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고대 한국사를 연구할때 학자들이 일본서기를 참고하는 이유

라그나로크
22.12.21
·
조회 5661

 

 

'일본서기'라는 이름을 들어보신 분은 있으신가요?

 


일본서기(日本書紀 *1)란 8세기에 일본 황실이 황실의 권위를 높일 목적으로 쓴 사서(역사책)입니다. 그리고 이 책에는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있죠.

 

임나일본부설, 역사에 관심이 없으셔도 한번쯤 들어보셨을 일본의 대표적인 역사왜곡입니다.

 


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었다는 이 주장은 일본서기의 기록을 바탕으로 합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진구왕후라는 인물이 대군을 이끌고 삼한을 정벌하고 이중 임나(* 2)에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세워 지배했다고 하죠.

 

현재는 고고학적 발굴과 2010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의 추가 연구와 노력 끝에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에서도 폐기되고 그 존재가 부정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극우주의자들이 이를 주장하며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일이죠. 한국 주류사학계에서는 백제, 가야 혹은 그전에 있던 삼한(마한, 변한, 진한)을 연구할때도 바로 이 일본서기를 참고하기도 합니다.

 

어째서일까요? 이는 일본서기가 어느정도는 정확한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이며 또한 우리나라는 고대사를 연구하고 싶어도 목독/목간 하나에 학계가 뒤집히기도 할 정도로 사료들이 정말 부족해서 교차검증을 통해 일본서기의 내용을 제한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럼 일본서기의 정확한 내용은 어떤게 있을까요? 대표적인 예시가 무령왕 관련 기록입니다.

 


<무령왕 표준영정>

 

백제의 제25대 어라하(왕)인 무령왕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 장수왕에 의해 한강 유역을 뺏기고 일시적으로 멸망 직전까지 갔던 혼란스러운 백제를 안정시키고 중흥기로 이끈 명군입니다. 백제 후기의 왕이기에 무령왕은 삼국사기에도 자세하게 기록되어있습니다.

 

"무령왕(武寧王)의 이름은 사마(斯摩) 혹은 융(隆)이며 백제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다. 키가 8척에 눈매가 인자하고 너그럽게 생겨 민심이 그를 따랐다. 501년에 동성왕이 백가에게 암살되자 왕위에 올랐다. [중략] 523년 5월에 왕이 돌아가셨다. 시호는 무령(武寧)이라 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4장 '무령왕본기' 中

 

삼국사기에 따르면 무령왕은 백제의 24대 왕이던 동성왕의 아들이며 본명은 융 혹은 사마라고 언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출생에 대해선 언급되지 않기에 자세한 나이는 알수 없습니다.

 

일본서기에도 무령왕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으며 다음 기록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무령왕에 대한 이야기들입니다.

 

“유랴쿠 5년(461년) 6월 1일에 개로왕의 임신한 부인이 두달 전 개로왕이 염려하던대로 츠쿠시국의 카카라시마(各羅島)에서 아이를 낳았다.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아이의 이름은 세마 혹은 사마(島)라 하였다. 동행하였던 개로왕의 아우 부여곤지가 아이를 배에 태워 본국인 백제로 돌려보내니 이 아이가 훗날의 무령왕(武寧王)이다. 그리하여 백제 사람들은 이 섬을 주도 혹은 니리무세마(主島)라 불렀다.”
- 일본서기 제14권 유랴쿠텐노 中

 

“부레츠 4년(502년)에 백제의 동성왕이 무도하여 백성들에게 포악한 짓을 하였다. 국인(귀족)이 드디어 동성왕을 제거하고 세마를 왕으로 세우니 그를 무령왕(武寧王)이라고 한다.”
- 일본서기 제16권 부레츠텐노 中

 

“케이타이 17년(523년) 여름 5월, 백제 무령왕이 죽었다.”
- 일본서기 제17권 케이타이텐노 中

 

일본서기에선 무령왕의 사망과 즉위일에 대한 내용은 삼국사기와 동일하지만 무령왕은 461년에 태어났으며 이름이 ‘세마’ 혹은 ‘사마’인 것은 섬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라는 정보도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의 서술엔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삼국사기에선 무령왕의 아버지는 동성왕이라 기록되었으나 일본서기에선 개로왕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무령왕은 아버지가 두 사람입니다….헉!

