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물리 준수의 물리 이야기 - 대칭성

말랑말랑귤껍질
22.12.14
·
조회 898

1. 대칭성은 무엇인가?

얼굴 좌우대칭마저 엄격한 안경선배.jpg - 스퀘어 카테고리

제가 감히 한번 말씀드리자면 대칭성(symmetry)은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하고 아름다운 개념입니다. 하지만 박권 교수님이 랩장님을 괴롭힐 때 사용한 굉장히 어렵고 복잡한 개념이죠. 저도 한번 여러분들을 괴롭혀드리죠. ㅎㅎ

(순진한 랩장님에게 CPT 대칭을 설명하시기 전 신나신 박권 교수님의 모습)

 

 

‘내가 사는 이 세상은 남들이 사는 세상과 같을까?’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본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으셨다면 지금이라 생각해보길 추천 드립니다. 워낙 재밌는 질문이거든요. 물리학자들이 내린 결론은 ‘같다!’입니다. 남들에 비해 내가 특별히 다를 이유가 하나도 없거든요? (물론 여러분 모두가 특별하지만 모두가 특별하면 모두가 평범한 뭐 그런 느낌?) 이 같다는 개념이 대칭성의 시작입니다.

 

사실 대칭이라는 것은 초등학교 때 이미 배웠습니다. 점대칭, 선대칭과 같은 것들은 초등학교 5학년에 배우는 범위입니다. 선을 기준으로 뒤집어도 같은 도형과 점을 기준으로 돌려도 같은 도형들을 선대칭 도형, 점대칭 도형이라고 가르칩니다. 대칭성은 여기서 한발 자국 나아간 개념입니다.

이미지

‘곰문’은 점대칭 도형입니다.

 

대칭성이라는 말은 ‘무언가가 어떤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라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 표현을 풀어 쓴다면 ‘무언가를 어떻게 바꾸어도 똑같다’라는 뜻이다. 물리학에서 무언가는 보통 법칙이고 바뀌는 것은 관찰자이다. 즉, 대칭성을 가지려면 법칙은 관찰자가 어떤 방식으로 바뀌면 성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궤도님은 과학 이야기를 한다’라는 법칙을 새웠다고 해봅시다.

2021년 07월 29일 2부 | 안될과학 궤도의 '유사과학' 특강 - YouTube

궤도님은 침착맨님 채널에서도

안될과학 Unrealscience - YouTube

KBS 뉴스특보에서도

풀영상] 궤도민수님과 요리썰전 (220619 방송) - YouTube

승우아빠 채널에서도 끊임없이 과학 이야기를 합니다.

즉, ‘궤도님는 과학 이야기를 한다’라는 법칙은 미디어의 변화에 대한 대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대칭성뿐만 아니라 세상에는 수많은 대칭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이 세상의 법칙들이 만족하는 대칭성은 뭐가 있을까요? (만족하지 않는, 깨져버린 대칭성도 있다는 말이죠~)

 

2. 이 세상에는 어떤 대칭성들이 있는가?

이 세상에는 정말 많은 대칭성이 있습니다. 로렌츠 대칭성, CPT 대칭성, 무려 궤도님조차 설명을 포기하신 게이지 대칭성 등 수많은 대칭성이 있습니다. 그런 복잡한 이야기는 차차하고, 가장 간단한 대칭성들부터 알아가 보죠! ㅎㅎ

E8Petrie.svg

먼저 시간 대칭성(time translation symmetry)입니다. 물리 법칙은 시간이 바뀐다고 바뀌어서는 안됩니다. 즉, 시간 대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어제도 오늘도 동쪽에서 뜬 해는 내일도 동쪽에서 떠야 한다는 이야기이죠. 이러한 대칭성을 시간 대칭성이라 합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 같아 보이지만 굉장히 중요한 이야기랍니다!

기사 이미지

또 당연해 보이는 대칭성으로 공간 대칭성(spatial translation symmetry, spatial rotation symmetry)이 있습니다. 공간 대칭성은 공간 이동 대칭성과 공간 회전 대칭성으로 나누어집니다. 제가 서울에 있던, 부산에 있던, 화성에 가던 물리 법칙은 동일해야 하는 것이 공간 이동 대칭성이고, 제가 아무리 고개를 돌려봐도 물리 법칙이 동일해야 하는 것이 공간 회전 대칭성입니다.

