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 무술 ) 벽화 : 수박, 씨름 // 조선 무예도보통지, 무예 24기
23.08.29
·
조회 343
고구려 사람들이 수박희와 씨름을 하는 고분벽화다
출처 : https://www.fmkorea.com/3601177032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조선 시대 군용 무술 교본이다. 끊어서 읽는다면 '무예 / 도보(그림과 해설) / 통지(종합 서적)'로 읽어야 한다.
1790년(정조 14년) 정조의 명으로 규장각 검서관인 실학자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소속 장교이자 무인인 백동수 등이 군사의 무예훈련을 위하여 편찬한 조선 시대 군용 무술 교본으로 임금의 명으로 만들어졌다 하여 《어제무예도보통지》(御製武藝圖譜通志) 또는 《어정무예도보통지》(御定武藝圖譜通志)라고도 불린다.
4. 현대의 《무예도보통지》[편집]
아쉽지만 한국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무술의 전통이 희미한 나라이다. 조선시대부터 문치를 매우 중요시했고, 그 이전의 고려시대나 삼국시대는 조선보다 전쟁이 잦았으며, 기록상 당나라 등 중국에 못지 않은 병장기와 무술 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은 가능하지만,[14] 오랜 평화기로 단절되다시피 하고 남아있는 것은 유물 몇점만 나와도 보물 취급될 지경이다.[15] 이런 상황이다 보니 얼마 안되는 사료라도 뒤져서 연구를 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 무술인들에게는 그나마 상세하게 남아있는 《무예도보통지》의 내용에 크게 의지하고 있으며, 덕분에 한국에서 전통무술을 한다는 단체치고, 《무예도보통지》를 참고하지 않는 곳이 없다. [ 나무위키 - 무예도보통지 ]
아쉽게 한국 무술 역사의 중요한 시대, 삼국 시대나 그 이전 무술 자료는 역사 사료가 부족하다네요 TT 전쟁이 많았던 삼국시대 무술은 특히 무기술 쪽은 대륙 국가들 못지않은 병장기와 무술 체계가 많았다고 하는데
사실상 조선시대 이후부터는 전쟁보다 [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같이 대규모 전쟁을 제외 ] 평화가 길어서 무술의 발전이 거의 멈춘 거 아닌가 싶습니다
- 권법 -
1. 개요[편집]
경당(24반 무예) 출신이었던 김영호[1]와 최형국[2] 등 경당 출신 무예인들이 수원화성과 연계하여 2003년에 세운 단체이다. "무예24기"란 단어는 십팔기와 같이 하나의 무술이 아닌 무예도보통지의 24가지 무술을 통틀어 지칭하는 단어이다.
화~일요일 오전 11시부터 30분까지 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정기공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남산 팔각정에서 매일 오후 3시에 각종 문화공연과 함께 무예공연을 하고 있다.
화~일요일 오전 11시부터 30분까지 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정기공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남산 팔각정에서 매일 오후 3시에 각종 문화공연과 함께 무예공연을 하고 있다.
댓글
🏅기타스포츠 전체글
UFC 어지럽네요
2
은가누 vs 빠따든 오타니 그냥 은가누가 이길것같은데요..
6
무체급 ) 압도적인 피지컬 차이를 극복했던 경기들 모음
궁술 ) 활 쏘기
1
대만 쿵푸 / 쿵후 무술 kuoshu 실제 격투 스파링 영상
이슬람 전투술 ( 무술 ) / 페르시아 전투 무술
시베리아 지역 ) 사하 야쿠티아 Khapsagay 씨름/레슬링
현재글
고구려 ( 무술 ) 벽화 : 수박, 씨름 // 조선 무예도보통지, 무예 24기
태권도에도 니킥이 존재한다
6
찬성이형 덕분에 그동안 즐거웠고
코리안 좀비 그동안 수고하셨습니다.
1
정찬성 선수 은퇴한다고 하시네요..
23
코좀vs할로웨이 ㄱㄱ
5
내일 코리안좀비 VS 할로웨이
3
아프리카 / 마다가스카르 / 무술 Moraingy
아프리카 / 나이지리아 / 무술 Dambe
1
시리아 전통 무술
아메리카 인디언 / 무술 / okichitaw 등
바이킹 / 무술
전투 / SUT 전술 ) Break Contact 브레이크 컨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