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라틴어하수가 들려주는 라틴어 이야기

정수론민수
22.12.14
·
조회 4555

안녕 침하하 여러분들, 


항상 수학 뻘글(?)을 쓰던 정수론민수지만, 오늘은 주제를 바꿔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해.

 

3년 전, 그러니까 박사 2년차 때 맨날 수학만 공부하는게 너무 지루하게 느껴졌거든. 그래서 조금 특이한 걸 공부해보고 싶어졌어.

 

수학과 가장 관련없는 학문이 무엇일까, 한참을 고민하다가 예전부터 로망인 라틴어를 선택했지. 그래서 1년 반정도 라틴어를 수강했어.

 

사실 라틴어를 배워도 쓸모가 전혀 없기 때문에 딱히 주변 사람들에게 막 자랑하진 않았어. 근데 여기 침하하에는 지식욕이 충만한 바람직한 친구들이 많아서 한번 용기를 내서 글을 써볼까 해.

 

먼저 들어가기에 앞서, 나는 라틴어 전공자도 아니고, 1년 반정도밖에 수강하지 않아서, 기초적인 수준밖에 몰라. 나도 나름 최선을 다해 오류가 없게 열심히 복습해가면서 써보겠지만, 그럼에도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에 지적해줬으면 해!

 

또한 라틴어 발음! 라틴어는 천년이 넘게 다양한 지역에 걸쳐 쓰여졌기 때문에, 다양한 발음이 존재했어. 오늘날 나름 발음을 복원은 했다지만, 아마 고대 로마인들이 쓰던 것들과는 또 다른 발음일지도 몰라. 여기서 내가 표기한 발음은 내가 수강한 라틴어 수업과 참고하는 라틴어 유튜브에서 사용하는 발음이야. 그러니 이게 유일하게 맞는 발음은 아니라는 점 꼭 염두해줘. 또한 요즘 라틴어를 교재는 글자 위에 작대기를 붙여 액센트를 표기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액센트를 생략하도록 할게.

 

그럼 시작해볼까?

 

(라틴어는 알파벳을 사용해. 정확히 말하면 알파벳이 곧 라틴문자지. 그래서 혼란을 방지하고자 라틴어 문장 혹은 표현은 볼드체로 쓸게. 알파벳인데 볼드체가 아닌 문구들은 라틴어가 아니니까 염두해 줘!)

 

 

라틴어 명사


이번 시간엔 라틴어 명사를 소개해볼게.

 

아마 취미로 유럽 언어를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라틴어족 언어인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에는 명사에 성별이라는 게 있어. (물론 게르만족어인 독일어도 성별이 있어. 유럽 언어 중에서 영어만 특이하게 성별이 없어, 참으로 다행이지 않니?)

 

예를 들어 사과(the apple)를 각 나라 말로 하면…
la manzana(스페인어; 여성)
la pomme(프랑스어; 여성)
la mela(이탈리아어; 여성)


왜 사과가 여성인진 모르겠지만… 어쨌든 세 나라 말 모두 사과는 여성이야. (항상 성별이 일치하는 건 아니야. 단어마다 다르더라구.) 어쨌든 이렇게 각 명사별로 성별이 정해져있고, 딱히 규칙이랄 것도 없기 때문에, 많이 보고 익숙해지는 수 밖에 없어.

 

정재형이 불어로 사과의 성별을 묻자, 사과같이 쉬운 단어도 모른다고 노찌롱이 타박하는 장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의 할아버지격 되는 라틴어 역시 명사마다 성별이 있어. 남성, 여성, 그리고 심지어 중성! 예를 들어

 

gladius(글리디우스, 칼; 남성)
aqua(아콰, 물; 여성)
malum(말룸, 사과; 중성)

 

이런 식이야. 대체로 -s로 끝나는 단어는 남성, -a로 끝나는 단어는 여성, -um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중성이긴 하지만... 예외가 사실 엄청 많아. feles(펠레스, 고양이)는 -s로 끝나는데도 여성이고, canis(카니스, 강아지)는 남성으로도 쓰이고 여성으로도 쓰이고 그래.


