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선택 관련한 의견
플랫폼 관련해서, 최근 많은 분들 사이에 여러 의견이 오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치지직에 치우친 편이지만, 오가는 의견 중 시청자 성향이나 방송 성향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의견은 조금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트위치라는 플랫폼 자체가 Geek 또는 Nerd 성향이 강한 편인 건 맞고, 아프리카가 좀 더, 개방적인 성향인 것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건 방송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다르지 싶네요.
결국에 방장이 잘 선택하시고, 저도 그곳으로 따라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아프리카에서 오랫동안 시청하다가 트위치로 넘어와 시청을 했는데, 옮겼던 이유는 단순히 ‘자주 보던 사람이 옮겨갔다’ 였습니다.
지금 플랫폼에 대해서 오갈 때 더 중요한 문제는 시청자나 방송인의 성향 문제가 아닌, ‘플랫폼의 운영 성향’이 더욱 중요한 게 아닐까 싶네요.
플랫폼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사람들의 의견을 나열하자면,
- 방송 성향
- 시청자 성향
- 서버
- 화질
- 방송 딜레이
- 결제 시스템
이고, 이적 가능한 플랫폼으로 예상되는 건
- 유튜브
- 아프리카
- 치지직
이라 보이는데,
과연 저 3 플랫폼이 그것에 큰 영향을 주나 싶습니다.
- 방송 성향
방송 성향은 결국에 방송을 진행하는 방송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생각되기에, 옮겨가더라도 큰 갈래는 변함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일부 예외 가능성 있음.)
- 시청자 성향
플랫폼에 따르는 부분도 있겠지만 이 또한, 방송인의 성향에 따라 갈림
- 서버
유튜브와 아프리카는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이미 긴 시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 왔고, 이번에 시장에 진입하는 치지직은 무려 ‘네이버’ 라는 국내 최고의 서버 시스템을 가진 업체가 관리하는 플랫폼인데, 큰 이견이 있을까 싶습니다.
- 화질
여기서는 유튜브와 치지직이 더 좋을 것으로 보인다만, 매우 큰 차이라고 까지는 현재는 보기 어려울 것을 예상됨
- 딜레이
여기서도 큰 이견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대부분 5초 이내로 예상
- 결제 시스템
유튜브와 아프리카는 이미 결제 시스템을 잘 운영해왔습니다. 치지직은 네이버페이 연동이라는 막강한 시스템이 있으니 별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위의 의견 이외에도 타방송 연계 성향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트위치가 꽤나 뛰어났었기에, 치지직 또한 트위치의 UI와 시스템을 어느정도 차용한 것으로 보여 치지직이 조금 우위에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건 취향이 갈리는 부분이라 말이죠;;
플랫폼에 따라서 갈리는 것은 위의 성향 보다는 ‘플랫폼이 방송인과 시청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운영을 지속하는가?’ 가 사실 더 중요한 게 아닌가 싶네요.
과거 아프리카의 시청자와 방송인이 아프리카를 떠났던 이유는 화질 문제나 수수료 문제 또한 있겠지만 주된 이유는 아니었습니다.
당시 플랫폼 운영사의 운영 행보가 방송을 진행하는 방송인에게 큰 득이 되지 않았고, 스트리밍 시스템 운영 방침 또한, 시청자에게 큰 득이 되지 않았기에, 플랫폼을 옮겨 간 것 아니었나요?
트위치의 운영 성향에 따른 문제가 8년이 넘는 시간 동안 없던 것도 아닙니다. 운영자와 방송인 간의 관계에 의한 사건, 화질 제한, 클립 제한, 부당한 송출제한 등 꽤나 많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트위치에 남아있던 이유는 그러한 것들을 차치하더라도 트위치라는 플랫폼이 가장 방송인과 시청자에게 이득이 되는 플랫폼이었기에 아닌가요?
플랫폼의 특정 주력 컨텐츠가 취향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건사고가 일어나더라도 그래도 둘 수 있고요.
하지만 그것을 허용하는 것은 플랫폼이잖아요?
저로써는 치지직이 현재 시청자와 방송인이 가장 납득할 수 있고, 이득이 되는 서비스를 운영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그렇기에 개인적으로도 치지직을 좀 더 옹호합니다.
시청자의 수준을 따지며 그것에 우열을 가리기 보다는 우리의 방송인이 더 좋은 환경에 더 좋은 컨텐츠를 제공하고, 시청자가 더 좋은 컨텐츠와 환경을 즐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은 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