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도라지 멤버들과 생존게임 - 돈 스타브 투게더 (Don't Starve Together)
합방용 추천 게임

돈 스타브 투게더, 일명 굶지마 입니다.
(Steam에서 구매할 수 있고, 가격은 15,500원 입니다.)
모험이나 농사, 사냥, 보스전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생존 게임입니다.
배도라지 멤버들과 함께 플레이 하시면 재미있을 것 같아 추천합니다.
(최대 6인까지 플레이가 가능한 생존 게임입니다.)
한글화 적용법은 가장 아래에 남겨두었습니다.
게임의 요소를 설명하고 싶은 마음과 추천 모드들에 관한 설명 탓에 글이 깁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게임의 특징
가볍게 언급했듯 모험의 요소와 농사, 전투와 보스전까지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생존 게임입니다.

오른쪽 상단의 UI를 살펴보시면 시간(낮, 오후, 밤)과 계절(가을, 겨울, 봄, 여름)의 개념이 존재합니다.
즉, 시간에 따라 계절에 따라 각각 색다른 요소가 존재하는 생존 게임입니다.
예를 들어 겨울에는 추위 탓에 캐릭터가 얼어죽기 때문에 방한 아이템을 구비해야하고,
여름에는 너무 더워 쪄죽기 때문에 온도를 낮춰줄 아이템을 구비해야 합니다.
또, 낮에는 밝고 일부 몬스터들이 소극적으로 활동하며,
밤에는 반대로 적극적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시야가 극도로 좁아지는 등 여러 요소가 존재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UI에 있는 위장, 뇌, 하트 아이콘들은 각각 허기, 정신력, 체력을 의미합니다.
허기가 0이 되면 체력이 쭉쭉 떨어져 결국 아사하기 때문에 게임의 이름이 ‘굶지마’ 입니다.
정신력이 낮아지면 허깨비를 보게 되는 등 패널티를 받게 되고, 정신력이 너무 낮으면 허깨비에게 공격 받습니다.
체력은 허기 수치가 0이거나, 공격을 받거나, 역겨운 음식을 먹으면 하락하고 0이 되면 죽게됩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와 게임 내에서 주어진 탐사 및 전투 등 컨텐츠로 재미있는 상황이 많이 나올 것 같았고 또, 그 상황들을 보고 싶은 마음에 추천드립니다.
선택 캐릭터 (일부)