성별때문에 머리가 아팠겠지만 사실 이건 시작에 불과해. 라틴어 명사는 수와 격이라는 것이 있어.

 

수는 명사가 단수냐 복수냐를 말해. 영어에서는 복수면 -s가 붙지만, 라틴어는 그렇게 간단하게 복수로 변환할 수 없어.


격은 무엇이냐.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우리가 주격, 소유격, 목적격 하던거 기억 나니? I는 주격, my는 소유격, me는 목적격. 이처럼 같은 '나'라는 단어인데도, 사용처에 따라 형태가 바뀌지. 영어같은 경우는 인칭대명사(I, we, you, h/she, they)에만 격변환이 있지만, 라틴어는 아니야. 라틴어는 모든 명사가 격변환을 가져.

 

즉 라틴어 명사는, 단수인지 복수인지, 격이 무엇인지에 따라 총 12개의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소년을 라틴어로 puer(푸에르; 남성)라고 하는데, 각 격 별로 단수/복수 형태로 써볼게. 

 

주격) 소년은/소년이 - puer/pueri
소년은 잠 잔다.

puer dormit (푸에르 도르미트)

소년들은 잠 잔다.

pueri dormiunt (푸에리 도르미운트)

 

속격) 소년의 - pueri/puerorum
소년의 아버지

pater pueri (파테르 푸에리)

소년들의 아버지들

patres puerorum (파트레스 푸에로룸)

 

여격) 소년에게(간접 목적격) - puero/pueris
소녀는 소년에게 꽃을 준다.

puella florem puero dat. (푸엘라 플로렘 푸에로 다트)

소녀들은 소년들에게 꽃들을 준다.

puellae flores pueris dant. (푸엘라이 플로레스 푸에리스 단트)
 

대격) 소년을(직접 목적격) - puerum/pueros
소녀는 소년을 사랑한다.

puella puerum amat. (푸엘라 푸에룸 아마트)

소녀들은 소년들을 사랑한다.

puellae pueros amant. (푸엘라이 푸에로스 아만트)

 

탈격) 소년에 의해(및 여러 전치사) - puero/pueris
소녀는 소년에 의해 길을 안내 받는다.

puella a puero ducitur. (푸엘라 아 푸에로 두키토르)

소녀들은 소년들에 의해 길을 안내 받는다.

puellae a pueris ducuntur. (푸엘라이 아 푸에리스 두쿤토르)

 

호격) 소년이여!/소년아~ - puer/pueri
안녕, 소년!

Salve puer! (살웨 푸에르)

안녕, 소년들!

Salvete pueri! (살웨테 푸에리)

 

라틴어는 총 5개 형태의 명사가 있어. (예컨대 puer는 제 2형태) 그리고 이 형태별로 격변환이 제각기 달라. 그래서 라틴어 문장을 읽을 때 '명사'를 마주하게 되면 바로 격을 파악해야 해. 아래는 혹시나 명사 변환에 관심이 있을 친구를 위해 요약짤을 첨부했어.

 

라틴어 명사들의 형태변환! 각 형태 별로 수/격 변환이 제각기 다르다…!

빨간색은 여성형, 파란색은 남성형, 보라색은 중성형 명사인데, 성별에 따라 같은 형태도 변환이 달라진다!

(Declension은 형태변환, Singular, Plural은 단수, 복수. Nom, Gen, Dat, Acc, Abl은 각각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을 뜻함)

 

 

예를 들어 라틴어 격언 중 하나인 Ne puero gladium이라는 문장을 마주했다 해보자. 라틴어 문장을 해석하는 건 마치 퀴즈를 푸는 거 같아.

 

  1. Ne(네)로 시작하네? 이건 ~하지 마라/~주지 마라 라는 뜻이지?
  2. puero(푸에로), 이건 소년 puer의 변환이군. 수는 단수고, 격은 여격이거나 탈격이겠어.
  3. gladium(글라디움)은 칼 gladius의 변환이군. 수는 단수고 격은 대격이네! 즉, ‘칼을’ 이라고 번역하는게 맞겠어.
  4. 그러면 칼을 주지 마라 라는 뜻이겠네! 옳거니, puero는 그럼 칼을 받는 사람일테니, 여격이어야겠구나!
  5. 그러므로 정확한 번역은 ‘소년에게 칼을 주지 마라!’가 되겠다!

