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체렌코프 현상?

졸린걸어떡해
23.06.29
·
조회 554

저가요..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체렌코프 현상이라는 영상을 봤는데요

설명에서는 원자로에서 전기가 빛의 위상 속도보다 빠를때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되어있었고, 특수상대성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고 되어있더라고요(잘못 이해했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상대성 이론이 맞는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이 세상은 시뮬레이션이라고 결론을 내렸는데

그러면 이게 관찰자에게 빛보다 전기가 먼저 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이게 왜 시뮬레이션 우주의 증거가 된다는건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댓글
ABCJ
23.06.29
그분이 이 세상은 시뮬레이션이라고 결론을 내리는 과정이 궁금하네요..
영상 주소 알 수 있을까욥
졸린걸어떡해 글쓴이
23.06.29
해당 현상에 대한 쇼츠 영상이라 그분의 설명이 들어간 댓글만 복사해서 가져왔습니다
"""
빛이 먼저 존재할 수 는 없습니다. 빛은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빛이 아는 것입니다. 그러나 전기적 소닉붐은 빛의 속도보다 빠른데도 빛을 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우리가 사는 곳은 고차원적인 어떤 지적존재에 의해 프로그래밍되어 진 공간일 수도 있습니다. 물리학적으로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지만, 수학처럼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지만. 다 가짜라는 것이지요. 빛의 속도라는 것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고 어떤 속도로 움직이던간에 사람눈에 보여질 수 있도록 설계된 시뮬레이션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지면 cern 에서도 쿼크 입자의 속다가 수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을 증명한 적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10초에 도착해야할 쿼크 입자가 9초속도로 움직이는데 이상하게 모니터에는 10초로 정확히 찍히는 충격적인 현상이죠. 그러니까 뭐든 사람 눈에 그럴싸하게 보이게 결과가 만들어진 다는 것입니다. cern 과학자 중 일부도 이 세상이 아무레도 시뮬레이션같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
ABCJ
23.06.29
"빛이 먼저 존재할 수 는 없습니다. 빛은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빛이 아는 것입니다. 그러나 전기적 소닉붐은 빛의 속도보다 빠른데도 빛을 냅니다."
상당히... 이상한 문장이네욥.
빛이 먼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고, 빛이 반응이라는 점은 더더욱 모르겠네요.
빛은 광자로 구성된 전자기파로 진공에선 C(=299,792,458 m/s)의 속력으로 이동합니다.
전기적 소닉붐이라 표현된 체렌코프 현상은 이 빛의 속력(C)을 뛰어넘은 것이 아닙니다.
빛의 위상속도, 즉 빛이 진공이 아닌 매질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뛰어넘은 것입니다.
@졸린걸어떡해
ABCJ
23.06.29
예를 들어 물속에서의 빛 전파 속도는 0.75C에 불과합니다.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진 하전 입자(Ex. 전자)가 이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고, 그런 하전 입자가 유전체 매질을 통과할 때 전자기파(빛)를 방출하는 효과를 체렌코프 효과라고 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장애물이 가득한 곳을 통과하며 느려진 빛의 속력을 막대한 에너지의 힘으로 뛰어넘은 것 뿐이지, 풀컨디션의 빛의 속력을 이긴 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빛을 내는 것이 이상하다?는 것은 전혀 반대죠.
고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은 열과 전자기파 등의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정말 단순하고 당연해보이는 물리 현상인데 이걸로 시뮬레이션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은 부적절해 보이네용.
@졸린걸어떡해
ABCJ
23.06.29
추가로 cern 에서도 쿼크 입자의 속도가 수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을 증명한 적이 있다고 하는데 아직 찾아본 적이 없어서 지금은 반론을 못 드리겠네욥
@졸린걸어떡해
졸린걸어떡해 글쓴이
23.06.29
오 그러니까 빛의 전파속도는 느리게 만들고 입자한테 그 속도보다 빨라질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주면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빛이 나는거군요! 말씀 듣고보니 시뮬레이션이랑은 별 상관 없는거같네요. 감사합니다!
@ABCJ
뽁뽁이아저씨
23.07.01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보다 빠를순 없다 인데 그냥 빛의 속도보다 빠를순 없다는 식으로 논리를 펼치면서 발생하는 오류인듯 합니다. 체렌코브 방사는 현실에서도 충분히 가능하고 아주 잘 알려진 현상입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우리가 서로 같은 색을 본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13
질문
koinwniva
·
조회수 898
·
23.06.30
현재글 체렌코프 현상? 7
질문
졸린걸어떡해
·
조회수 554
·
23.06.29
궤도님! 문돌이 질문 하나 드려도 될까욥?! 30
질문
우주문돌
·
조회수 975
·
23.06.28
지구 자전의 반대로 돌면 계속 밤에만 살수있나요? 15
질문
탈모재난문자
·
조회수 1137
·
23.06.28
다른 분이 한말이긴 한데 궁금하해서요! 5
질문
깨비말아줘잉
·
조회수 826
·
23.06.25
한반도가 여름일 때 남아공운 겨울 이잖아요? 4
질문
병건이의경쟁자
·
조회수 610
·
23.06.25
우리 뇌하고 뉴런에 대해서 궁금한데요 3
질문
고등어가오천언
·
조회수 501
·
23.06.25
안녕하세여 태양 관련해서 찾아보다가 문득 궁금해진거 질문해봐요! 5
질문
국힙원탑아이유
·
조회수 642
·
23.06.24
과학 고수님들 임산부들이 하는 '태교'도 과학적인건가요?? 19
질문
뽀그륵
·
조회수 1012
·
23.06.23
궤도님 침착맨방송에언제나오시나요? 5
질문
김상욱
·
조회수 973
·
23.06.23
이거 혹시 저만 봤나요? 16
질문
러블리즈
·
조회수 906
·
23.06.23
냄새는 왜 쿨타임이 있나요 2
질문
그거시기알고싶다
·
조회수 659
·
23.06.23
엔켈라두스 질문 3
질문
질문하려고가입
·
조회수 471
·
23.06.23
해산물 사재기 때문에 6
질문
우와와앙
·
조회수 812
·
23.06.20
빛의 경로? 3
질문
ㅇㅅㅇ0319
·
조회수 637
·
23.06.19
질문 있습니다. 좀 진지함. 궤도민수님께서 꼭 좀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7
질문
햄스터
·
조회수 856
·
23.06.18
나무 때 2
질문
nklfjf
·
조회수 416
·
23.06.18
[질문] “여자의 촉” 혹은 그냥 “촉” 이란게 과학적 근거가 있나요? 11
질문
펄요일조와
·
조회수 1095
·
23.06.17
책 카오스를 읽고 5
질문
성규용
·
조회수 658
·
23.06.15
동물들도 자기가 쓰다듬 당하는걸 좋아할까요? 5
질문
한화이글스
·
조회수 1006
·
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