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혐오는 인간의 본능 : 감염병과 혐오의 관계

침착맨의속눈썹다섯가닥
23.06.20
·
조회 5563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18&key=202004120554506455

 

 

 

심심해서 인종차별 관련 웹서핑하다 재밌는 칼럼읽어서 나중에 다시 볼겸해서 공유합니다.

문과라서 인종차별이 본능의 영역인건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는데 자세한 이유는 몰랐읍니다.

그런데 해당 글(영상)에서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시더라구요. 사람이 짐승이 아닌 이상 바람직한 사회제도 아래서 

본능을 이겨내려는 노력이 필요한것인데 요새 뉴스들 보면 그게 참 쉽지가 않아보이네요.

 

 

 

 

 

 

 

혐오는 인간의 본능 : 감염병과 혐오의 관계

 

 

우린 매번 잊곤 하지만, 인류사는 늘 감염병의 발생과 잦아듦(종식이 없기에)이 반복되던 역사였습니다. 

이번에 발병한 것이 코로나19라는 병명일 뿐, 새삼스러운 건 없을지도 모릅니다.

여느 감염병이 그러했듯, 이 몹쓸 병도 우리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낯선 것들이 새로운 표준이 되고, 당연하던 일들은 특별해졌습니다.

코로나19는 건강한 신체만 앗아간 게 아닙니다.

우리 안에 잠재돼있던 혐오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내 버렸습니다.

감염병이 전 세계로 확산하자, 지구촌 곳곳에선 수없이 많은 인종차별과 혐오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피해자는 주로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들이었죠.

피해당사자뿐 아니라, 같은 아시아인이라면 누구나 혐오라는 단어에 적잖은 반감과 분노를 느끼셨을 겁니다.

그런데 이런 혐오가 우리 모두에게 있는 본능이라면 믿으시겠습니까?

누구든 회피하려는 행동과 역겨워하는 감정을 갖고 있다는 말입니다.

혐오가 인간의 본능으로 자리잡게 된 건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때문이었습니다.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포유류가 출현하기 훨씬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했다고 합니다.

병원체가 기생하는 숙주는 일반적으로 병원체를 피하려는 반응을 보이는데 이것이 '혐오'의 시작입니다.

인류사를 통틀어 전쟁 등 다른 죽음을 모두 합한 것보다 감염병으로 인한 죽음이 많았는데

이 때문에 우리 면역계는 감염병 위험을 낮추는 방향으로 진화해왔으며

그 결과 감염 가능성이 커지면 행동 영역에선 회피를 감정 영역에선 역겨움을 내비치게 되었습니다.

역겨움은 인간의 기본 감정 중 하나로 상한 음식에 대한 반응에서 시작되었는데

갓난아기도 이상한 걸 맛보면 같은 감정을 느낀다고 합니다.

커가며 그 범위가 넓어진다는데요.

[박한선 / 신경인류학자 겸 정신과 의사 : (그 대상은) 주로 배설물이라든지 더러운 곤충, 小동물 중에서도 설치류, 사람들의 기침이나 구토 이런 것들입니다. 임산부 같은 경우에는 임신 초기에 입덧이라는 반응을 통해 본인이 먹으면 좋은 음식과 좋지 않은 음식에 대해 거의 본능적인 수준에서 행동을 조절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감염 가능성이 있는 더러운 대상에 대한 역겨움과 같은 혐오 반응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진화적 본능입니다.]

그런데 인류사회가 발전하면서 이러한 혐오 본능은 사회적 금기를 만들어내기 시작했습니다.

썩은 고기엔 병원체가 있기 때문에 '먹을 수 있는' 동물을 구분하는 엄격한 기준이 나타났고

매독과 같은 성병을 피하려 '올바른' 성문화에 관한 규범이 만들어졌으며

겉모습이 다른 외국인이 미지의 병원체를 퍼뜨릴 수 있다는 두려움에 외인을 멀리하는 '자민족 중심주의'가 발현되기도 했습니다.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이러한 금기들이 세상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고 '비정상'이라 여기는 대상들에게 혐오와 배척을 가해왔던 것입니다.