 

어때, 마치 언어로 스도쿠를 풀어가는 느낌이지? 먼저 문장의 각 단어의 품사를 파악하고, 명사는 수와 격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번역해야겠지. 동사는 어떨까? 오늘은 다루지 않았지만, 동사도 그 주어가 단수냐 복수냐, 1인칭이냐 2인칭이냐 3인칭이냐, 과거냐 현재냐 미래냐, 능동태냐 수동태냐 등등에 따라 다~~~~ 형태가 달라!! 사실 명사부터 시작한 이유도, 동사 변환이 훨씬 더 어렵기 때문이지…

 

이렇게 어려운 언어를 도대체 왜 배우냐고? 어렵지만 그만큼 보람도 커. 내가 아는 모든 문법 지식을 총동원해서 2천년전의 로마인들의 문장을 간신히 해독해냈을 때의 그 성취감! 그건 정말 수학과는 다른 또 다른 즐거움이지.


이제 몇 가지 우리에게 익숙한 라틴어 표현들을 소개해볼까 해. 가능하면 명사로만 이루어진 표현들을 가져와봤어. 물론, 라틴어를 어디까지나 취미로 알아보고 싶어서 온 것일테니, 스트레스 받지 않게 각 단어별로 뜻과 격을 적어볼게. 그것에 기반해서 한번 뜻을 다시 해석해볼까?


1. Veritas lux mea
veritas(웨리타스, 진리; 여성. 주격)
lux(럭스, 빛; 여성. 주격)
mea(메아, 나의~; '나'의 속격 meus의 여성형)
직역하자면, 진리 빛 나의. 즉 진리는 나의 빛 이라는 뜻이야. (라틴어는 단어 순서가 좀 자유로운 편이야! 격변환이라는 특성 덕분에, 주어가 문장의 끝에 가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지!)


라틴어에서, 진리는 빛이다, 나는 침착맨이다, 이렇게 A는 B다 꼴의 주어의 정체성을 소개하는 문구는, A와 B 둘 다 주격으로 써야 해.


2. Amor fati
amor(아모르, 사랑; 남성. 주격)
fati(파티, 운명; 남성. 속격)
직역하자면, 사랑 운명의, 즉 운명의 사랑이라는 뜻이 돼.

그런데 이걸 '운명적인 사랑'으로 오해하면 안돼. 이 말은 원래는 니체가 한 말인데,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사랑하라는 뜻이지, 운명적인 사랑을 말하는 것이 아니거든. 그래서 직역하면 운명의 사랑이 맞지만, ‘운명을 사랑하라’라는 번역이 더 직관적인 번역인 것 같아. 혹은 운명애라고 번역하기도 하더라.


3. Et tu, Brute?
et(엣, 그리고; and를 뜻하는 기호 &가 et에서 파생됐어.)
tu(투, 당신; 주격)
Brute(브루테, 브루투스; 호격)
직역하자면, 그리고 너, 브루투스여!

바로 카이사르가 암살당할 때 자신의 심복인 브루투스를 발견하고 외쳤던 '브루투스 너도냐!'지. 사실 이 말은 셰익스피어의 카이사르 연극에서 나온 대사래. 카이사르를 포함해 당대 귀족들은 그리스어를 배우고 썼기 때문에, 이 말로 숨을 거두지는 않았을거라고 하더라구.


4. In vino veritas
In(인, 안에)
vino(위노, 와인; 탈격)
veritas(웨리타스, 진리; 주격)
직역하자면, 와인 안에 진리. 즉, 와인(술) 안에 진리가 있다! 는 뜻이지. 다음에 건배사를 할 때, 이 말을 외쳐보는 건 어떨까?