 


어머니가 두 명인 말딸에 이은 아버지가 두 명인 백제왕...은 그럴리가 없고

 

이렇게 서로 상반되는 동시기의 기록이 존재한다는건 두 기록중 하나는 잘못된 정보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취사를 해야겠죠?

 

하지만 교차검증할만한 다른 기록이 없기 때문에 학계는 골머리를 앓던중...

 


1971년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게 됩니다. 그것도 어마어마한게...

 

바로 기적적으로 충남 공주에서 이 기록의 주인공인 무령왕의 무덤 '무령왕릉'이 발견된 겁니다.

 

비록 발굴과정은 한국 고고학계에 영원한 흑역사로 남았지만 동시에 한국 고고학계에 세기의 발견을 꼽는다면 반드시 언급되는 유적이죠.

 


그리고 무령왕릉에서 미스터리를 해결해줄 지석이 함께 발굴되었습니다. 지석의 서문은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동대장군이신 백제 사마왕께선 나이가 62세 되시는 계묘년(523년) 5월 임진일인 7일에 돌아가셨다. 을사년(525년) 8월 갑신일인 12일에 안장하여 대묘에 올려뫼시며 기록하기를 이와 같이 한다."

 

지석에 따르면 무령왕은 계묘년(癸卯年)인 523년에 62세에 사망했다고 합니다. 이를 역으로 환산해본다면 무령왕이 461년에 태어났다는 일본서기의 기록과 일치합니다.

 

또한 이 계산대로라면 501년 즉위 당시 무령왕의 나이는 마흔(40세)이기에 36세에 사망한 동성왕의 아들이 될수 없습니다.

 

즉 정리하자면 일본서기의 기록이 더 정확했던겁니다.

 


그럼 왜 무령왕은 자기보다 4살이나 어린 사람의 아들로 삼국사기에 기록된걸까요? 신편 한국사에 따르면 학자들은 이를 '무령왕이 자신의 왕위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기록상으론 선왕의 아들로 등록했는데 훗날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이 이를 오독한 것이다'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3)

 

이와 비슷하게 두 기록이 상충되는 역사적 사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이집트와 히타이트가 맞붙은 카데시 전투죠.

 


카데시 전투는 이집트의 아부심벨 신전 부조등의 기록에선 람세스 2세가 적군인 히타이트의 기습에 신으로 변해 히타이트군을 학살했다는 신화적인 내용이 써있습니다.

 

하지만 히타이트의 점토판 기록들이 훗날 발견되면서 람세스 2세가 기습을 받아 이집트는 주요부대가 전멸했지만 뒤늦게 도착한 구원군 덕분에 큰 피해를 입은 히타이트는 요새로 돌아가 농성했고 결국 람세스 2세는 공성을 포기하고 퇴각했다는 진실을 두 자료의 교차검증을 통해 추정할수 있습니다.

 


<영화 '엑소더스: 신들과 왕'에서 묘사된 카데시 전투>

 

하지만 이집트의 기록도 모두 허구는 아니였습니다. 자세한 부대들의 편제와 전투 상황에 대한 기록들은 히타이트측 기록과 대부분 일치했기 때문입니다.

 

일본서기도 이와 비슷합니다. 분명 허구적이도 말도 안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무령왕의 출생기록과 같이 정확한 내용도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학자들은 엄격한 교차검증을 통해 극소수의 검증된 사료만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일본서기를 인용했다고 해서 잘못된건 아닙니다. 오히려 이런 최소한의 교차검증/팩트체크조차 안되는 위서(예: 환단x기)를 인용하는 것이 훨씬 위험한 일인겁니다.

 

 

 

<각주 추가 설명>

[* 1: 일본에는 일본서기 외에도 고사기(古事記)라는 역사책이 또 있습니다. 이 두권의 역사책을 묶어 일본에선 기기(記記)라고 부릅니다. 이자나기, 이자나미, 스사노오, 아마테라스, 츠쿠요미등 일본 황실의 신들은 전부 이 책들에서 첫 언급되기 때문에 이 신화들을 기기신화라고 부릅니다.]

