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회 침투부 천자문 대회 개최에 앞선 한자 만들기 TIP!
안녕하세요! 지난 6월 19일 제 1회 침투부 사생대회 이후 의견 중 침투부 천자문 대회가 매우 인상깊어, 개최를 희망하며 한자의 제작 방법과 함께 예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언젠가 "제 1회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가 개최된다면 작게나마 도움이 된다면 좋을 것 같아요!
한자의 제작 방법
한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며, 전통적으로는 크게 6가지 방법으로 분류되는데, 이를 육서(六書)라고 합니다.
육서는 한 종류의 대상을 그린 조자법(造字法)(상형, 지사), 기존의 글자를 조합한 (회의, 형성), 이미 만들어진 한자를 응용하는 용자법(用字法)(전주, 가차)가 있습니다.
조자법(造字法)
- 상형(象形)
사물의 형태를 본따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日(날 일), 月(달 월), 山(뫼 산), 木(나무 목), 母(어미 모)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 예시

- 지사(指事)
추상적인 기호를 이용해서 글자를 만든 방법. 예: 上(위 상), 下(아래 하), 一(한 일), 本(근본 본)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 예시

조자법(組字法)
- 회의(會意)
두 글자 이상의 글자를 합쳐서, 조합된 글자가 가지는 뜻들과 연관된 새로운 뜻의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男(사내 남), 見(볼 견), 好(좋을 호), 林(수풀 림)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 예시

- 형성(形聲)
뜻과 관련된 글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를 합쳐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紅(붉을 홍), 海(바다 해), 歌(노래 가), 問(물을 문)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 예시

용자법(用字法)
- 전주(轉注)
아직까지도 학자들 사이에서도 전주가 무엇을 뜻하는 지 명확하게 정의되지는 않았으나, 부수가 같으며 뜻이 같고, 음이 비슷한 글자.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 예시

- 가차(假借)
특정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 예: 自(스스로 자; 원래는 코), 亦(또 역;원래는 겨드랑이), 無(없을 무;원래는 춤), 來(올 래;원래는 보리)
침투부 한자만들기 대회 예시

이상입니다! 사실상 마지막 용자법을 제외한 두 조자법(造字法, 組字法)은 직접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과정이니, 실제로 대회가 개최된다면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만들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한자에 대해 초등학교때 한자 5급을 딴 이후로 공부하지 않아 전문성이 깊지 않으며, 오직 해당 컨텐츠만을 위해 한자를 만들어 보았으니, (특히 용자법의 전주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아직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아 제가 이해한 대로 글자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재미로만 봐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