[박한선 / 신경인류학자 겸 정신과 의사 : 감염병이 한번 유행하게 되면 사람들의 집단적인 심리 반응은 대략 세 단계에 나누어 진행됩니다. 처음에는 잘 알지 못하는 질병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생명을 잃지 않을까 하는 불안, 이런 반응이 첫 번째 단계로 나타납니다. 두 번째는 감염원이 될 수 있는 대상들 혹은 집단들에 대한 혐오 반응, 그리고 회피 반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됩니다. 어느 정도 감염이 지역사회에 무르익게 되면, 그러한 원인을 만들었던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해 사람들이 분노하고 혹은 책임 전가를 하는 양상의 희생양 찾기 단계에 접어들게 됩니다. 현대사회에서는 도리어 정부라든지 방역 당국, 혹은 의료인에게 희생양 찾기가 시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집단 내에 있는 외국인 노동자라든지 유학생 혹은 불특정 다수인 외국인 전체를 상대로 한 희생양 찾기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이 지닌 본능엔 혐오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진화적 측면에서 혐오는 인류를 존속게 한 중요한 이유가 되었지만 이것만으로 인간을 설명하기엔 부족합니다.

숙주인 동물에겐 일반적으로 감염병을 피하려는 본능이 있어서 혐오는 인간만이 갖는 특성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다른 동물에겐 나타나지 않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본성은 무엇일까요?

[박한선 / 신경인류학자 겸 정신과 의사 : 다른 동물에 비해서 인류는 가장 협력적인 동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은 수렵·채집사회에서 자신이 취득한 음식물을 주변에 있는 非친족들과 나눠 먹는 행위에서 시작됐다고 생각을 합니다. 오염된 음식물에 대한 혐오 반응이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하나의 중요한 심리적 모듈이었던 것처럼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음식물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행동 자체도 거대한 공동체를 이루게 만든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혐오나 혹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타심 모두,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한 진화적인 형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원시적인 혐오와 배제의 반응에 굴복할 것인지, 아니면 지금 세상에 조금 더 걸맞은 연대와 협력, 그리고 이타심으로부터 시작된 같이 만들어 가는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인지는 우리가 결정할 일이죠.]

이런데도 사회 곳곳에서 여전히 혐오만을 드러내려 한다면 앞으로도 감염병과 끊임없이 고군분투해야 하는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버트너/ 이상엽[sylee24@ytn.co.kr], 연진영[yjy1769@ytn.co.kr], 이정택