 

[* 2: 임나일본부란 용어때문에 부정적인 인식이 쌓였습니다만 사실 '임나'라 표현은 우리나라에서도 쓰였습니다. 광개토대왕릉비와 삼국사기에서도 임나가라, 임나가량이라는 지명이 언급되며 이 임나는 오늘날 김해에 있던 금관가야/금관국으로 비정되고 있습니다.]

 

[* 3: 신편 한국사와 한성백제박물관 발간 백제사 시리즈등에선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사실 무령왕의 친아버지는 개로왕의 형제이자 일본의 사절로 파견된 부여곤지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부여곤지는 동성왕의 아버지여서 이 가설이 맞다면 동성왕과 무령왕은 이복형제가 됩니다.]

 

<자료출처>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https://db.history.go.kr/
동북아역사넷 - http://contents.nahf.or.kr/

댓글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1
BEST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1595685522-frr5yv0dv4r.gif
붕어빵먹고싶다
22.12.21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1
BEST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1595685522-frr5yv0dv4r.gif
붕어빵먹고싶다
22.12.21
@라그나로크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1597447994-1zb8j0vz64g.gif
하스펄
22.12.22
@붕어빵먹고싶다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1640037153-asrngdld1dn.webp
울산울주
22.12.21
재밌다는거시다~~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1
다소 딱딱한 내용이라 침하하 분위기와 많이 달라 올릴까 말까 고민을 많이했는데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의이세화아라가키유이
22.12.21
침풉풉
22.12.21
역사는 참 재밌죵~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1
각본없는 드라마라는 방장의 말이 사실이죠잉, 그래서 방장도 맨날 삼국지 삼국지 하는건가 봅니다 ㅋㅋㅋ
갈까말까
22.12.21
재밌어요!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1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빙글빙글콧구멍
22.12.21
안타깝게도 삼국사기 이전 역사서가 다 소실되어서...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1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나마 삼국사기를 제외하면 참고할만한 책은 삼국유사이지만 이 책은 스님이던 일연에 의해 지극히 불교적인 관점에서 서술된 내용들이 많죠...
국밥부장관
22.12.21
임나일본부설 일본 내에서도 사장된 학설 이라던데.. 우리나라 환단고기 급이라고ㅋㅋ 우리나라도 제발 사서 하나만 나와라 자의적서술인 삼국사기 따위 버리게
침착이말년
22.12.22
일본서기가 있기 전에 백제서기(근초고왕 때 고흥이 쓴 서기)가 있었죠.
일본서기 연대는 사건마다 유추해서 갑자 60년 또는 120년 후대로 보면 얼추 한국,중국 사료와 맞고,
일본서기에 왜국이 가야를 정복하니, 회의를 주관하니, 등의 내용은 그 주체를 왜국이 아닌 백제로 하면 얼추 맞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서기를 쓴 사람들은, 그게 한자이다 보니 한문에 능숙한 중국계 도래인, 백제계 도래인 등이라서 기록의 한문이 왜풍이면 왜국사람이, 유려한 한문서술이면 중국계 또는 백제계 도래인이 쓴 기록이라고 구분이 된답니다.
그리고 일본서기 고대 기록들 보면 왜국에서 일어난 일보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일들이 더 많을 때도 허다합니다.
그래서 부족한 가야, 백제 기록을 보강할 수 있죠. 그것도 우리의 삼국사기, 삼국유사보다 훨씬 더 삼국시대에 가까운 시기에 쓰여지고 백제계도 서술에 참여한 기록으로요.
삼국시대에 직접 쓰여진 사서들이 발견된다면 참 좋겠지만.. 지금은 아쉬운데로 일본서기 기록 파편들을 맞춰보고 잇는 겁니다.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2
그렇습니다, 본문에 쓴대로 임나일본부설은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의 노력끝에 일본에서도 폐기된 학설입니다. 사실 아마 새로운 사서가 발견되더라도 삼국사기는 계속 쓰이게 될거 같습니다. 역사서라는건 검증된게 많으면 많을수록 좋거든요.
한국인이면제발침투부봅시다
22.12.21
역사과 교수님들 말로는 고대사 전공자들은 ㄹㅇ 천재들만 한다고 하더라구요
진짜 작은 단서를 갖고 내러티브를 구축해야 하는데 그 내러티브 내용이 앞뒤의 역사와 사서, 팩트들과 모두 부합해야 하니..
거기에 고대사쪽에는 환빠나 망상가들이 공격하기 좋은 분야니까 그것도 힘들구요
고대사 전공자들... 정말 존경스러워요
코인맛좀볼래
22.12.21
어떻게 시호가 휴대폰 ㅋㅋㅋㅋ 농담이고... 지금까지 일본서기가 마냥 신화적인 내용이 강조되고 믿을만한게 없다고 들었는데 그런게 아니였군요 반성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대충맨
22.12.21
