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침국지에 안나온 DLC 수춘삼반 1 : 왕릉의 난

치마하하
02.27
·
조회 2124
출처 : 본인

수춘삼반이란 침국지에서는 제갈량 사후(234년) 촉한 멸망(263년) 정도만 다뤘는데

그 사이 반대 쪽 오나라 방면에서

왕릉의 난(251년) → 관구검의 난(255년) → 제갈탄의 난(257년)으로 이어지는

10년 내 같은 장소에서 무려 3번이나 반란이 일어난 사건을 말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먼저 수춘이란 어느 곳이냐?

 

지도에 표시한 대로 오나라 수도인 건업에서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로

막는 게 뭔지 보여줬던 장료가 지킨 합비성이 있는 양주 지역의 중심도시다.

 

따라서 수춘은 위나라의 대오전선의 요충지이자 군사적으로 꽤 중요한 거점이었고,

좁고 험한 지형이 막아주는 대촉전선에 비해

개활지가 많아 꽤 많은 군사와 물자를 두었는데 이게 반란의 양분이 되지 않았나 싶다.

 

또한 옛날에 원술이 거점으로 삼았던 지역으로 훗날 황제를 칭했다가 조조에게 정벌당하기도 한 땅으로써

어찌보면 유구한 전통이 있는 반역(?)의 땅이기도 하다.

 

 

- 왕릉의 난(251년) -

먼저 첫번째 반역은 바로 왕릉이 일으켰는데

사실 웅대한 꿈에 비해 제대로 된 반란이라고 하기도 민망한 수준이긴 하다.

 

왕릉은 240년 만총의 뒤를 이어서 대오전선의 총책임자로 임명된 후

249년 고평릉 사변이 발생하며 사마씨가 권력을 잡자 조카이자 예주자사인 영호우와

사마씨의 축출 및 황제 조방을 폐위시키고 초왕 조표를 황제로 옹립할 것을 꿈꾸었다.

 

하지만 계획을 짜던 영호우가 병사하고 지지부진 하던 와중에

251년 부하인 황화와 양홍의 밀고로 결국 사마의에게 계획이 발각되었다.

이렇다 할 성과도 없이 호송되던 중 왕릉은 자결을 하고 이후 그의 삼족이 멸족된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왕릉이 조조 시절부터 사마의의 형인 사마랑과 굉장히 교우가 깊었고

자연스럽게 사마의와도 친구 / 동료로 무려 40년 가까이 지낸 인물이라는 것인데

 

그런 인물의 모반 계획이 충격이었는지 아니면 지속된 굵직한 사건들로 인한 스트레스였는지

중달 사마의는 왕릉의 난 이후 얼마 못가서 251년에 7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사마의 사후, 그 권력은 장남인 사마사에게 넘어갔고

 

 

대오전선의 지휘권은 양주자사를 넘어

진동장군, 산양정후에 봉해지고 가절 도독 양주 제군사가 된 제갈탄에게 넘어갔다.

 

그렇다면 왜 두번째 난은 제갈탄의 난이 아닌 관구검의 난일까?

여기에는 작은(?) 해프닝이 있었는데

 

바로 사마의 사후 252년 대장군에 오른 사마사

같은 해 손권이 죽으며 즉위한 손량이 태부로 임명한 제갈각

동흥 전투를 벌이며 일어난다.

 

 

황제 다음 가는 권위를 누리게 된 두명의 2세대 권신들은 보다 빠른 지위 확립을 위해

업적을 쌓아야 했고 업적작 중에 제일 빠르고 확실한 게 바로 군공이었다.

 

마침 제갈각이 동흥에 제방을 새로 쌓으며 위협을 가했고

유인에 넘어간 사마사왕창, 관구검, 호준, 제갈탄 등 대오방면 모든 병력을 가용해

강릉, 무창, 동흥 3방면으로 쳐들어간다.

 

이때 문관인 상서 부하(傅嘏)가 둔전을 하며 장기전으로 가야한다 주장했지만 

당장의 성과가 필요했던 사마사는 이를 듣지 않았다.

 

결국 이 전투에서 위나라는 오나라에게 대패를 했고

수만의 병력을 잃게 된다.

 

이때 잃은 병력이 촉이 한평생 북벌을 하며 위나라에 낸 피해보다 크다고 하니

대충 어느 정도인지 가늠이 될 것이다.