5. Ad astra per aspera
ad(아드, ~를 향해)
astra(아스트라, 별들; 대격, 중성)
per(페르, ~를 뚫고)
aspera(아스페라, 고난; 대격, 중성)
직역하자면, 별들을 향해, 고난을 뚫고. 즉, 역경을 딛고 별을 향해 라는 뜻이야. 여기서는 전치사 adper가 쓰였는데, 이 둘은 뒤에 오는 명사가 대격이어야 해. (어떤 전치사들은 탈격이나 여격이 와. 역시 전치사별로 달라.)

 

6. Carpe diem!
Carpe(카르페, 잡다; 단수 명령형)
diem(디엠, 날; 대격, 남성) 
직역하자면 날을 잡아라!인데 이렇게 번역하면 너무 싸보이지? ㅎㅎㅎㅎ '이 날을 잡아라' 즉 '지금을 즐겨라'라고 번역하는 게 더 멋있는 것 같아. 사실 이 문구는 호라티우스의 시의 일부인데, 뒷문장까지 합치면 정말 멋있어.

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 (카르페 디엠, 쾀 미니뭄 크레둘라 포스테로)
번역하자면,
오늘을 잡아라, 미래에는 최소한의 신뢰만 남겨두고는.
혹은
지금을 즐겨라, 내일이라는 말에는 믿음을 거두고는.

정도가 괜찮을 것 같아.

 

자 이렇게 라틴어의 명사에 대해서 소개해봤고, 우리가 살면서 들어본 적이 있는 라틴어 문구들의 각 단어들을 하나하나 분석해봤어. 아무쪼록 로마와 라틴어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운 시간과 경험이었길 바라.

