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프로데 그뤼텐 -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는 모든 인간의 근원적 화두라 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룬다.
죽음.
누구나 예외 없이 겪는 인생의 주요한 사건이자 종착점.
이 소설은 생의 마지막 언저리에 다다른 닐스 비크의 시선으로 쓰인 단 하루 동안의 이야기다.
삶이란 결국 죽음을 향한 여정이며,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이냐의 문제는 곧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이냐의 문제와 같다는 진실을 찬찬하게 들려준다.
노르웨이 현대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꼽히는 프로데 그뤼텐이 10여 년 만에 발표한 장편소설로, 출간된 그해에 브라게문학상을 수상했다.
소설의 배경은 노르웨이 피오르 해안가의 작고 고요한 마을이다.
페리 운전수인 닐스 비크는 무수한 삶들을 배로 실어 나르며 일평생을 보냈다.
생의 마지막 날에도 닐스는 여느 때처럼 피오르를 항해하는데 이날의 승객들은 조금 특별하다.
한때 닐스의 배에 탄 적이 있는, 그러나 지금은 세상을 떠나고 없는 이들이 차례로 배에 올라타는 것.
죽은 자들은 닐스에게 끊임없이 이야기를 들려준다.
자신의 죽음에 관해, 실은 자신의 삶에 관해서.
각자의 방식으로 생에 충실했던 그 모든 평범한 자들의 목소리가 배를 가득 채우기 시작한다.
마지막 날에 이르러 닐스가 되돌아보는 자신의 삶이란, 결국 그를 스쳐 간 모든 삶의 총합이었던 것이다.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에는 서로 긴밀하게 또는 느슨하게 연결된 채 살아온 이들이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맞이한 죽음이 담담한 문체로 서술된다.
이 소설이 눈부시게 찬란한, 놀랄 만큼 아름다운 순간들로 들어차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하나의 죽음을 마주하는 일은 한 사람이 살아낸 생애를 들여다보는 일과 같으며, 한 생애가 가장 선명하게 남기는 흔적은 대개 사랑이기에.
“죽음을 이야기하는 소설이지만 그 핵심은 바로 삶”이라는 현지 언론평처럼, 결국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는 삶에 대한 애정과 경외로써 쓰인 소설이자 영원히 기억되는 사랑을 말하는 이야기라 할 것이다.
목차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 … 7
옮긴이의 말 … 273
모든 삶과 모든 문장은 언젠가는 마침표로 맺음하기 마련이다. 우리는 책장을 넘기기도 전에 이미 제목을 통해 닐스의 삶이 곧 끝맺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읽어갈수록 우리는 이 책이 비극적인 이야기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옮긴이의 말)
모든 것은 낡아 무너질 준비가 되어 있었다. 어쩌면 모든 것은 낡아 없어지기 위해 만들어졌는지도 모른다.
21쪽
그는 모든 것을 기억한다. 하나도 빠짐없이.
79쪽
집 안이 환하면 부재의 느낌이 더 커질까 봐 일부러 불을 켜지 않았다. 적어도 지금은 집이 어둠으로 가득 차 있었다.
86쪽
그 어떤 일도 똑같은 방식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같은 날은 두 번 오지 않는다. 그 모든 날들이 똑같다고 여겨지는 때는 오직 이 마지막 날뿐이다.
118쪽
가끔 세상은 아름다울 때도 있다.
134쪽
아무도 홀로 죽는 걸 바라지 않아요. 누구나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인 채 세상을 떠나고 싶어 한다고요.
140쪽
그는 언제나 이 단순한 행위를 좋아했다. 계단을 올라가 침실로 들어가서, 뺨 밑에 두 손을 모은 채 웅크려 누워 자는 그녀를 보는 것. 당신이에요? 그녀는 돌아보지도 않고 물었다. 응, 나예요.
188쪽
당신은 이 세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사람이에요. 당신은 아침의 빵과 저녁의 잠처럼 내게 꼭 필요한 사람이에요.
250쪽
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르던 날이었어요. 사람들이 관을 운반해 나갈 때 아버지가 결혼반지를 낀 손가락으로 어머니의 관을 톡톡 두드리는 모습을 봤어요. 마치 어머니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 같았답니다. 우리 곧 만나요.
266쪽
그는 세상에 태어나 한 걸음씩 한 걸음씩 여기까지 왔다. 세상에 태어난다는 것은 바람과 바다와 땅, 미움과 사랑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오래 살았던 데 감사하고 작별을 고하는 것이다.
268쪽
그는 마르타의 차가운 이마에 입을 맞추며, 남은 생의 모든 순간마다 그녀를 기억하며 살리라 결심했다. 그리고 그는 그 약속을 지켰다.
270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