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차의 구분 - 녹차랑 블랙티랑 같은애라고?
제가 잎차를 좋아하는데요
주변에 차를 권하다보면 의외로 녹차, 홍차, 블랙티가 같은 찻잎인지 모르시는 분들이 꽤 계시더라구요
그래서 재미삼아 한번쯤 살펴보고 가시라고 잎차 구분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봅니다
찻잎에는 폴리페놀과 폴리페놀 산화효소라는 성분이 있는데, 산화효소의 작용 및 미생물에 의한 산화(발효)정도에 따라 차의 종류가 6가지로 구분된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할것 같아요.
녹차 - 잎을 찌거나 덖은 후 건조시켜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작용을 멈추게 합니다. 때문에 차의 색이 녹색으로 유지된다고 해요.
백차 - 잎을 따서 햇볕이나 열풍으로 건조시킵니다. 가공을 가장 적게 해서 깔끔한 맛이 특징이에요.
황차 - 녹차와 마찬가지로 잎을 쪄낸 후 습한 상태의 잎을 종이로 싸서 미생물에 의한 약발효를 시킨 차입니다.
청차 - 흔히 우롱차라고도 불리는 차입니다. 찻잎을 바구니에 넣고 흔들어서 세포막을 깨뜨리고 미세발효를 시킨 차라고 합니다. 산뜻한 꽃, 과일향이 특징입니다.
홍차 - 찻잎을 완전히 발효시킨 후에 건조한 차입니다. 청차보다 좀 더 묵직한 과일 향이 나고 색이 훨씬 짙어집니다.
흑차 - 흑차는 1차발효가 끝난 차에 물을 뿌려 미생물에 의한 2차발효를 시키는 후발효차입니다. 오래 될수록 깊은 맛이 납니다.
위처럼 크게 6가지로 분류하고 있지만, 잎의 품종이나 세세한 가공 과정 등에 따라 셀 수 없을만큼 많은 종류의 차가 있다고 해요.
그 날 그 날 기분에 따라 심신을 안정시켜주기도, 산뜻함을 더해주기도 하는 잎차
회원님들도 한번 즐겨보시는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