업계 내부와 외부의 시선이 다를수록 과도하게 단순화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납득 가능하게 설명하는 역할이 중요한데 횐님 멋지십니다!
범죄자
22.12.21
재밌게 잘보고갑니다.
애국불숭이
22.12.22
좋은 글은 침하하
자는또낳으면되는데스웅
22.12.22
삼국시대 때 우리나라 입장에서 적은 책이 하나라도 남아 있었다면 좋았을 텐데ㅠㅠ
전란이 너무 많아 소실된 자료가 많다는 게 안타까워요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2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너무 많은 사서들이 실전되서 문헌으로 있었다는 이야기만 나오는게 안타깝습니다ㅠㅠ
경희클럽신입생
22.12.22
북쪽에는 고구려 발해 고려 이쪽 역사서가 남아있을 가능성은 없을까요잉
@라그나로크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3
아마도 있을수도 있겠지만 지금 당장은 발견된게 없으니 없다고 가정을 해야겠죠. 물론 발견되었다고 해도 그게 진서인지 조작된 위서인지는 연구를 해봐야겠지만요.
@경희클럽신입생
씻어드세요
22.12.22
고대사 전공자 멋찌다..!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2
말씀은 감사합니다만 저는 역사쪽 전공자는 아닙니다 ㅎㅎ;;; 그저 역사에 관심이 많은 이세계 수용맨일뿐이죠.
씻어드세요
22.12.22
우와 그러시군요! 역사학 분야가 아니시라 했지만서도..글 읽으면서 학계 분은 틀림 없다 생각했습니다 😆😆 종종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라그나로크
결절사이고랑
22.12.22
세간에서 흔히 오해하는 점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셔서 잘 읽었습니다! 비록 고대사 전공자는 아니나, 역사를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이런 글 써주셔서 감사하다~
일본서기의 사료적 가치의 사례를 소개해주신 만큼, 부가적으로 일본서기가 어떻게 사료적 가치를 갖는가를 소개하면 읽는 분들이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여 댓글 달아봅니다.
일본서기에서는 말씀해주셨듯 한반도의 역사를 직접 겪지 않았으면 알기 어려울 정도로 상세하게 깊이 있게 서술되어있습니다. 이런 경향성은 특히 백제사 영역에서 두드러지집니다. 이는 백제 멸망 이후 일본으로 이주한 백제계 도래인, 이주민이 8세기 일본서기 편찬 단계에서 폭넓게 참여했으리라 보기 때문입니다.
결절사이고랑
22.12.22
또한, 백제삼서, 즉 백제서, 백제신찬, 백제본기로 대표되는 백제의 역사서가 일본서기 편찬에 중요한 사료로써 사용되었습니다. 그 결과 일본서기의 각종 내용과 논조에 백제 측의 시각이 반영되었다고 분석됩니다.
그러므로 일본서기는 충분한 사료비판을 가한다면 한국고대사를 연구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러한바, 일본 주체 사건을 백제 주체 사건으로 전환한다든가, 이주갑인상(일본서기 편찬 당시 정통성 강화를 위해 각 사건의 연도를 120년 전으로 설정했습니다.)이라든가 다양한 방법론으로 교차검증과 사료비판을 가하며 연구되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적어보려 했는데 글이 길어져버렸네요. 알량한 지식을 풀어봤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읽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2
이런 디테일한 부연설명 너무 감사하다~ 이 글을 통해 조금이나마 일본서기와 고대사에 대한 오해가 풀렸으면 하는 마음에 썼는데 역시 침청자들중에도 참 능력자들이 많습니다
@결절사이고랑
역사민수
22.12.22
백제사 전공이었던 교수님 밑에서 배웠었는데, 사료가 너무 부족해서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더라구요
윤치빗따이
22.12.22
애굽민수님이 람세스2세가 허세가 강했다고 했는데 장난 아니네요. 신이 되어서 학살…ㅋㅋㅋ
실제론 기습에 당했고..
스포스맨
22.12.22
와 꿀역사정보 짱재밌음
튀김비둘기
22.12.22
침하하에는 민수괴인들이 많다..
커피냅
22.12.22
기록들이 많이 소실된게 참 안타깝습니다. 고려사도 그렇고 고려실록이 소실되지 않았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한편으로는 끝까지 지켜낸 조선왕조실록이 참 대단하기도 합니다.
라그나로크 글쓴이
22.12.23
그렇기 때문에 조선왕조실록이 유네스코기록유산으로 등재된거기도 합니다. 조선왕조실록이 쓰이던 시기에도 대부분의 사서들은 왕실과 국가의 미화를 목적으로 쓰여졌기 때문이죠. 물론 조선왕조실록이 안그렇다는건 아니지만 최대한 중립적으로 서술하려 한듯한 흔적이 보이고 있습니다.
타타타갤기린
22.12.22
역시 가까우면서 먼 나라 그 이름 일본. 사마 시마 라는 이름이 언급되면서 역시 뭔가 예전 백제발은 일본어랑 비슷한게 많은 걸 보면 이쪽에서 사람들이 건너갔다는 사실이 더 재밌게 느껴지네요
wally
22.12.22
와 너무 재밌어요.... 흥미진진 자주 올려주세요.. +_+
깡왈
22.12.22
저가요 일본에서 대학을 나온 유학생인데요, 교양과목시간으로 일본서기를 다루는 과목을 들었걸랑요. 그때 기억으론 그지같은 일본 고어체로 적힌 글귀들을 강의실에 있는 학생들이 마이크를 이어 받으며 차례대로 읽어 나갔었는데 일본천황 신화얘기만 주구장창 나오다가 중반부에 백제 관련된 내용이 꽤 자세한걸 보고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기말 레포트도 한국인 유학생인걸 어필해서 백제 신라 관련 이야기로 3천자 때워버렷던

