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후기 스포 다수 있을 수 있음
하얼빈을 작년에 봤기때문에 사실 내용보다는 개인적인 감상만 머릿속에 남아 있어서 그것에 대해서만 적어 보겠습니다.
극중 안중근의사는 독립군의 장군으로써 목적을 위해서는 모든 일이든 한다기보다는 국제협약을 지키려고하는등 어떻게든 정도를 가려고 하는 인물이었는데 그가 그렇게 풀어준 일본장군이 돌아가던 아군을 기습 포사격으로 전멸하게 만들어버린것에 죄책감과 자괴감이들어서 조금은 바뀐듯한 모습이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나의 정의를 의해서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정도의 모습까지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어쨌든 그가 혼자서 얼음으로 뒤덮힌 강을 건너는 모습을 봤을때 마치 한반도에 침입했던 군대가 내쫓기는 모습을 연상하게 했습니다. 그건 안중근의사의 심정을 표현한것이라 저만 그렇게 느낀걸 수 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간중간 이토 히로부미의 대사가 나오는데 짧은 대사 몇개에 여러가지 의미를 담고있습니다 정확한 대사가 기억은 안나지만 대략적인 의미를 말해보자면 조선은 무능한 지도자한테 억압받고 수탈당하지만 다른 외세가 들어와서 그걸 개선 해주려해도 받아들이지 않고 저항하려는 농민 때문에 쉽게 합병할 수 없었다 라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게 지금 조선은 어차피 망할 국가 였다 라고 하는 사람들의 주장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건 의도한건지 아닌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박정민 배우와 조우진 배우가 나오는데 둘중 한명을 일본의 밀정으로 비춰줍니다. 저는 보면서 둘중 한명 일 수도있지만 둘다 일 수 도있고 어쩌면 아예 다른사람 일 수 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두 배우가 갑자기 술을 먹는 씬에서 박정민님이 먼저 독립할 수 있겠나 라는 대사를 치더라구요 이거 느낌이 안좋았습니다 이러면 보통 반전인듯 그냥 듣고있던 사람이 밀정인 경우가 많거든요 근데 그게 맞았습니다.
그런데 그것보다 중요한건 신분차이에 관한 내용 이었습니다 양반과 평민 그리고 노비에 대한 이야기 였는데, 그러면서 이렇게 말하더군요 양반이 나를 너무 못살게 굴어서 이놈의 나라 망했으면 좋겠다 라고 했다는 내용의 대사 였는데 저는 여기서 기시감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제작자는 어떤 역사관을 가진 사람인거지? 이토 히로부미의 대사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지만 패도 내가 팬다 이런 마인드인가 아니면 다른걸까? 라는 생각이었습니다.
다음내용은 만주에 가서 폭탄을 얻어오는 장면인데 독립에대한 모든걸 포기하고 술만 마시면서 사는 전 독립군이 나오죠, 그런데 저는 만주쪽의 배경을 잘 몰라서 저기가 원래 사막이었나?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저 배경 보여주고 희망없는 독립군의 처참한 말로 정도로 봤습니다. 그런데 결말을 보고 나서 생각해보면 당시의 상황 이었던것 같습니다.
이동욱 배우님이 나오시죠 영화 다 보고 몇일있다가 떠올랐는데 이동욱님이 주연으로 나왔던 구미호뎐1938처럼 그렇게 간걸 수 도?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중에 판타지처럼 서브컬쳐로 나와도 좋겠다 생각했는데 마지막 까지 멋있더라구요
대망의 마지막 장면은 안중근의사의 이토히로부미 암살이죠 뭔가 긴장감은 딱히 없었습니다 미끼작전으로 추격부대를 떨어뜨려놔서 그런지 사건이 일어난다는 자각이 없는 느낌이랄까요 그 상황에서 벌어지는 조용한 총성과 조용한 꼬레야우라 라고 했던거 같은데 잘 기억이 안나네요 어쨌든 러시아말로 대한독립만세를 외친거 같아요 끝까지 국제적인상황을 신경쓴거 같습니다. 어쨌든 아주 조용해서 신파적이기보다는 약간의 냉소적인 느낌이었습니다 국제사회에서보는 당시 한국의 느낌 이랄까요 조선이 어딘데 이토히로부미가 피격당했어? 그게 누군데? 같은 반응 이랄까요
그런데 제가 영화를 다 보고느낀건 다른 독립군들은 일본어도하고 러시아말도 하는데 왜 안중근 의사만 못하지?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조우진 배우를 밀정으로 만들때 일본장군이 개처럼 취급하면서 밀정으로 만들더군요 약간 너무 대놓고 그러는건 저라면 일단 풀려놨을때 오히려 반감이 들어서 아예 잠적해버릴거 같은데 약간 억지 같다고 할까요? 첫 전투장면에서 엄청난 독기와 광기를 보여줬었던 인물이라서 많이 의아했습니다 생존을 위해서 했다는거 치고는 조금 작위적이랄 까요 일본과 합병되면 저런 취급을 받았을거다 라는 표현인거 같지만 그래도 그렇게 몰입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어쨌든 저는 재밌게 봤습니다만 호불호가 갈릴거 같고, 불호 쪽의 비중이 더 많을거 같아서 추천은 못할거 같은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