
하지만 당시 진나라의 재상으로 있던 범수가 인상여를 죽이면 천하의 인심만 잃을 것이라며 소양왕과 대신들을 말리며 차라리 노이즈 마케팅으로 성대한 잔치를 벌리고 보내주어 진나라의 명예를 챙기자라는 의견을 내어 인상여는 무사히 귀국하게 된다.


예시) 포더킹이란 게임은 참 완벽한데 대장장이 직업에 하자가 있는 거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