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볼 안 본 사람 필독!) 근육 빵빵 트랭크스란 도대체 무엇일까? [침착맨 드립 톺아보기]
필자는 기억에 의존해서 작성하기에 틀린 점이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란다.
-
인조인간이 쳐들어오고 셀의 등장으로 대충 세상이 반 쯤 망한 뒤.
우당당탕 대소동이 있고 난 후 셀을 저지하기 위해 다들 나서지만 쥐어터진 후
동료들이 도망갈 시간을 벌기 위해 천진반이 셀(변신 2단계)을 저지한다.
*잠깐! 토막상식
셀은 진화하며 생김새가 변화하는데
변신 2단계에서 입술이 두꺼워진 모습이
‘슬램덩크’에 나오는 채치수의 입술과 비슷해서
침착맨은 주로 ‘채치수 셀'이라 한다.
이렇게 보면 굉장히 큰 데미지를 준 것 같지만 시간만 벌었을 뿐.
신기공포를 과용하는 바람에 탈진하여 기절해버리고 만다.
*잠깐 토막상식!
이게 그 유명한 침펄토론에서도 주 논객님이 펼친 논리.
*주호민 왈 : 천진반이 기공포를 사용하다가 죽은 건 알고 계신가요? 사인이 기공포예요.[진실!]
(댓글 참고 수정:내퍼랑 싸울 때는 기공포 쓰다 죽었다고 함.)
*침착맨 왈 : 셀전부터 사용하는 신 기공포는 빈사상태에 이르지만 죽진 않는다.[진실!]
-다시 이야기로-
그렇게 해서 천진반이 시간을 벌어주고 손오공이 동료들을 데리고 순간이동으로 상황을 일단락 마무리한 뒤.
드디어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수련을 마친 베지터,트랭크스 부자가 도착한 것이다.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수련을 마친 베지터는 채치수 셀을 개바른다.
하지만 베지터 특: 지가 좀만 세면 개 나댐. (사실 사이어인 특이라고 봐도 무방.)
셀 왈 : (억울한 일이 아닌데 억울하단 듯) 완전체만 될 수 있다면 너 같은 건 아무것도 아니다.
? 내가 누구? 즉시 베지터 특성 발동.
베지터 왈 : 그럼 완전체가 될 때까지 기다려주마.
트랭크스 왈 : 아버지! 혹시 미친놈이신가요?
인조인간 18호를 흡수하면 완전체가 된다. (위 사진이 인조인간 18호. 현재 크리링의 짝사랑 상대.)
여기서 크리링과 인조인간 18호의 스토리는 생략한다. 아무튼 개억지 크리링이 미친놈 짓하는 러브스토리 같은 거 있다.
그 스토리 때문에 부스럭 거리다가 셀에게 위치를 들키게 된다.
셀이 인조인간 18호에게 날아가자 저지하는 트랭크스.
하지만 내가 누구? 아들도 내 특성을 막을 수 없으셈.
아들 발로 걷어 까는 베지터.
그렇게 베지터의 도움(?)으로 인조인간 18호를 흡수한 뒤 완전체 셀이 된다.
더 이상 흡수할 필요가 없어질 만큼 강력해져 흡수꼬리가 쏘옥 들어가고
채치수 입술도 사라지고 미남이 된 셀.
인조인간 18호가 흡수당하자 크리링이 분노에 차서 덤벼보지만 쩨트킥 한 방에 나가떨어진다.
그리고 드디어 베지터가 자신의 힘을 증명하기 위해 돌려차기를 갈기는데.
셀의 승모근에 스트레칭 효과를 줬을 뿐 아무런 데미지를 주지 못 한다.
필자가 제일 싫어하는 표정. 오만떨다가 지보다 세면 맨날 이 표정임.
우당탕탕 싸움은 있었지만 계속 처맞다가
결국 회심의 일격인 ‘파이널 플래시’를 발사한다. 말 그대로 발악기인 셈.
회심의 발악기인 파이널 플래시로 셀에게 상반신 약 30%정도 날린 효과를 보여준 뒤 베지터는 *기절한다.
하지만 즉시 재생. (필자의 기억 상 피콜로의 세포를 흡수했기 때문으로 기억.)
베지터 왈 : 끄어어어아악!
그렇게 베지터는 무의미한 생쇼. 셀만 강력해지게 만든 뒤 혼자 발악기 쓰고 *기절함.
이 때, 등장한 게 베지터의 아들 트랭크스.
트랭크스 또한 베지터와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수련을 했기에 수련의 성과가 기대되는 상황.
이제서야 나온. 드디어 등장한. 이게 그 유명한 침착맨이 자주 사용하는
‘근육 빵빵 트랭크스’ 이다.
근육을 과도하게 부풀린 탓에 움직임이 둔해져서 주먹을 맞추지 못하는 트랭크스.
(침착맨 식 비유가 여기서 사용된다. 어떤 한 쪽에 과하게 쏠려 다른 한 쪽이 하향됐을 때 사용.)
-예시-
이제 이 침착맨 식 비유가 완벽히 이해가 됐을 거라 생각한다.
-얼마 남지 않았지만 다시 이야기로
그렇게 근육빵빵의 단점을 깨닫게 된 트랭크스.
트무룩.
전의를 완전히 상실케 된다.
하지만 셀이 다른 제안을 하게 되는데!?!?!?
궁금하시면 드래곤볼Z를 정독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근육 빵빵 트랭크스’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