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거미가 음전하를 이용해서 하늘을 난다고요? (+질문 한 개 더)

o4mcvv
23.07.28
·
조회 670

방금 유튜브 슈카월드 채널에 올라온 영상을 보다가 질문드립니다. 

 

이 질문 하려고 침하하 가입도 하고 처음 글을 올려보네요.

 

이 영상을 보면 거미가 거미줄을 패러글라이더처럼 활용해서 하늘을 날아다니는데

 

이륙(!)할 때 다리가 음전하로 대전되어 땅의 음전하와 서로 밀어내면서 추진력을 얻는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슈카님은 궤도님처럼 출처(이 실험을 언제 누가 했다 등등)를 자세하게 말씀해주시지는 않아서

 

이런 내용을 궤도님이 교차검증 해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당 유튜브 링크도 올려드릴게요!

 

https://www.youtube.com/watch?v=iVRSsmEeXDo

 

 

추가.

 

이건 다른 질문인데요, 가시광선과 색 관련한 질문입니다.

 

물체의 색깔 이라는 것은 결국 그 물체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인간의 눈으로 보는 것이잖아요? (그래서 ‘가시광선’ 이기도 하고요)

 

만약 사람의 눈이 가시광선이 아니라 적외선이나 엑스선을 보았다면 물체의 색깔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달라졌겠지요.

 

뜨거우면 붉은색, 엑스선을 반사해내면 하얀색(?), 이런식이지 않았을까요?

 

그렇다면, 이게 진짜 질문인데요.

 

그 물체가 반사하는 가시광선이 무엇이냐와는 별개로 그 물체 자체의 진정한 색깔은 따로 있다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단지 우리들 인간은 그걸 알아낼 수 있는 감각기관이 없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나 장비도 아직은 없는 것이구요.

 

 

 

또 또 추가. (이건 질문은 아니지만…)

 

블랙홀 강의를 보다가 떠오른 잡설.

 

블랙홀은 마치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검은 구멍 같은 이미지가 있고,

 

그 안은 마치 도라에몽의 주머니(..)처럼 끝이 없는 공간이며 그 안으로 빨려들어가면 나중에 화이트홀로 나올지도 모른다… 라는 인식이 있는데…

 

엄청 큰 별이 블랙홀이 된 것이고 어마어마한 중력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 중심에는 어마어마한 질량 덩어리(마치 별 같은. 하지만 중력때문에 엄청 고밀도로 무지막지하게 압축되었을수도)가 있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블랙홀은 사실 구멍이 아니라, 블랙 스타에 더 가깝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빛을 내는 별이 아닌, 빛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별. 불이 꺼진 별이네요.

 

뭐 그 안에서는 아직도 빛을 내고 있을지도? 빛이 빠져나오지는 못하지만요.

댓글
덱시부프로펜
23.07.28
진정한 색깔이라는게 존재할 수 있을까요? 색깔이라는거 자체가 반사된 빛중에서 특정파장만 시신경에서 자극 되고 이 신호가 뇌에서 해석되어 인간이 색이 있다고 인지하고 있을 뿐인대요.
심지어 같은 빛이라도 사람마다 시신경세포가 자극되는 정도가 다르기도 하고 같은 자극이라도 개인의 경험이나 주변상황에 따라 뇌에서 다른 해석을 내리기도 하고요.
감각기관에 의존하지 않는 성질이라면 물질을 이루고 있는 원자의 개수 밖에 떠오르지 않는데 이걸로 색을 정할 수는 없지 않을까 합니다
블랙홀 궤도님편 보시면 강의 시작하면서 블랙홀은 사실 black도 아니고 hole도 아니다 라면서 침착맨님에게 설명하시는 부분이 나옵니다
Ornithopter
23.07.29
색깔은 전자기파의 진동수에 대한 반사, 흡수, 투과율에서 결정되죠. 넓은 범위에서 좁은 간격으로 이 측정값들을 제시할 수 있다면 진정한 색을 더 찾을 필욘 없다고 생각합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시간은 왜 상대적인가요? 12
궤도
마이클스캇
·
조회수 882
·
23.07.29
arXiv(아카이브)란 무엇인가? 8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1930
·
23.07.29
사랑의 성별 차이부터 위험한 파트너의 특징까지 | 진화심리학자가 들려주는 남녀의 심리
궤도
꿈마루황상하
·
조회수 624
·
23.07.28
드디어 떴다 5
궤도
PTA0828
·
조회수 1261
·
23.07.28
초전도체로 거하게 주접떨던 어느 디씨인 2
궤도
라노llano
·
조회수 1585
·
23.07.28
현재글 거미가 음전하를 이용해서 하늘을 난다고요? (+질문 한 개 더) 4
질문
o4mcvv
·
조회수 670
·
23.07.28
예전에 한 10년 전에 단극자석 관련해서 3
궤도
닥터프레드릭쇼팽
·
조회수 691
·
23.07.28
궤도님 마렵더니 1
궤도
누군가는해야하니까
·
조회수 671
·
23.07.28
모노폴이어도 대단한 발견은 맞음 7
생중계
Infinity
·
조회수 1689
·
23.07.28
초전도체 개같이 부활 ㅋㅋㅋ 5
궤도
좌절하지않는조홍
·
조회수 2026
·
23.07.28
초전도체 끝났나요? 8
궤도
좌절하지않는조홍
·
조회수 1649
·
23.07.28
초전도체 귀신이라면 지평좌표에 고정 가능하죠? 2
궤도
앜어맨
·
조회수 847
·
23.07.28
결론 - 초전도체의 과학 특집 기원 3
궤도
다이바나나
·
조회수 1209
·
23.07.28
한 과학자가 초전도체 제작 생중계중 6
궤도
서망고
·
조회수 1637
·
23.07.28
지금 논문이 호들갑의 핵심이 아녜요 1
궤도
앜어맨
·
조회수 1317
·
23.07.28
만약 영상의 그게 초전도체가 아니라면 1
궤도
다이바나나
·
조회수 1046
·
23.07.28
초전도체 논문 내용 이해한 대로 끄적여봅니다.
궤도
QuasiStone
·
조회수 1044
·
23.07.28
상온초전도체 호들갑일까 진짜일까 6
궤도
칼리사르
·
조회수 1443
·
23.07.28
초전도체 성공하면 지구온난화 해결가능? 1
궤도
전장6000점
·
조회수 719
·
23.07.28
초전도체 논란 가능한 경우의 수는 3가지라 생각합니다. 3
궤도
다이바나나
·
조회수 1119
·
2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