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궤도님 질문 하나 드려도 괜찮겠습니까....

2ey
24.02.13
·
조회 656

궤도님께 질문이 있습니다.

세상에는 사람이 어떻다 하는 주장(?)이 두 가지 있습니다.

우선 하나는 성악설 본래 사람은 악하다는 주장이고

또 다른 하나는 성선설 사람은 본래 날 때부터 선하다는 주장입니다.

저는 성선설을 믿는 쪽이긴 하지만 문득 '성선설'이라는 말 자체가 정의하기가 조금 어렵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착하다', '착한 행동'/'나쁘다', '나쁜 행동'의 정의가 제가 생각하기에는 조금 모호하다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인간을 만든 프로메테우스는 신에게서 불을 훔쳐 인간들에게 가져다주었습니다.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정말 고맙고,약자를 위한 착한 행동이라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만, 어쨌든 '훔쳤다'는 행동자체는 
보통 나쁜 행동으로 보지 않습니까?

이런 생각들이 들다 보니 궤도님이라면 과학적으로 풀이해서 가르쳐주실 수 있을까? 
해서 끄적끄적 긴 글을 적어 봅니다.

'착하다'를 과학적으로 정의할 수 있을 까요??

 

P.S 피자는 그냥 글만 올리면 심심할 것 같아 올립니다. (꾸벅)

댓글
그불스튜디오
24.02.13
저도 비슷하게 생각해요!
'착하다'라는 개념은 시대적, 지리적 배경에 따라 달라지는 관점이라고 생각되네요.
구석기 시대의 착한 사람과 조선 시대의 착한 사람과 지금의 착한 사람의 관점은 다 다를태니?!
언제나 일관적인 법칙이 성립되기 힘든 부분인 거 같아요
나비요뎡
24.02.13
착하다 나쁘다를 누가 정하나요. 바로 사람입니다. 태어났을 때의 본성을 착함과 악함이라는 이분법으로 정하는 것 부터가 적어도 이 의문이 나온 시대에 사람이 자연을 이해하기에는 너무나도 어리석었고 지금도 크게 다르지는 않겠죠. 그럼에도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사람이란 동물은 홀로 살아가기 어렵다는 것이고 이와 같은 특성이 극대화 되어 수십억의 인구가 하나의 나라라는 형태로 집단화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진화론적 측면에서 풀이하자면 사람은 이와 같은 다수가 모여 사는 사회에서 조화되어 살아가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게 됩니다. 남을 공감해주고 도와주고 배푸는 것이 생존에 유리한 반면에 시기하고 반목하고 각종 범죄에 대해 거리낌이 없는 사람일 수록 생존에 불리한 것이죠.
나비요뎡
24.02.13
때문에 착하고 나쁜 것은 사회에 얼마나 융화되고, 도움이 되는지 등이 그 기준이 될 수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미 언급하였듯이 사람의 대부분의 행동 기준이 생존이라 볼 때, 반사회적이지만, 미처 사회적 시스템이 보장해주지 못하는 본인의 생존성을 위한 행동을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이미 생존이 어느정도 보장되거나 개인적으로 그 중요도가 낮은 이에게는 단지 자신의 쾌락같은 별개의 기준이 사회전체의 안정보다 우선할 수도 있겠지요. 이와 같은 행동원리를 따르는 사람의 행동을 악하다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나비요뎡
24.02.13
이렇듯 다소 이분법적으로 생각해보았지만, 실상 우리 개인이 느끼기에는 이와 같은 것이 큰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예를 들어, 사회적으로는 지탄을 받는 사람이 가정에서는 사랑받고 의지가 되는 사람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에게 과연 착하다 나쁘다라는 기준을 올바르게 세울 수 있을까요? 프로메테우스의 예에서 분명 인간(우리)에게 불을 주었으니 인간의 입장에선 착하고 좋은 신이지만, 신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가족의 것을 훔쳐 개인의 기호에 사용한 몹쓸 신이기에 벌을 받은 것이겠지요.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법조차 누군가에게 도움이되는 좋은 법이기도 하지만, 반대급부로 누군가에게는 생계의 위협 또는 이념에 반하는 악법이 되기도 합니다. 과연 좋고 나쁘다는 것이 올바르게 세울 수 있는 기준일까요?
누군가를 대상으로 착하다 나쁘다를 논하기 전에 우리들의 불완전함을 깨닫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나비요뎡
Fortaleza
24.02.14
과학은 가치중립입니다. 도덕적 가치를 과학에서 찾으면 자연주의의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흔히 알려진 "약육강식" 같은 말로 사람들을 몰아붙이는 게 자연주의의 예시입니다.
과학은 사실에 대한 탐구지 가치에 대한 탐구가 아니기 때문에 혼동되었을 때 위험한 사상이 탄생하곤 합니다. 나치의 우생학과 같은 것들이죠.
다만 착하다의 본질과 별개로 인간이 왜 착한 것을 선호하는 지는 진화생물학과 게임이론을 결합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타적인 행동 자체는 이득을 불러오지 않지만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을 "곁에 두는 것"은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무리를 형성하려면 최소한 "착해보여야"합니다. 실제로 착한건지 위선으로 치부할지는 작성자님 본인의 선택입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638
·
24.03.17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08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664
·
24.03.15
몸에 근육세포를 넣는다면? 1
질문
초벌두부
·
조회수 297
·
24.03.13
궤도님! 지구 다이빙 관련 궁금한 거 생김
질문
땅콩샌드
·
조회수 222
·
24.03.11
달과 화성에 사람이 사는 시대가되면 10
질문
따봉바덕아고마워
·
조회수 315
·
24.03.05
보석가게 주인은 얼마를 손해 봤을까? 11
질문
SATELLITE
·
조회수 634
·
24.03.01
방장 방송중 이건 무슨 현상일까요? 8
질문
무늬오징어
·
조회수 769
·
24.02.27
두 배 뜨겁다? 두 배 차갑다? 9
질문
재니스
·
조회수 597
·
24.02.27
영화 매트릭스의 생체전기 발전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3
질문
나비요뎡
·
조회수 389
·
24.02.27
저가요 지금 미적분 배우는 고딩인데요 14
질문
응애세력
·
조회수 641
·
24.02.22
우주에서 금속을 절단하고 다시 붙이면 붙나요? 4
질문
9tocln
·
조회수 821
·
24.02.21
0차원에 대해서 궤도님께 질문이 있어요 4
질문
으이구침착해
·
조회수 654
·
24.02.18
과학적으로 봤을때 거인 존재가능성이 있나요? 6
질문
과학과야스
·
조회수 723
·
24.02.15
무한 원숭이의 혼잣말 6
질문
혹성탈춤
·
조회수 548
·
24.02.15
현재글 궤도님 질문 하나 드려도 괜찮겠습니까.... 5
질문
2ey
·
조회수 656
·
24.02.13
우연히 만난 우주인이 가위바위보를 모른다면 8
질문
2yiqui
·
조회수 527
·
24.02.10
'슬픔, 울음, 눈물'과 관련한 질문들 2
질문
어려워서잘풀겠는데요
·
조회수 339
·
24.02.09
블랙홀 사진 찍는 기법, 더 스케일 크게도 되나요?? 2
질문
잼아저씨
·
조회수 385
·
24.02.08
ATP관련 질문 10
질문
궤도라는궤물
·
조회수 632
·
24.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