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오늘 침착맨 님의 진화 질문에 대한 첨언!

꿀꾸리
23.02.13
·
조회 5823

안녕하세요, 생물 공부하는 대학생입니다.

침착맨님이 떠올리신 궁금증을 궤도님과 함께 잘 해결하신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이 있어서 몇 자 남겨봅니다.

 

진화의 개념은 잘 해결하셨지만 침착맨님이 언뜻 던지신 방향성에 대한 질문은 중간에 잊혀진 것 같습니다. 진화에 방향성이 없는데 왜 간단한 단세포 생물에서 복잡한 인간의 형태로 진화가 이루어졌을까요? 진화는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일까요?

 

<풀 하우스>라는 책에 담긴 스티븐 제이 굴드 라는 진화생물학자의 의견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궤도님이 잘 설명해주신 것 처럼 진화 과정에서 변이가 발생하고, 변이 중 생존에 적절한 것 만이 존속하면서 다양한 생명체가 만들어집니다. 결국 진화적 시간이 흐르면, 다양성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복잡성이 증가하는 것 처럼 보일까요? 굴드는 더 이상 단순해질 수 없어서 복잡성이 증가하는 것 처럼 보인다고 설명합니다. 진화의 출발점이 더 이상 단순해질 수 없는 단세포생물의 형태였기 때문에 거기서 더 단순해지는 쪽의 다양성이 발생하면 생물로 생존할 수 없어서 사라집니다. 반면에 복잡해지는 쪽은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복잡한 쪽의 다양성은 쭉쭉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아래는 <풀 하우스>에 나오는 그림입니다. 표의 왼쪽에 벽이 있죠. 그 이상 간단해지면 생존할 수 없어 존재하는 벽입니다. 생물은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왼쪽(간단)과 오른쪽(복잡)으로 모두 뻗어나가려 하지만 왼쪽은 벽에 막혀서 오른쪽으로만 뻗어나간 것입니다.

이것 또한 굴드의 해석일 뿐이기 때문에 이견이 있을 수 있고 진리가 아닐 수 있지만, 진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요약

  1. 진화는 의도나 목적 없이 생물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2. 출발이 너무 간단했기 때문에 더 단순한 쪽으로는 다양성이 증가하지 못하고, 복잡한 쪽으로만 다양성이 증가했다.
댓글
궤도
23.02.14
BEST
멋진 보충 설명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
별사람
23.02.13
천문학자가 출연한 팟캐스트에서 들은 걸로는 단순해지는 방향으로 가면 잠재적으로 쓸 수 있는 수단을 잃는 셈이고 복잡해지면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안될수도 있는 건데 가끔은 도움이 되서 웬만하면 복잡해지는 쪽으로 간다고 하더라고요 그 사람이 진화생물학자는 아니니까 이게 맞는 이야기인지는 모르겠지만요
궤도
23.02.14
BEST
멋진 보충 설명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
이쁜둥이미운둥이
23.02.14
나 완전 알았어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6356376034-x9w6aijkhbk.jpg
08침펄토론뉴비
23.02.14
심도 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우르양꼬치
23.02.14
복잡성의 최하 한계인 왼쪽 벽이라는 단어가 ㄹㅇ 멋짐
익게핸드크림
23.02.14
우와...대단하십니다!
베헬라
23.02.14
아무튼 이해했습니다!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23.02.14
저는 여길 개드립 칠 거 없나 할 때만 놀러오는데
세상의 원리를 찾아 순례를 떠나는 멋있는 분들을 볼 때마다 참 감탄스럽습니다
이병커염둥이
23.02.14
오 그렇네요 진짜 더 단순해질 순 없으니
그렇징
23.02.14
단순한 친구들은 많네요 눈에안보여서그렇지
삼성역맨
23.02.14
제가 제대로 이해한게 맞다면, 생물의 진화가 단순히 복잡성으로 진화한것이 아니라, 맨 왼쪽 벽에 붙어있는 생물종을 제외한다면 복잡성의 중간단계 왜 위치한 생물들은 간단하게도 진화하고 복잡하게도 진화하면서 계속 그 갈래를 늘렸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junecity
23.02.14
"진화에는 방향성이 없다"는 말이 말씀하신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겠습니다.
YellowLabel
23.02.14
복잡성 관통
금순이돌격대
23.02.14
복잡하다 복잡해 이것이 알쏭달쏭 인간세상
염소야와라재미있다
23.02.14
저도 궁금했던건, 생물종이 복잡한 형태로 진화했을때 그 이후로도 진화가 거듭되면서 다시 단순해지는 변화도 가능한것인가 였습니다. 시작점이 단순해서 그 뒤로는 못가지만 어느정도의 복잡성을 가진 생명체가 더 단순한 형태로 넘어가는 경우가 존재할까요? 복잡성의 정도를 단계로 표현했을때 1단계의 박테리아보다 더 단순한 0단계는 존재할 수 없지만, 이미 1단계에서 6단계까지 진화한 생명체가 만약에 생존에 유리할 경우 4단계의 복잡성으로 그 단계가 내려갈 수 있을까도 궁금하네요
꿀꾸리 글쓴이
23.02.14
구조의 복잡성이 감소하는 사례가 실제로 존재합니다. 기생생물에서 그런 현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기생생물로 진화를 거듭하다 보니 과거에 필요했던 다양한 운동기관과 섭식에 관련된 기관이 사라지면서 보다 단순한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유명한 사례로는 점액포자충류(Myxozoa)가 있는데요. 주로 물고기에게 기생하는 생물로 한두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거나 단세포 생물인 경우도 있을 정도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과학자들은 이들이 짚신벌레나 유글레나 같은 원생생물의 일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유전자를 이용해 진화적 역사를 따져보니 이들은 원생생물보다 다세포 생물과 더 가까운 친척임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니까 점액포자충류의 조상은 많은 세포를 가지고 스스로 움직일 능력도 갖춘 해파리 같은 복잡한 생물이었지만, 기생생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점점 단순해져서 단세포생물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염소야와라재미있다
23.02.14
wow 너무 신기하네요 퇴화하는 진화 과정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런 작은 세계에서도 벌어지고있는 일이었군요!!
@꿀꾸리
그건그래
23.02.14
전 단순하게 파스칼삼각형으로 이해했어요.
처음 1이 있고 그다음 1-1 , 1-2-1, 1-3-3-1 형식으로 삼각형꼴 만드는 것처럼
어쨋든 1(혹은 0.999)로 유지되는 개체가 있고 그 아래는 무한하게 합해지는 수들
이게 엄청 오랫동안 반복되니 인간처럼 복잡한 개체도 나오고 동시에 단세포도 존재할수 있다고 이해했거든요
아무튼 엄청 재밌는 내용이었습니다