DLC 캐릭터까지 포함시 총 18종, 미포함 14종 입니다.
위 캐릭터는 기준이 되는 캐릭터로 해당 캐릭터와 비교를 통해 3스텟(허기, 정신력, 체력)이 높고 낮음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특색이 넘치는 캐릭터 일부를 소개하자면,
먼저, 가장 기준이 되는 위 캐릭터는 윌슨입니다.
모든 스텟이 평범하고 특별히 잘난 점은 없지만, 못난 점도 없는 그야말로 기준이 되는 캐릭터입니다.
운동을 좋아하는 볼프강.
체력과 허기가 높고, 운동을 하는 캐릭터입니다.
겁이 많아서 정신력 감소가 빠릅니다. (??? : 엄마야!)
운동 열심히 하면 힘이 세지고 근육이 빵빵해지고, 운동을 안하면 말라깽이가 되서 골골 거립니다.
(그래서 짬날 때마다 운동해야함)
벌목을 좋아하는 우디.
스텟은 평범하지만, 전용 도끼로 벌목하는 속도가 정말정말 빠릅니다. (대신 도끼가 재잘재잘 시끄럽게 굼)
그리고 보름달이 뜨는 밤엔 저주를 받아서 비버/무스/거위 중 랜덤으로 변하는 저주에 걸려있습니다.
비버 - 나무를 더더 잘 벌목함
무스 - 잘 싸움
거위 - 파발
고기만 먹는 위그프리드.
체력이 높고 허기와 정신력이 낮은 바이킹 연기자입니다.
바이킹 연기자라 싸움을 잘합니다. 하지만 전사의 음식만 먹는 연기도 진심입니다.
아사 직전에도 고기만 먹기 때문에 항상 고기를 준비해야 합니다.
미식가 왈리.
허기가 높은 요리사입니다.
미식가라 음식을 가립니다. 꼭 ‘요리’를 해야 먹습니다.
과일도 안먹고, 구운 고기도 안먹습니다. 아사 직전에도 꼭 ‘요리’가 된 음식만 먹습니다.
그리고 미식가이므로 한 번 먹은 음식은 이틀 뒤에 먹어야 맛있게 먹습니다. (그냥 먹으면 허기가 덜 참)
추천 모드
초보자를 위한 추천 모드입니다. 창작모드에서 검색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개인 모드 (플레이어 모두 게임 실행 후 - 모드 - 클라이언트 모드 에서 적용해야 합니다)
Combined Status
-허기, 정신력, 체력 등을 수치화 해서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모드
Craft Pot
-요리 레시피를 알려주는 모드
(요리 레시피를 모르면 곤죽만 만들어짐)
Wormhole Icons
-맵에 ‘웜홀’이 존재하고, 웜홀은 정신력을 소모하여 빠르게 맵을 이동하는 오브젝트 입니다.
웜홀은 한 쌍씩 존재하여 양방통행이 가능한 오브젝트인데 ‘한 번 이상 사용한’ 웜홀의 이동지점을 지도에 표시해주는 모드
서버 모드 (서버를 여는 플레이어 한 명만 깔고, 서버를 열 때 적용하면 됩니다)
Global Positions
-서버에 있는 멤버들을 지도(M) 상에 표시해주는 모드
Display food values
-음식이 제공하는 수치를 보여줍니다. 허기, 정신력, 체력을 얼마나 채워주는지 표시해주는 모드
Health Info
-몬스터의 체력을 표시해주는 모드
여기까지는 편의를 제공하지만, 게임 내 밸런스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모드이지만
아래 모드는 제공하는 편의가 더욱 크지만,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모드입니다.
Extra Equip Slots
-인벤이 적어서 가방을 메야 부족한 인벤에 그나마 숨통이 트이는데, 가방을 메면 갑옷을 못낍니다.
따라서 기존에는 가방이냐, 갑옷이냐 양자택일의 상황에서 가방을 골라야 하기 때문에 갑옷을 포기하거나
가방을 메고 갑옷은 따로 들고 다니다 유사시 스위칭하거나를 골라야 합니다.
그러나 이 모드는 가방을 메면서 갑옷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는 사용하면 편한 모드입니다.
Increased Stack size
-아이템마다 스택이 되는 수치가 다르긴 하지만 보통 20개, 40개 둘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안그래도 좁은 인벤이 더더욱 좁아 가방이 몹시몹시 중요합니다.
이 모드는 모든 아이템의 스택 제한을 99개로 늘려주는 모드입니다.
Quick Pick
-본래는 자원을 채취하는 데에는 시간이 조금 소요됩니다. (풀 베기, 나뭇가지 꺽기 등)
이 모드는 채취 시간을 제거해 즉시 채취가 가능하게 변경하는 모드입니다.
Campfire Respawn
-본래 플레이 도중 사망시 부활을 하기 위해선 몇몇 요소가 필요합니다.
그 탓에 게임 초반부에는 진행이 더디거나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해당 모드는 캠프파이어에서 부활을 가능하게 하므로 초보 유저의 경우 꼭꼭 필요한 모드입니다.
이 게임은 초보자에게 불친절하고,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원활하고 수월한 진행을 위해 언급된 모드정도는 필요하고 또, 허용가능한 범주라고 생각합니다.
게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단 그냥 편의만 제공하는 모드 아닌가 싶겠지만,
해당 게임은 인벤토리의 압박과 가방, 갑옷의 양자택일을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기 때문에
그것을 깨뜨리는 모드이므로 게임 내 밸런스에 영향을 주는 모드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채취 시간을 줄이는 모드 또한, 시간을 더 활용하게 만드는 모드이므로 언급하였습니다.
추가로 인벤을 늘려주는 모드도 존재하지만 그 모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타 모드와 충돌을 많이 일으키고, 인게임 요소와도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게임이 팅기는 문제가 생기면 이 모드가 원인입니다.
한글화 방법
전술한 모드들의 적용 방법도 같습니다.
게임 구매 후 창작마당에서 ‘[한글] 굶지마 다함께 한글화[클라이언트]’ 와 ‘[한글모드]굶지마 다함께 한글화 [서버]’ 를 검색,설치하시고
게임 실행 후 모드 - 클라이언트 모드 - 한글화 모드를 체크 - 적용하시면 한글화가 적용됩니다.

이후에는 게임 열기 - 새로운 세계 생성을 하시고 모드 탭에서 ‘한글화 서버 모드’를 체크 하시면 인게임 한글화까지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