 

이에 책임을 지고 사마사는 세부적인 전략에서 제갈탄의 말을 들었어야 했다고

깔끔하게 인정하면서 부하들을 문책하지 않고

동생 사마소와 함께 지위를 셀프 강등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넘어갔는데

 

이 와중에 제갈각과의 전투에서 패배를 기록한 제갈탄을 진동장군에서 진남장군으로 전임시키며

관구검과 영지를 바꾸게 하여 여남으로 발령을 보내게 되니

대오전선 책임자가 제갈탄에서 관구검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후 관구검은 253년, 합비로 다시 쳐들어온

제갈각의 대군을 크게 물리치면서

그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된다.

 

그렇게 255년..…

 

 

-to be continued-

 

다음편

https://chimhaha.net/story/691043

태그 :
#삼국지
#수춘삼반
#왕릉
#관구검
#제갈탄
#사마의
#사마사
#사마소
댓글
간생이
02.28
치마하하 글쓴이
02.28
뚜자서
02.28
침하하 삼국지는 항상 감사하게 먹을 수밖에 없다구웃~! 인지도는 적지만 정말 흥미로운 파트 조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마하하 글쓴이
02.28
침하하요정
02.28
문흠 문숙 부자 내용까지 기대합니다~
치마하하 글쓴이
03.01
2편도 올렸으니 감상해주세요~
Cimbalom
03.01
제갈량 사후에 제갈각, 제갈탄을 중심으로하는 삼국지가 있어도 재밌을거 같네요ㅎㅎ
치마하하 글쓴이
03.01
제갈각은 집권기간이 짧아 걱정이네요 ㅋㅋㅋ
병건하게
03.01
회남 참 재밌는 땅이죠 다음편도 기대되네영
치마하하 글쓴이
03.01
2편도 올렸습니다!
침느님이병건
03.01
저때 왕릉의 관포지교드립도 생각할 거리를 주죠.. 근데 왜 지금까지 왕릉을 왕랑 아들로 알았지..
치마하하 글쓴이
03.03
다 외자여서 헷갈릴만도 하죠 ㅋㅋㅋ

📖이야기&썰 전체글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3부] 12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921
·
1일전
싸늘한 제갈량, 어처구니 없는 유비
삼국지
참칭맨
·
조회수 262
·
1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2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570
·
2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1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846
·
4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상방곡과 사공명 주생중달 23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480
·
03.25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추풍오장원 18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2127
·
03.23
유비가 대놓고 경멸한 삼국지 인물 8
삼국지
뚜자서
·
조회수 4569
·
03.22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진창성의 학소, 그리고 한신 12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797
·
03.20
삼국지 유비 -> 원술 -> 여포 -> 조조를 섬긴 인물 6
삼국지
오필리아
·
조회수 2170
·
03.18
침국지에 안나온 DLC 수춘삼반 3 : 제갈탄의 난
삼국지
치마하하
·
조회수 322
·
03.02
공자 후손다운 공융의 자녀들 1
삼국지
제갈첨
·
조회수 606
·
03.01
침국지에 안나온 DLC 수춘삼반 2 : 관구검의 난 12
삼국지
치마하하
·
조회수 1954
·
02.28
현재글 침국지에 안나온 DLC 수춘삼반 1 : 왕릉의 난 12
삼국지
치마하하
·
조회수 2124
·
02.27
(※ 본 삼국지 구절들은 쌍베님과 무관합니다)
삼국지
뚜자서
·
조회수 519
·
02.21
철벽의 유학자(아프다) 4
삼국지
뚜자서
·
조회수 568
·
02.18
삼국지에 웬 보병장 병원 ㅋㅋㅋㅋㅋㅋ 2
삼국지
뚜자서
·
조회수 1039
·
01.20
요즘 AI 허언 안하는 줄 알았는데 2
삼국지
앵키위
·
조회수 1181
·
01.14
곡식이 없으면 고기죽을 먹으면 되지(실제로 한 말)
삼국지
짱갈래종수짱
·
조회수 952
·
24.12.31
문학상 수상 조건 : 삼국지
삼국지
야수적인광물
·
조회수 610
·
24.12.24
EBS 위대한 수업 : 팡베이천 <삼국지 촉한의 영웅들>
삼국지
부자애옹이
·
조회수 662
·
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