도움/ 박한선 신경인류학자 겸 정신과 의사, 「전염병은 왜 혐오를 일으키는가」,『SKEPTIC KOREA vol.21』
 

댓글
물개뇨속
23.06.20
재밌네요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침착맨의속눈썹다섯가닥 글쓴이
23.06.20
감사합니다.
일론머스크3세
23.06.20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이러한 금기들이 세상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고 '비정상'이라 여기는 대상들에게 혐오와 배척을 가해왔던 것입니다.
여기에 조금 다른 의견인데 서순이 잘못됐다고 생각함. 경험으로써의 혐오와 배척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것들에 혐오감을 느끼는 사람들만이 살아남은게 맞다고 봄. 불쾌한 골짜기도 같은 맥락인데, 비정상적인 외모(시체, 병걸린 사람)에 혐오감을 가진 인류가 살아 남았기 때문에 불쾌한 골짜기를 느낀다고 생각함.
일론머스크3세
23.06.20
물론 여기서 말하는 ‘비정상’의 정의는 ‘우리집단’과 다름을 의미
애국불숭이
23.06.20
여기서 누가 살아남았고 아니고와는 논의의 맥락이 다릅니다
본능적인 혐오로 인해 금기와 타부가 생겨났고 거기서 사회문화적 혐오가 파생되고 확장되었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본능적인 혐오(감염병 원인 기피)가 사회문화적 혐오(아시아인 차별)을 형성했다는 거니까요
하지만 사실 아시아인이든 서양인이든 검사해보기 전엔 감염병 감염자인지 모르죠
그러니까 이러한 사회문화적 혐오는 뚜렷한 근거 없는, 본능적 혐오에 올라탄 문화적 현상이므로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 같습니다
일론머스크3세
23.06.20
아 저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본능적인 혐오가 생긴 이유를 말한거예요!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 > 혐오
- 학습에 의한 혐오
비정상에 대해 혐오를 느끼는 dna > 감염병을 피해서 살아남음
- 본능적인 혐오
글 제목부터 ‘혐오는 인간의 본능’ 인데 저 부분은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이 혐오의 원인인 것 처럼 말하고 있어서요
@애국불숭이
일론머스크3세
23.06.20
결과적으로는 돌숭이님의 ‘이러한 사회문화적 혐오는 뚜렷한 근거 없는, 본능적 혐오에 올라탄 문화적 현상이므로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 같습니다’ 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게 맞다고 보고 저도 동의합니다!
@애국불숭이
애국불숭이
23.06.20
넵 저도 읽고 보니 같은 의견인 것 같습니다 !
본능 때문에 혐오하는 것과 두려움 때문에 혐오하는 것을 구별해야 한다는 말씀이시죠?
본능적인 혐오 또한 두려움에서 시작된 것이니 결국 둘은 앞뒤로 연결되는 것 아닐까요?
두려움을 느낌->혐오하게 됨->살아남음-> 혐오하는 본능이 내재됨->비슷한 것들까지 혐오,금기시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확장됨->근거없이 아시아인을 혐오함
이런 메커니즘이라고 본문은 설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ㅎ
본문에서 혐오의 정의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 같아 저도 좀 헷갈리네요 ㅎ
@일론머스크3세
침착맨의속눈썹다섯가닥 글쓴이
23.06.20
혐오 멈춰!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87247225802-ozwl5mc6p5r.png
일론머스크3세
23.06.20
근데 사실 저도 계속 헷갈려서 오락가락끼릭까락맨됨..
@애국불숭이
인간시절침착맨
23.06.20
사랑은 감염을 허락하는거야
고양이
23.06.20
혐오가 생존을 위한 방어기제로서 dna에 각인되어 있다는건가
마루나래
23.06.20
헐~ 완전 서순 잘못됨~ 완전 동의하지 못함~
오그레마기
23.06.20
??? : 죄악은.. 타고난 권리다..

📖이야기&썰 전체글

범인을 찾게 해준 한마디.jpg
미스터리&공포
바이코딘
·
조회수 160
·
12시간전
휴전협정 체결을 몰랐던 KLO부대의 비극 1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192
·
1일전
세종대왕이 '세종'인 이유 4
역사&사건
옾월량
·
조회수 230
·
1일전
요트로 세계일주 하던 한국 아저씨의 반전 1
미스터리&공포
바이코딘
·
조회수 227
·
2일전
비교적 덜 알려진 세종대왕의 능력 21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4459
·
2일전
남자친구 대신 고시엔 진출한 여자 매니저 2
역사&사건
라노링
·
조회수 342
·
4일전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사마의와 조상, 그리고 흥세산 32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881
·
4일전
(속보) 도람뿌, 무역협상서 한국,일본 같은 동맹 우선하라 지시 4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581
·
5일전
사진 한장 때문에 친일파로 몰렸던 인물.jpg
역사&사건
바이코딘
·
조회수 420
·
5일전
조선시대 능행에 관하여 7
역사&사건
퍼스트디센던트많관부
·
조회수 434
·
5일전
한 교수님의 독버섯 구분법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390
·
6일전
경복궁에서 외국인들 동양뽕 풀충전 해주는것 24
역사&사건
국밥부장관
·
조회수 6540
·
7일전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를 위해 다른 국가와 개별적으로 무역 협상 5
역사&사건
푸르로닝
·
조회수 420
·
04.05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2) -조조-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201
·
04.05
chatgpt로 삼국지 인물과 대화하기 (1) -유비- 1
삼국지
고기만두콘
·
조회수 231
·
04.04
오늘 방송 보고 해본거
미스터리&공포
자동반사
·
조회수 480
·
04.04
챗지피티와 나눠본 "지브리 풍으로 그려줘~" 에 대한 대화
미스터리&공포
미야자키끼얏호
·
조회수 364
·
04.04
< 삼국지 용어 이야기 > - 꿀물과 호랑이 [3부] 18
삼국지
병건하게
·
조회수 1602
·
04.03
포켓몬스터에 알수없는 포켓볼이 있다?! 2
미스터리&공포
깨팔이사료주인
·
조회수 443
·
04.02
싸늘한 제갈량, 어처구니 없는 유비 2
삼국지
참칭맨
·
조회수 417
·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