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최인훈 - 광장 / 구운몽

한국 문학의 거인 최인훈의 문학 인생 50년을 아우르는 전집 「최인훈 전집」 신판.
1976년에 시작하여 1980년에 총 12권으로 집대성된 「최인훈 전집」은 꾸준한 증쇄를 거듭하며 시대를 뛰어넘는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 「최인훈 전집」신판에는 최인훈이 20여 년의 침묵을 깨고 1994년에 발표한 『화두』를 포함시켰으며, 총 15권의 새로운 판형으로 선보인다.
또한 최인훈 문학을 깊이 있게 탐색해온 국문학 전공자들의 새로운 해설을 기존의 해설과 함께 실어, 오늘날에도 여전한 문제의식을 던지는 최인훈 문학의 현재성에 주목하였다.
각 권은 일일이 작가의 확인을 거쳐 기존의 전집에서 발견된 오류와 오기를 바로잡았으며, 한국 현대 화단의 대표적 작가들의 작품을 표지에 실어 소장본으로서의 가치를 높였다.
제1권에서는 『광장』과 『구운몽』을 만날 수 있다.
4. 19 직후인 1960년에 발표된『광장』은 전후 한국 문학의 지평을 새롭게 연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최인훈의 대표작이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최다 수록된 작품이며, 해외에 가장 많이 소개된 국내 소설 중 하나이기도 하다.
『구운몽』은 5. 16에 대한 정치적 반응으로 씌어진 소설로, 『광장』과 구별되면서도 그 내부세계를 이루고 있는 작품이다.
한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최인훈은, 한국인의 삶의 궤적을 20세기 세계사의 진폭 속에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인간 존재의 본질 규명에 주력해 무수한 기념비적 작품들을 낳았다.
그 가운데에서도 『광장』은, 1960년에 발표된 이래 50여 년이 된 지금까지 세대를 거쳐 거듭 읽히며 사랑받고 있는 대표작이다.
해방-전쟁-분단으로 이어지는 한국 근현대사와 궤를 같이하는 주인공 이명준의 깊은 갈망과 고뇌는, 곧 우리 자신, 우리 민족의 것에 다름 아니었다.
우선 이 작품은, 분단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측면에서 한국문학사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작품은 남/북 간의 이념-체제에 대하여 냉철한 균형감각을 견지하면서 치열한 성찰로써 그 깊이를 드러내며, 주인공 이명준이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이항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길을 찾는 여정은 오늘에도 여전히 절실하게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단지 분단 현실에 대한 의미 있는 성찰만으로 이 작품이 최고의 고전 반열에 오른 것은 아니다.
『광장』은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에 천착하는 동시에, 삶의 일회성에 대한 첨예한 인식이나 개인과 사회, 개인과 국가 간의 긴장과 갈등, 인간 자유의 문제와 사랑과 같은 본질 주제들을 깊고도 큰 시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주인공 ‘이명준’의 창조는 전후 한국소설이 관념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내면 공간에 대한 섬세한 관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기가 되었다.
이 작품의 중요한 주제로 ‘이데올로기’와 더불어 ‘사랑’이 언급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인데, 이러한 『광장』의 열린 구조는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해석되고 새로이 접근되는 ‘현재성’을 획득하도록 기능한다.
세대와 시간을 넘어, 『광장』은 무수한 비평가와 독자들을 새로운 지적, 문학적 토대로 이끌고 있는 것이다.
『광장』은 또한 한국문학사상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기나긴 시간 동안 판과 쇄를 거듭하며 내용과 형식에서 아홉 차례가 넘는 섬세한 개작 과정을 거쳤다. 이는 언어에 대한 작가의 치열한 자의식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이번에 최종적으로 집대성된 『광장』은 그 완결판이라 할 수 있다.
살아 있는 지식인의 표상이자, 삶과 소설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운명을 지닌 작가의 상에 가장 적확한 최인훈, 그의 문학을 이제 새 그릇에 담아 21세기의 독자와 함께 새롭게 읽고자 한다.
『광장』에서 『화두』에 이르는 ‘최인훈 전집’은 그야말로 한국의 분단 상황에서 20세기 세계체제론에 이르는 문학적 성찰의 역정으로 독자들에게 더할 나위 없는 독서 체험을 제공할 것이다.
목차
1989년판을 위한 머리말
전집판 서문
일역판 서문
1973년판 서문 - 이명준의 진혼을 위하여
1961년판 서문
서문
광장
구운몽
해설 - 사랑의 재확인/김현
해설 - 다시 읽는『광장』/김병익
해설 - 사랑과 혁명의 미로/김인호
해설 - '광장', 탈주의 정치학/이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