📖이야기&썰 전체글

경복궁에서 외국인들 동양뽕 풀충전 해주는것 3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104
·
1시간전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를 위해 다른 국가와 개별적으로 무역 협상 3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235
·
1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2) -조조-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19
·
1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1) -유비-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33
·
2일전
오늘 방송 보고 해본거
미스터리&공포
자동반사
·
조회수 320
·
2일전
챗지피티와 나눠본 "지브리 풍으로 그려줘~" 에 대한 대화
미스터리&공포
미야자키끼얏호
·
조회수 211
·
2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3부] 15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339
·
3일전
포켓몬스터에 알수없는 포켓볼이 있다?! 2
미스터리&공포
깨팔이사료주인
·
조회수 333
·
4일전
싸늘한 제갈량, 어처구니 없는 유비 1
삼국지
참칭맨
·
조회수 334
·
4일전
만화가들 허리가 안좋아지면 그림체가 이상해지는 이유 5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584
·
5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2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746
·
5일전
한국 야쿠르트계 전설로 남은 분 1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417
·
5일전
슈퍼전대 50주년 기념 프로듀서 인터뷰
역사&사건
맵찌리찌릿삑궷츢
·
조회수 272
·
6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1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969
·
7일전
일본, 대만 유사시 오키나와 대피계획 책정 2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483
·
03.29
경북 산불로 국내산식품이 사라짐 17
미스터리&공포
침크빈
·
조회수 4094
·
03.29
어느 실업고교 선생님의 눈물 22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4161
·
03.29
[속보] 경북 산불 모두 진화 완료 19
역사&사건
병건하게
·
조회수 4025
·
03.28
캐나다 총리 : 트럼프 관세로 캐나다와 미국의 '오래된 관계'는 '종료' 7
미스터리&공포
푸르로닝
·
조회수 455
·
03.28
현재 청송 휴게소 모습 22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5928
·
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