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달려라 메로스"의 창작 발단

‘인간실격’의 작가로 유명한 다자이 오사무가 도쿄 인근 무라카미 여관에 틀어박혀서 몇 달째 나오지를 않자 다자이가 걱정된 아내는 다자이의 친구인 단에게 다자이가 어쩌고 있는지 좀 들여다봐달라고 부탁했다.
무라카미 여관에 간 단은 그만 다자이에게 붙들려서, 함께 술을 마시며 돌아다니던 사이 가지고 온 돈을 모두 써버렸다.
그러자 다자이는 여관 주인에게 단이 인질이라면서 놔두고선 자신은 도쿄에 있던 스승 이부세 마스지의 집에 가서 돈을 구해오겠다고 가버렸다.
그런데 단이 며칠을 기다려도 다자이가 돌아오지 않자 여관과 술집에 사정사정해서 외상 지불을 미룬 뒤,
도쿄의 이부세 마스지의 집에 가 보니 다자이는 이부세와 한가롭게 장기를 두고 있었다.
사실 다자이는 이부세와 장기를 두면서 돈 좀 빌려 달라고 말할 타이밍을 노렸지만 며칠째 그게 안 되었던 것이다.
단이 그런 모습을 보고 화를 내려 하자 다자이가 "기다리는 사람이 괴로울까, 기다리게 하는 사람이 괴로울까?"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다자이는 이 일을 계기로 기다림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주제로 한 “달려라 메로스”라는 소설을 집필하였다.
소설의 내용은 주인공인 메로스가 사람들을 마구 죽이는 포악한 디오니스 왕을 암살하려고 했다가 붙잡히고, 여동생의 결혼식을 열어주기 위해 사흘의 여유를 받는 대신 친구 세리눈티우스를 인질로 데리고 있으라 하고 떠났다가 돌아오는 이야기다.
신의를 지킬 줄 아는 남자인 메로스는 미친 듯이 달리고 폭우로 불어난 강도 헤엄쳐 건너고 길을 막는 산적들도 때려잡고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참아내면서 세리눈티우스가 사형당하기 직전에 도착하는 데 가까스로 성공한다.
메로스는 그만 포기하고 싶었다는 사실을, 친구는 메로스를 의심한 사실을 고백하면서 꺼이꺼이 울고 이를 본 왕도 감동해 둘 다 살려준다는 내용이다.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중에서는 접근하기 쉬운 소설이고 '우정과 인간 간의 신뢰'라는 보편적 주제를 다룬 탓인지 전후 일본의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고 이로 인해 일본의 국민소설이 되었다.
후에 달려라 메로스가 나오자 이 소설을 읽어본 단은 "아타미에서 있었던 일이 창작에 중요한 발단이 된 것 같다"라고 언급했다.
대인배 단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