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논문 초고 완성

저가요 이번 학기에 졸업하걸랑요?
그래서 4월 중순에 이제 디펜스, 즉 박사심사를 치르기로 지도교수랑 상의했습니다.
다른 학과도 아마 비슷하리라 예상하는데, 디펜스를 치르려면 해당 분야의 박사 소지자들 4~5명이 모여서 위원회를 꾸리는데요.
디펜스의 내용이 모두 담긴 박사 논문(Thesis)을 최소 한달 전에 위원회 분들께 보내야 됩니다.
그래야 그 분들이 먼저 내용을 읽어보시고, 그걸 토대로 디펜스를 하고, 질의응답을 받고, 박사 졸업 여부가 결정되거든요.
그래서 저도 늦어도 3월 중순까지 Thesis 최종본을 마쳐야 합니다.
그래도 다행히 12월~1월에 빡세게 써서, 그저께 겨우 Thesis 초고가 완성됐네요.
제목은 ‘타원곡선으로 정의되는 다양한 성질의 소수들의 등차수열 상의 분포에 관하여' 정도가 되겠군요.
수학과의 경우 Thesis가 짧게는 100페이지, 많게는 200페이지 정도 나오는데, 저는 160페이지가 나왔네요. 논문 3개분의 연구 + 제 전체 연구 분야를 아우르는 소개파트를 쓰다보니 꽤 길어지게 된 것 같습니다.
원래는 지금 진행중인 4번재 연구 내용도 박사논문에 넣을까 했는데, 시간상 무리일 것 같아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ㅎㅎㅎ 아직 진행중이 연구인데다가, 분야도 조금 다르고, 무엇보다 발표하기엔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아서 말입니다.
혹여나 박사 논문을 앞두고 계시다면, 가능한 모든 아이디어들을 시간나실 때마다 미리미리 글로 정리하세요. 머릿속에 있는 것을 실제로 끄집어내서 글로 쓰는 것이 얼마나 귀찮고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일인지 뼈저리게 느끼실 겁니다 ㅎㅎㅎㅎ
이제 해야하는것은…
- 당연한 말이지만 문법/오탈자 검사가 필요하겠쥬.
- 인용논문 크로스 체크도 필요합니다. 올바른 논문을 인용했는가, 페이지 번호, 소정리/정리 넘버링 등 정확히 인용했는가 확인해야하고
- 논문 내에서 나온 모든 방정식/수식들이 올바르게 인덱스가 매겨졌는가도 확인해야 합니다. 예컨데 논문 중에 방정식 4번을 언급했다면, 그것이 올바른 방정식인지, 아니면 혹시 방정식 5번인데 잘못 인용하진 않았는지 같은 것을 확인해야합니다.
- 당연한 이야기지만, 모든 증명도 꼼꼼히 살펴보고 오류가 없나 확인해야겠죠.
- 표기법이 일치하는가도 확인해야 합니다. 챕터 2에서 x라고 정의한 값이 챕터 3에서도 제대로 x라고 정의되어있는지 등을 확인해야합니다.
- 혹시 정의가 안된 표기법이나 개념등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대학원 친구들 모두모두 화이팅
안대학원 친구들도 모두모두 화이팅
대학 다니실 때 너무 죄 많이 지어 대학원 오시는 우를 범하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