댓글
야생의밍키
22.12.14
선 침하하 후 감상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4
선침민수야 고맙다~!
말랑말랑귤껍질
22.12.14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4
시로히게가드브레이커스쿼드
22.12.14
그불스튜디오
22.12.14
인문학...! 구아두가 온다!!
병건건
22.12.14
궤도 lux mea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4
훌륭한 예제! 쓴 보람이 있다!
유관장펄침기
22.12.14
독일어도 성별은 있읍니다!
The → der, die, das
A → ein, eine 같이 말이죠옹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4
앵글로색슨아~ 성별이 없어주어서 고맙다~!
궁금한게있는과린이
22.12.14
라틴어는 모를때 제일 간지나기때문에 일부러 배우지않습니다 아무튼 일부러임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4
quidquid Latine dictum sit altum videtur 라틴어로 말하는 것은 무엇이든 심오하게 보이는 법이다.
아드리안마르티네즈
22.12.14
라틴어는 이거 밖에 모르잔슴~~~
맑은눈의궤도
22.12.14
"로마네스, 그들이 간다, 집이??"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5
ROMANI ITE DOMUM!!
길잃은바이킹
22.12.15
키아아악 라틴어는 멀리서 보아야 아름답네요
이런걸 교양으로 배웠던 근대 학자들은 대체...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그들이 많은 문헌을 현대 언어로 번역해줘서 참 다행이죠. 라틴어를 배우지 않고도 옛 글들을 읽을 수 있게 되어서...
웃지마세요
22.12.16
미국에서 지냈을때 히스페닉 친구가 알려준 욕이 생각나네요 뿌따마드레였나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근데 그건 스페인어잖슴~~~ 스페인어도 취미로 조금 배웠지만, 박사 끝나고 널널해지면 도전해보려고요 ㅎㅎ
웃지마세요
22.12.16
앗 라틴어랑 스페니쉬랑은 다른거군요!!!! 흐미 브끄르브라
@정수론민수
결합하라
22.12.16
예전에 대학 다닐 때 영문과 교수님이 라틴어의 발음은 “라전어”라고 말씀하셨던 적 있는데, 그래서 라틴어가 아니고 라전어라 해야 맞다고 하신 적이 있는데요. 사실인가요?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오 이건 나도 몰랐잖슴~~
경제학민수
22.12.16
Arboribus redeunt crines, et gramina campis,
At capiti frondes non rediere tuo.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이파리도 나무로, 들풀도 땅으로 돌아가건만, 네 빈 머리에 머리카락은 찾을 수가 없구나...
경제학민수
22.12.16
저번에 써주신 문구 기억나서 메모하고 복붙했습니다잉
@정수론민수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다음 석전때 대-대인국 요격 멘트 ㅋㅋㅋㅋ
@경제학민수
짭라오
22.12.16
지식민수야 고맙다!
쌀과자먹는소리
22.12.16
구쭈괌
22.12.16
엄청난 지식!
침착한
22.12.16
너무 어지럽잖슴....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생각해보니, (쓸 일도 없지만) 라틴어로 인사와 자기소개도 안 알랴주고 바로 그냥 명사부터 냅다 꽂았네. 다음에 올릴 형용사편에 자기소개하는 법도 써볼게잉
칵스한사발
22.12.16
츄우욱
22.12.16
굳이 지적할 부분은 아니지만 댓글로 지적해주셨으면 한다고 하셔서
조금 더 완벽한 지식의 글이 되도록 첨언을 드리자면,
알파벳은 음소문자 전체를 포괄하는 단어입니다. 영문자,알파벳(X) → 라틴문자(0) (=로마자, 라틴알파벳)
라틴어족 → 로망스어군, 어족은 아예 의미가 다른 표현이라 옳은 명칭은 로망스어군입니다.
+ 사족인데 고대 영어에도 사실 성별이 있었습니다. 후대에 없어진 거에용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앗, 지적 감사합니다, 군과 족이라는 것이 다른 개념인지 몰랐는데, 완전 틀린 말을 해버렸군요..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츄우욱
22.12.16
매번 지식의 글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수학 하나도 모르는 저한테는 너무 어렵지만 침하하 백개씩 드리고 싶네요 이번 글도 잘 봤습니다!!
@정수론민수
핸드크림눈을감자
22.12.16
라틴어에 관심 많은데 배울 경로가 없어서 포기했는데 너무 유익했습니당!
프러스펜
22.12.16
Latina est gaudium et utilis.
전공에 라틴어 수업이 한 학기나 있는데 졸업하고 한참 지나니 기억에 남는건 매시간 교수님이 세뇌시키시던 이런 짧은 문구네요
간만에 기억이 새록새록 나고 좋습니다
언어민수
22.12.16
반갑지 않을 수 없는 글이네요.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오타 하나만 바로잡자면 (소년들이) 잠잔다는 제4활용 dormiō, dormīre라 dormiunt가 돼야 할 거 같습니다.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언어민수야 반갑다~! 앗, 그렇네요! 예전에 수업 들을 때도 이거 항상 틀렸는데,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른 고쳐야겠어요 ㅎㅎㅎ
언어민수
22.12.16
고맙다, 정수론민수야!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정수론민수
Hello
22.12.16
prima scola alba est 제가 제일 좋아하는 라틴어 구절입니다 ㅎㅎ
정수론민수 글쓴이
22.12.16
오 이거 한동일 교수님 책에서 저도 본 문구예요 ㅋㅋㅋㅋ
찌브째브
22.12.16
라틴댄스의 기초를 알수있는 유익한 글이였습니다
둠둠따
22.12.16
독일어 배우면서 쒸익쒸익 거렸는데 이걸 보고 나니 얌전히 외워야겠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재밌는 이야기 들려줘서 감사하다..!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1153794321-gnh91g6kv0w.jpg
그래서
22.12.16
ㅋㅋㅋ프랑스어 공부중인데 어려워서 울면서 하는데 라틴어 보니까 조용해야겠습지닼ㅋㅋ 동사만 변해도 눈물나는데 명사도 변하다니 ㅋㅌㅋㅋ
감나무
22.12.16
닉네임 지으면 간지나겠네요.
침해요
22.12.16
아닛 라틴어 민수도 하는거야?ㄷㄷㄷㄷ
IMARY
22.12.16
외국어 공부하다가 넘 힘들때마다 라틴어를 보면서 위안삼고 있습니다ㅋㅋ 그나저나 수학전공중에 호기심으로 시작하다니...그 방장에 그 청자인것인가...정상인을 찾아보기 힘들도다...존경합니다 뤼스펰!!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4031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47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74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43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503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700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907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28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86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28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8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38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47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22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70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62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34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32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99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63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