 

이렇게 당연해 보이는 대칭성 말고도 다른 대칭성들도 있는데 모든 물리법칙에는 성립하지 않지만 어떤 물리 법칙에는 성립하는 물리 법칙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시간 역행 대칭성(time reversal symmetry)이 있습니다. 시간 역행 대칭성은 시간을 역행하는 세상에서도 만족하는 물리 법칙들을 이야기합니다.

놀랍게도 이 대칭성은 대부분의 물리 법칙에 대해서 성립합니다. 즉, 이 세상은 시간이 반대로 흘러도 이상하리만큼 자연스럽게 지금의 물리법칙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특히 물체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거의 완벽하게 성립하죠. 다만 물체의 숫자가 늘어나면 이러한 대칭성은 더 이상 성립하지 않게 되죠. 이는 시간에 관해 이야기하며 더 깊게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렇게 대칭성이 성립하지 않게 되면 대칭성이 깨진다고 합니다. 이 대칭성이 깨지는 것이 또 흥미로운 주제인데요~ 앞으로 할 이야기가 많네요 ㅎㅎ

 

글이 길어져서 이만 글을 마치고 다음에 더 이야기 해보도록하겠습니다!

 

사진 출처

https://theqoo.net/?mid=square&document_srl=677429965

https://www.youtube.com/watch?v=ZnSZAFi2B_o

QWvQ/community?lb=UgkxiSqF3nkICDyOGJjW4M0tA_guPaB9g_Jd

https://www.youtube.com/watch?v=NIuIsx2NIgg

https://www.youtube.com/channel/UCMc4EmuDxnHPc6pgGW-

https://www.youtube.com/watch?v=GdcOUXsnv1I

https://en.wikipedia.org/wiki/Symmetry_(physics)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28/2018122800888.html

https://namu.wiki/w/%EC%97%AD%EC%9E%AC%EC%83%9D

댓글
치즈모치
22.12.14
뭔가 읽다만 느낌 ㅠㅠ 더 길게 써줘잉
그래도 잘 보고 갑니다!
정수론민수
22.12.14
호오... 물리법칙이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독립적이게 유지된다는 것을 대칭적이라고 표현하는 방식이 굉장히 신기하고 재밌네요. 제게 대칭성은 군이라는 구조하에서만 존재하던 개념인데, 재밌게 읽었습니다!
세계제일의이야기꾼
22.12.14
물리에서도 어떤 이론체계가 가지고있는 대칭성을 군을 이용해 표현하기도 합니다.
주로 SU(n)이나 O(n)같은게 쓰입니다
말랑말랑귤껍질 글쓴이
22.12.14
입자이론의 최전선인 현재의 표준모형은 양밀스장의 게이지 대칭성의 깨짐에 관해 이야기하는데요! 여기서 양밀스 장은 SU(3)*SU(2)*U(1) 대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언젠가 모두에게 소개하고 싶은 분야네요 ㅎㅎ
1STP
22.12.14
그러나 엔트로피 흐름때문에 시간역행은 안되니 이론으로만 존재하겠군요
그불스튜디오
22.12.14
대칭성 정말 어렵더라고요! 여전히 이해는 못 하지만 좀 더 익숙해지고 갑니다
경제학민수
22.12.14
재밌어요우. 열역학 모델은 초기조건 없이 boundary condition만 주면 솔루션이 안나오는 결과가 시간 역행 대칭성이 성립하지 않는 부분인건가유?
말랑말랑귤껍질 글쓴이
22.12.14
시간 역행 대칭성이 열통계역학에서 깨지는 것은 분명한데 편미방의 솔루션이 안나오는 것과의 연관관계는 모르겠네요 ㅠㅠ
경제학민수
22.12.14
아하 그렇구만유. 지식이 늘었습니다 물리and천문학이 제일 멋있어유
@말랑말랑귤껍질
침애나
22.12.16
당신.. 지치지 말고 끝까지 연재해줘 ..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4025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44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69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39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498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700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888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27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84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24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6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36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46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22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708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57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32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30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95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60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