전체 인기글 전체글

궤도민수님 만나러 갑니다! 10
궤도
이병건담이서늘
·
조회수 4074
·
23.02.14
궤도님 사석에서 어떤 사람일지가 너무 궁금함 26
궤도
SsipdownMan
·
조회수 6035
·
23.02.14
가슴하는날 42
취미
그뉵그뉵
·
조회수 3898
·
23.02.13
금태양 종수 챌린지 38
팬아트
우종맨
·
조회수 9788
·
23.02.14
맴버들 리액션이 버거운 민지 20
취미
트위드재킷
·
조회수 5771
·
23.02.14
다들 해피 발렌타인입니다 14
승우아빠
돌고래유쾌단
·
조회수 3830
·
23.02.13
침착맨 대학 선배의 과거 폭로글 21
침착맨
흉폭한검은바위산햄스터
·
조회수 8272
·
23.02.14
그저 호민이형 얘기만 나오면 신나는 병거니 12
침착맨
외과의사매직박
·
조회수 6123
·
23.02.13
신세경의 발렌타인데이 12
유머
유리리
·
조회수 6615
·
23.02.14
주펄님과 같은 길을 걸으려합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22
주펄
NAㅅ
·
조회수 6185
·
23.02.14
(스압)한국 여행 유튜버가 해외여행 할 때 힘든 점.jpg 30
곽튜브
꼬불이
·
조회수 6656
·
23.02.13
발렌타인데이에 스스로 초콜릿 사먹으면 안되는이유는? 29
유머
aabab
·
조회수 4465
·
23.02.14
궤도님 오늘 보기 좋았어요 9
궤도
궤도는사랑입니다
·
조회수 4432
·
23.02.13
역대 최고의 고점에서 쉬는 방장 23
침착맨
McOptoig
·
조회수 7290
·
23.02.14
왤케 게시판이 소강 상태입니까 73
큐엠
큐엠
·
조회수 8380
·
23.02.14
현재글 오늘 침착맨 님의 진화 질문에 대한 첨언! 20
궤도
꿀꾸리
·
조회수 5823
·
23.02.13
▷▶긴급☆특별할인★러닝☆어떻게★시작☆해야할까?◀◁ 59
취미
독까l팔
·
조회수 4367
·
23.02.14
곽잉 커피차 공유 결과 22
곽튜브
침착한척하는기린
·
조회수 9127
·
23.02.14
온 세상의 강수진이 배성재 요요왔다고 하는영상 18
배성재
하남자이병건더기
·
조회수 6979
·
23.02.14
다음엔 과학금지 어떠함? 36
침착맨
구쭈사고싶다
·
조회수 7465
·
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