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새와 관련된 관용어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23.12.01
·
조회 328
낮 말은 새 , 밤 말은 쥐가 듣는다
쥐도새도 모르게 처리한다.
쥐뿔도 모른다
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
쥐가 손톱을 먹으면 사람으로 변한다
새가 아이를 물어다 준다.
어.. 지금 대충 생각나는 것만 해도 벌써 이 정도나 되는데,
한국의 관용어가 유독 새랑 쥐한테 관련된게 정말 많은데 왜 그런건가요??
댓글
휴즈룬
23.12.01
옛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부였을 테니, 곡식을 쪼아먹고, 갉아먹는 새나 쥐가 주변에서 흔히 보여서 그랬던거 아닐까요?
시카고노동자
23.12.01
새는 사실 지금 도심에서도 엄청 자주 볼 수 있게 흔하고
쥐는 지금이야 적지만 50년 전까지만 해도 모두의 동거 생물이었을테니까요
또 엄청 자주 등장하는 동물이 개나 호랑이 같은것 보면 뭐 흔한 동물일 수 밖에 없어 보이죠
샤란타
23.12.01
그런데 생각해보면 호랑이는 호랑이굴에 들어가도 살수 있다 빼면 없고, 개랑 관련된 관용어도 없지 않나요..? 쥐랑새가 엄청 자주 보여서면은.. 소가 단연 1등공신 이어야 하는데..??
시카고노동자
23.12.01
저는 개가 훨씬 많은것 같은데요
똥묻은 개 겨묻은 개
개똥도 약
지나가던 개가 웃는다
개 풀 뜯어먹는
닭쫓던 개 등등
호랑이는 사실 실제 자주 보는 동물은 아니었겠지만 워낙 사건의 임팩트가 강하니 설화마다 등장하는 거겠죠
@샤란타
샤란타
23.12.02
헐 그렇네요..!! 대박..
@시카고노동자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소한 질문 될까요?
4
사람의 심장은 불수의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7
저가요 방금 총 맞아 죽는 꿈을 꾸었습니다
2
말머리 성운에 대한 질문
1
뇌의 크기
2
현재글
쥐, 새와 관련된 관용어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5
질문) 분자보다 작은 물질은 온도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나요?
6
외계인의 형태
2
궤도님 질문있습니다.
등산하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2
머리 감다가 궁금해졌어요
4
왜 물은 불에 타지 않는 걸까요?
4
보이저 1호는 어떻게 충돌하지 않고 날아가는건가요?
3
아주 작은 도미노로 큰 도미노를 쓰러뜨릴 수 있을까요?
4
고생물잘알 계십니까
3
뇌 연구는 어떻개 하나요?
2
식품알르레기 관련 질문
2
궤도님 노래 해석 추천합니다>< (space/nct)
2
카르마 (karma) 업보란 진짜 있을까요?
4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다른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