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궤도님 항생제내성과 박테리아의 진화에 관해 여쭙고 싶습니다.

침핡핡
23.07.04
·
조회 461

보통 항생제내성이 생겨서 

약이 잘 듣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이 말인 즉슨, 병원균(균, 바이러스) 들이 진화를 하고 있는것인가요?  음…항생제로부터 버틴 균이나 바이러스들이 증식을 해서 그만큼 신 항생제 개발보다 빠르다고 하는것일까요?

 

그러면 바이러스? 라고 하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단계인

이녀석도 사람, 동물처럼 각각이 다른 아이라고 봐야 하는 것일까요?? 궁금하네요…

 

추가로 

요즘 책을 읽으면서 다시금 용어에 대한 개념이나 

들어보지못했던 두 녀석들이 있는데 

이 두 녀석들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하나는 광우병의 원인이었던 ‘프리온’이라는 놈이고

하나는 RNA 가닥 만을 가지고 있는 ‘바이로이드’라는 놈입니다.

 

궤도님의 설명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뢴트겐
23.07.04
밑에분이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지만,
진화와 변이이대한 정의를 다시 찾아보시면 항생제 내성에대한 내용을 더 알기쉬우실것 같습니다
시카고노동자
23.07.04
바이러스와 세균부터 구분해야 합니다
항생제는 세균 (원핵생물) 에게 선택적으로 독성이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보통 진핵생물(동물 식물 버섯)에는 없는 독특한 세포벽 구조를 파괴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세균도 생물이므로 일종의 방어 기제가 작동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특정 물질을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단백질을 만들어 냅니다. 세균은 완전한 물질 대사와 생식을 하는 (단성 생식이지만) 생물이고 내성이 생기는 과정은 인간의 진화와 본질적으로는 동일합니다.
시카고노동자
23.07.04
바이러스는 전혀 다른 생물/생체 분자 로 특정한 유전자를 포함한 핵산과 그를 둘러싼 단뱍질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저첨 세포막이 있는 경우도 있음)
자가 복제 능력이 없고 생물의 세포에 침투해야 하는데 이때 생물의 세포를 침투하기 위한 특정한 모양의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보통은 그 특정 모양에 맞는 단백질이 작동 못하게 하는 약이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때문에 단백질 모양이 조금만 바뀌어도 치료약이 듣지 않는 변이가 될 수 있습니다.
rgmq19
23.07.05
출근 준비하는 의사 입니다.
변이 획득과 진화에 관한 글은 제 지난 글을 봐주세요.
그리고 항생제 저항에 의해 특정 변이를 가진 세균들이 진화적으로 선택되는 건 병원에서도 꽤나 관찰 가능합니다.
항생제 저항 균이나 항암제 저항 암세포나 그 진화 기전은 일반적인 생명체의 진화 기전과 유사합니다,
가령 황색포도알균 (S.aureus)의 경우 MSSA -> MRSA -> VRSA 라는 진화 궤적이 교과서 수준에서 잘 다뤄집니다.
(미드 하우스MD 보면 맨날 멀싸 체크해봐 이러는데 멀싸가 MRSA)
Enterococcus라는 균도 VRE, CRE 라는 형태의 항생제 내성균 잘 알려져있구요.
개인적으로 VRSA, CRE 급의 무서운 내성 균은 병원 생활 중 본 적은 없습니다.
rgmq19
23.07.05
바이러스 이야기는 질문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바이러스 자체가 다양한 종이 있냐 물으시면, 생명체들의 분류학처럼 바이러스도 분류학적으로 분류됩니다.
이중DNA, 단일DNA, 이중RNA, 단일RNA 등 다양한 분류가 있고, 그 아래에도 나름 분류체계가 있습니다.
바이로이드는 병원성 RNA이고, 행동 양상은 RNA 바이러스에서 단백질구조물이 없는 형태랑 대충 비슷하다 보면됩니다. 식물 하시는 분이 많이 연구합니다. 프리온, 바이로이드는 나무위키도 괜찮게 잘 정리돼있습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궤도님 베텔게우스 에 대해 방송해주세요. 2
궤도
ou85fi
·
조회수 413
·
23.07.04
궤도형 부 럽 다! 2
궤도
좌절하지않는조홍
·
조회수 786
·
23.07.04
현재글 궤도님 항생제내성과 박테리아의 진화에 관해 여쭙고 싶습니다. 5
궤도
침핡핡
·
조회수 461
·
23.07.04
궤도님 제 뇌가 이상합니다 5
질문
NewJeans
·
조회수 855
·
23.07.04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합니다 1
궤도
난들너를알겠느냐
·
조회수 612
·
23.07.04
제타함수 짤 파헤쳐보기 4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841
·
23.07.04
수학과가 들려주는 수학이야기: 초월수란 무엇일까? 5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1088
·
23.07.04
나이 먹으면 시간이 빠르게 흘러간다고 느끼는 이유 수학적 설명 3
궤도
koinwniva
·
조회수 752
·
23.07.04
엔트로피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해주는 영상 3
궤도
침착한중년
·
조회수 547
·
23.07.03
궤도님 허니콤보 킬러시잖아요 1
궤도
짱갈래종수짱
·
조회수 673
·
23.07.03
궤도님 엔셀라두스 굿즈 만들어주세용!
궤도
79k9jf
·
조회수 413
·
23.07.03
섬 거대화 현상에 대해 아시나요? 3
궤도
단추에요
·
조회수 644
·
23.07.03
색깔의 인식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4
궤도
매실보리차
·
조회수 466
·
23.07.03
이왜맛X궤도님 업로드!!! 2
궤도
차도르자브종수
·
조회수 785
·
23.07.03
공룡이 조류인게 최근 정설이잖아요? 1
궤도
짱갈래종수짱
·
조회수 667
·
23.07.03
20년치 연구가 날라가면 어떨까요..... 5
정보
안산식이름
·
조회수 815
·
23.07.03
나이먹으면 시간이 빨리가게느껴디는이유가 궁금해요! 6
궤도
율량꼴량
·
조회수 631
·
23.07.03
이거 어느분 게시물이었죠! 2
궤도
침낙수나문
·
조회수 719
·
23.07.03
갑자기 궁금한건데 동물간에는 근친이 가능한가요? 4
궤도
성태성장판성장중
·
조회수 1008
·
23.07.02
궤 선생님 지금 제네바시군요…? 3
궤도
샹폴리옹
·
조회수 834
·
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