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바라'가 어색한 이유.TXT

NGG
24.01.30
·
조회 9532
출처 : 본인이 직접 씀

 

 

 

우린 ‘바래’의 기본형이 ‘바라다’ 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자꾸만 ‘바래’라고 말하게 되는 것일까요? (혹시 ‘바라’가 너무 열받나요?)

 

 

 

 

 

 

이것은 바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용언인 ‘하다’ 때문인데요. 여기에 어미 ‘-어/-아/-여'가 결합하며 ‘해’가 됩니다. 

 

 

 

 

따라서 ‘바라다’‘하다’‘해’의 관계처럼, 한국인에게 익숙한 형식으로 변화하려 합니다. 

 

 

 

 

‘바라다’에 ‘-어/-아/-여'를 붙여서 ‘바래’를 만드는 것이죠.

 

 

 

 

 

 

그런데 이것은 틀렸습니다.

 

 

 

 

여기에는 크게 2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 번째, ‘바라다’는 한국어 동사에는 희귀한 ‘ㅏ’로 끝나는 2음절 용언으로, 불규칙 활용이 적용되지 않는 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아니 그게 무슨 말이냐고요? 

 

 

 

 

쉽게 말해서, ’ㅏ’의 형태를 유지한 채 사용하는 단어라는 뜻이에요. 

 

 

 

 

비슷한 단어로는 ‘삼가다’, '자라다' 정도가 있겠네요. 우리가 이 말을 ‘삼개’, ‘자래’라고 말하는 경우는 없잖아요?

 

 

 

 

바로 이해가 되시나요? 

 

 

 

‘그것이 약속이니까’

 

 

 

 

 

 

두 번째, ‘바래다’는 애초에 ‘바라다’와는 다른 뜻을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가 그토록 바랐던 꿈은 많은 시간이 지나 희미하게 바래졌다.'

 

 

 

 

 

 

 

그래서 ‘바라’를 ‘바래’라고 인정해달라고 하는 것은, 기본형을 아예 ‘바래다’로 바꾸라는 소리가 되는데요, '네 꿈을 이루길 바랠게' 와 같은 이상한 말도 올바른 맞춤법이 되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아시겠죠?

 

 

 

 

★3줄 요약★ 

1. ‘바라다’‘하다’에 이끌려 형태를 바꾸는 현상 발생

 

2. 그러나 ‘바라다’는 형태를 바꾸면 안 되는 동사 (예: 삼가다, 자라다..)

 

3. ‘바래다’는 뜻이 달라 혼용 불가

 

 

 

 

자, 이제 우리는 왜 바라다를 ‘바래’로 쓰면 안 되는지 알았어요. 하지만 너무 열받아서 도저히 ‘바라’라고는 못 쓰겠다고요? 그럼 아래 예문처럼 사용해보는 건 어떨까요?

 

 

 

 

꿈을 이루길 바랄게.

결국 돌아오길 바란다.

잘 되길 바랍니다.

 

 

 

어때요? 

 

 

 

바라 라고만 쓸 때 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입에 붙지 않나요? 

 

 

 

 

부디 이 글이 한국인 여러분들의 언어 생활에 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전 이만 총총 글을 마치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다면 https://namu.wiki/w/%EB%B0%94%EB%9D%BC 에서 알아보세요)

댓글
oklama
24.01.30
BEST
침하하에 이런 좋은 정보가 많이 생기길 바래
이상해씨해상
24.01.30
BEST
바래 따위 틀린 표현은 삼개!
NGG 글쓴이
24.01.30
BEST
'자장'이 표준어였으나 언중들 사이에서 '짜장'이 우세하게 사용되어 표준어로 삼게 된 사례를 들어서 많이 쓰이는 표기대로 바뀌어야 한다는 이러한 주장도 있으나
'바라다'의 경우 '바래다'에는 이미 전혀 다른 의미와 어원을 가진 단어가 쓰이기 때문에 그렇게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맞히다'와 '맞추다'를 혼동하는 사례, '부수다'와 '부시다'를 혼동하는 사례와 동일한 이치입니다.
닉네임변경123
24.01.30
BEST
바라 까가 바라 빠를 만들었음. 전 이 악물고 바라 쓰겠음. 울방장도 바라 쓰길 바라.
알필요없다
24.01.30
BEST
제 생각에도 이거는 안 바꾸는 게 맞는 거 같아요 짜장과 자장 같은 사례는 외국어를 가져온 거고 이걸 어떻게 음차하느냐에 대한 대략적인 규칙은 있지만 명확히 이건 옳고 이건 그르다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짜장도 표준어가 될 수 있었던 건데
바라와 바래 사례처럼 단순히 매력적인 오답이 존재하고 사람들이 많이 틀린다는 이유로 맞춤법을 개정한다면 맞춤법이라는 것 자체가 너무 불안정해질 거 같음
빛펄
24.01.30
다시 태어나도 너만 바라~
괴정동미운둥이
24.01.30
자장면 자장면 자장 짜장면처럼 되는 그 날까지.
베개나라일꾼
24.01.30
바닐라라떼한잔이요~
내가왜
24.01.30
카~피바라~
부산의자랑김성태
24.01.30
저도 무적권 '바라'라고 말하고 씁니다ㅋㅋ
잼잼이
24.01.30
저도 바라 라고 쓰는데 댓글과 본문 내용같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ㅋㅋㅋ 저는 그래서 보통 뭐뭐 되길 바람 ㅇㅇ 라고 쓰곤 합니다
아두미올씨다
24.01.31
엄마가 빨리 자래
김재일
24.01.31
어쩌다 바래라고 됏을까요?
1 2

📖이야기&썰 전체글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를 위해 다른 국가와 개별적으로 무역 협상 3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168
·
12시간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2) -조조-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01
·
1일전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1) -유비-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116
·
1일전
오늘 방송 보고 해본거
미스터리&공포
자동반사
·
조회수 290
·
1일전
챗지피티와 나눠본 "지브리 풍으로 그려줘~" 에 대한 대화
미스터리&공포
미야자키끼얏호
·
조회수 184
·
1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3부] 15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289
·
3일전
포켓몬스터에 알수없는 포켓볼이 있다?! 2
미스터리&공포
깨팔이사료주인
·
조회수 308
·
3일전
싸늘한 제갈량, 어처구니 없는 유비 1
삼국지
참칭맨
·
조회수 319
·
3일전
만화가들 허리가 안좋아지면 그림체가 이상해지는 이유 5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568
·
4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2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708
·
4일전
한국 야쿠르트계 전설로 남은 분 1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399
·
4일전
슈퍼전대 50주년 기념 프로듀서 인터뷰
역사&사건
맵찌리찌릿삑궷츢
·
조회수 266
·
6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1부] 14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936
·
6일전
일본, 대만 유사시 오키나와 대피계획 책정 2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472
·
7일전
경북 산불로 국내산식품이 사라짐 17
미스터리&공포
침크빈
·
조회수 4057
·
7일전
어느 실업고교 선생님의 눈물 22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4128
·
7일전
[속보] 경북 산불 모두 진화 완료 19
역사&사건
병건하게
·
조회수 4010
·
03.28
캐나다 총리 : 트럼프 관세로 캐나다와 미국의 '오래된 관계'는 '종료' 7
미스터리&공포
푸르로닝
·
조회수 447
·
03.28
현재 청송 휴게소 모습 22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5905
·
03.26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상방곡과 사공명 주생중달 23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519
·
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