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수님 뭐라고 하시는 걸까요..?
22.12.28
·
조회 600

ㅋㅋㅋㅋㅋㅋ 졸업하고도 교수님 말씀은 어렵네요.
한양대 물리학 교수님 우주 관련 칼럼 읽던 중이었는데
약력의 분리와 양성자-중성자 평형이 깨진게 이해가 안됩니다…
- 약력은 양성자와 중성자 변환의 주요 핵심 아니었나요? 약력이 분리되면서 평형이 깨지고 멈췄다는게 무슨 의미인지.. 분리라는게 전약력이 전자기력과 약력으로 분리된 것을 이야기하시는 것 같은데 이해가 안됩니다…
- 6:1에서 베타붕괴로 7:1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전에 이미 양성자와 중성자가 변환되는 과정이 베타붕괴 아닌가요? 베타붕괴가 따로 언급된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6:1까지 가는 과정은 베타붕괴가 아닌가요? 그거 말고 양성자 중성자 변환이 또 일어날 수 있는지…
대학 때 교수님께 많이 질문할 걸 참 통탄스럽습니다
댓글
서망고
22.12.28
흑흑 전 횐님으 질문도 이해가 안가네요ㅠ
물린이
22.12.28
저 오늘 잠 못 잡니다ㅠ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1. 우주론에서는 어떤 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빈도가 허블 상수보다 작아지면 그 상호작용을 무시할 수 있다고 봅니다. (놀랍게도 허블 상수는 사건의 빈도와 같은 단위를 갖고 있습니다, s^{-1}=Hz) 그리고 열평형은 상호작용이 있어야 가능하죠. 따라서 만약 A와 B라는 물질이 있고 그 둘 사이의 상호작용 빈도가 허블 상수보다 작아지면 A와 B의 열평형이 깨지게 되고, A와 B가 서로 분리되겠죠. 그리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약력 분리 온도는 약력에 의한 모든 상호작용이 우주에서 더이상 일어나지 않게 되는 온도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부분은 freeze-out이라는 부분을 읽어보세요~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2. 6:1까지 가는 과정은 베타 붕괴가 아니라 상호작용 과정에서 중성자보다 양성자의 질량이 낮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질량이 더 높은 놈이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게 될 수 밖에 없고(전문적인 용어로는 chemical potential) 따라서 열평형 상태에서도 그 둘 사이에 비율차가 생길 수 밖에 없고, 그 비율이 6:1이라는 얘기겠죠. 저도 계산은 해보지 않아서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ㅎㅎ 이 부분은 그 쪽 전공자에게 직접 알아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열평형이 깨진 이후, 즉 양성자와 중성자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게 된 이후에는 중성자 홀로 남아서 양성자로 붕괴하게 되죠. 그렇기에 7:1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자세한 부분은 BBN(Big Bang Nucleosynthesis)를 알아보세용
물린이
22.12.28
열평형을 하다가 약력이 작용하는 온도 이하가 되어 평형 자체가 끝나 비율이 굳어진다는 것이군요...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럼 현재 우주에선 약력에 의한 상호작용은 일어나지 않고 실험실에서나 약력으로 인한 상호작용을 고온으로 재현하고 있는 것일까요??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글고 보니 6:1에서 7:1로 가는 설명이 영문 위키백과에 그대로 있네요.. 본의 아니게 이 분 레퍼런스를 알아버린...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물린이
22.12.28
아 베타붕괴가 아니라 뭔가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닌 상호작용 선에서 끝나는 건가요? 뭔가 중성미자도 들락날락해야할 것 같은데 뭔가 입자 세계에서는 명확한 기준이 있는게 아닌 것인지 참 어렵네요. 공부할게 많습니다. 그나저나 너무 똑똑하셔서 감탄하고 갑니다... 많이 배우겠습니다.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1. 넵 맞습니다. 물론 clustering된 물질들이 다시 자기들끼리의 열평형을 만들어서 약한 상호작용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우주의 관점에서는 거의 느낄 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주의 관점에서 바뀌려면 허블 상수가 온도에 따라 변할 정도가 되어야 해요
@물린이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2. 넵 6:1까지의 과정은 베타붕괴가 아니라 chemical potential 차에 의한 열평형 분포 차 라고 봐야 하겠네요 ㅎㅎ
@물린이
서망고
22.12.28
오오 많이 배우고 갑니다
덕분에 글도 질문도 이해가 되네요ㅋㅋㅋ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공력민수
22.12.28
저 잘 이해가 안돼요. 질량은 곧 에너지니까 질량을 줄 단위로 표기한건 알겠는데, 온도는 켈빈 아닌가요? 질량 차이랑 온도를 비교한다는게 어떻게 가능한건지 모르겠어요ㅜ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2.12.28
물리를 하다보면 물리학 구성에 필요한 주요 상수들이 튀어나오는데,(광속, 볼츠만 상수, 디락상수=플랑크상수/(2 pi)) 그 상수들을 1로 만드는 단위계를 natural unit이라고 부르고, 그 단위계에서는 서로 다른 단위끼리도 얼추 비교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수소 원자에서 전자의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가 13.6 eV 입니다. 그렇다면 만약 수소의 온도가 약 13.6 eV/(볼츠만 상수)=100000 K 이 된다면 수소 원자에 있는 전자의 약 절반 이상이 온도에 의해 튕겨져 나오지 않을까요? 이런 식으로 비교하는 겁니다.
따라서 글에서 나온 경우는 광속을 1로 두어서 질량과 에너지를 연결한 다음, 볼츠만 상수를 1로 두어서 에너지와 온도를 연결했다고 보심 되겠습니다~
공력민수
22.12.28
무슨 말씀인지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따봉 받아가세요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궤도님은 티어가 어찌 되나요?
1
최고민수 vs. 궤도민수 한짤 요약
31
소장님 뱅온?
화요일 랩미팅 때 궤도님 패드 바뀌었는데 아무도 몰라줌
3
Mbti와 진화에 대한 질문
3
여성 물리학자가 주인공인 김은희 작가님 차기작
유튜브 '침착맨' 침투부어워즈 대상 및 3관왕 수상(2021)
2
무친 내일 생일인데 궤도님 합방하네
3
달리는 차의 지붕 위에서 점프할 때의 관성력
6
퍼스널컬러에 과학이 있을까용
9
궤도님 정말 궁금한 질문이있습니다
12
운도 과학인가요?
5
찍어주세요
1
내일 모레 오후 1시 궤도님 놀러오십니다
2
양자역학 같은 거 하지 마세요
3
갑자기 양자역학 관측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어요
4
궤도님 너무너무 궁금한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지동설, 천동설 관련)
4
유전자 관련 내용 나온 영상 질문
2
이번주 금요일 궤도 하남자 겁쟁이 외면인 됩니다 ㄷㄷㄷㄷ
8
궤도님 궤도님 커벌 스페이스 프로그램이라는 게임이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