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시리즈 (공자,맹자) 해줘요
고사성어 관포지교(관이오,포숙아), 화씨지벽(발목할아버지), 완벽(인상여,염파,소양왕) 이야기 재밌게 잘 봤습니다.
그래서 춘추시대 공자와 전국시대 맹자의 생애와 일화를 나무위키를 통하여 재밌게 소개해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재밌는 공자의 일화 (나무위키를 참고했습니다.)
1. 자로가 말했다... "관중을 인(仁)하다고 할 수 없지 않을까요?"
공자가 말했다. "환공이 군대를 일으키지 않은 것은 모두 관중의 힘이었다. 이것이 인(仁)이다. 이것이 인(仁)이다."
자공이 말했다. "관중이 인(仁)자일 수는 없지 않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백성들은 지금까지 그의 혜택을 받고 있다. 관중이 없었다면 우리는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편으로 했을 것(=오랑캐이다.
《논어》 현문편 17-18장 (나무위키)
2. 안연이 인(仁)에 관하여 여쭈어보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 자신을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극기복례)이 인이다.
날마다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면, 온 천하가 인으로 돌아갈 것이다.
인을 위하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달려 있지 남에게 달려 있겠느냐?"
안연이 말했다. "청컨대 그 요점을 물어보고 싶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가 아닌 것은 보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듣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하지 말아라."
안연이 말했다.
"제가 비록 불민하지만 모쪼록 이 말씀에 힘쓰겠습니다."
《논어》 안연편 1장 (나무위키)
재밌는 맹자의 일화 (나무위키를 참고했습니다.)
1. 맹자가 양혜왕을 뵈었다. 왕이 말하였다.
"어르신께서 천리를 멀리 여기지 않고 오셨으니, 역시 내 나라에 이로움이 있겠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왕은 하필 이로움(利)을 말하십니까? 다만 인의(仁義)만이 있을 뿐입니다.
왕께서 '어떻게 하면 내 나라를 이롭게 하겠느냐'고 말하신다면,
대부(대신)들은 '어떻게 하면 내 집안에 이로울까'를 말하며,
선비나 백성들은 '어떻게 하면 내 몸에 이로울까'를 말합니다.
윗사람이나 아랫사람 모두가 서로의 이익만을 취하게 된다면 나라는 위태로워 질 것입니다.
만승의 나라에서 그 임금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천승의 집안이며,
천승의 나라에서 그 왕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집안입니다.
만승이 천승을 갈취하고, 천승이 백승을 갈취함이 많지 않은 게 아니건만은,
진실로 의리를 뒤로 미루고 이익만을 앞세운다면 모든 것을 다 빼앗지 않고서는 만족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무릇 어질면서 부모님을 버린 사람은 없으며, 의로우면서 임금을 뒷전으로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왕께서는 오직 인의만을 말씀하실 것이지 하필이면 이로움을 말하십니까?"
《맹자》, <양혜왕 상(上)편> (나무위키)
2. 맹자가 제나라의 선왕(宣王)에게 말하기를 이와같이 하였다.
"왕의 신하 가운데 그 처자식을 벗에게 맡기고 초(楚)나라로 유람을 간 자가 있었다 하지요. 그자가 돌아와 보니 처자식이 추위에 떨며 굶주리고 있었다고 한다면,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절교해야 겠지요."
맹자가 말했다. "사사(士師)가 사(士)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파면시켜야 겠지요."
맹자가 말했다. "사방 국경의 안이 다스려지지 않는다면,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왕은 좌우를 두리번거리며 말을 돌렸다.
《맹자》〈양혜왕장구 하(下)〉 (나무위키)
등등 재밌는 에피소드와 생애를 방송에서 재밌게 풀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항상 삼국지 게임이나 책에서 유비가 인의 대의 하는데 그 인의와 대의가 무엇인지도 같이 설명이 되니 더욱 좋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