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진화론 관련 '맛' 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빠끄침스
23.06.14
·
조회 538

안녕하세요 맛에 관련된 질문드립니다.

 

최근에 밥먹다가 갑자기 생각났는데

무언가를 먹었을때 맛있다고 느끼는게 있고

그렇지 않은게 있는데 

왜 특정 음식에만 맛있다는 느낌이 드는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예를들면 잘익은 수박은 한입 베어물면 상당히 맛있는데

시금치는 먹으면 왜 수박같은 느낌이 안나고 맛없게(개인의견입니다)

느껴지는지 그런것입니다.

주변 사람들에게 스몰토크로 물어본 결과

“달달하니까 맛있는거지” 

“수박은 달고 시금치는 안그러니까”

“맛있으니까 맛있는거지”

“시금치 맛있는데??” 라는 답변들을 들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단건 맛있고 쓴건 맛없다 라는 통념적인것이 아니라

왜 특정한 맛에대해서만 맛있다고 느끼는지..

즉 달달한 음식은 왜 맛있다고 느끼는지 입니다.

 

그래서 짧은지식으로 고민해본 결과..

아주 먼 옛날 인간이 한창 진화 하던시기에..

누군가는 단것을 좋아하고 누군가는 싫어하지 않았을까..

그런데 단것은 그렇지 않은것에 비해 열량이 높으니

상대적으로 생존에 유리하여 그런 기호를 가진 개체들만 생존하여

지금의 ‘맛’ 이란것은 결국 생존한 개체들의 기호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즉 단것을 떠나서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고

인체유지에 도움이되는 음식에 대해서

기호를 가진 개체들이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고

그런 개체들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생존하였고

그런 음식들이 대체로 달거나 짠 음식이 많으므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단짠을 좋아하는건

애초에 그런것만 좋아하는 인간이 생존하여 그런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슷한 이치로 쓰거나 우리가 맛없다고 느끼는 음식은 신체에 안좋은 것들이 많으니 생존에 유리하지 않고 그런 개체들은 도태되고 살아남은 개체는 결국 현생인류처럼 단걸 좋아하고 쓴걸 싫어하는 기호를 가진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게 맞을까요?

 

물론 현대에는 많은 향신료와 조미료가 발달했고

사람들의 기호도 가지각색이라 단걸 싫어하는 사람도 쓴걸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사람이 맛있다고 느끼는건 비슷하니 과연 그것이 어디로부터 왔나.. 하는것이 의문입니다.

 

그리고 만약 제가 생각한게 맞다면

애초에 특정한 맛에 기호를 가지는것은 어떻게 결정되는 걸까요?

맛에 대한 기호를 결정하는 유전적 형질이라던지 어떤 무언가가 있을까요?

두서없이 쓴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와 관련된 영상이나 정보라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히라테유리나
23.06.14
말씀하신게 맞을걸요. 저런 내용의 유튜브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인간은 원래 단맛과 짠맛을 좋아하는거라고 짠맛은 당연히 염분 때문이고 단맛은 더 높은 열량을 얻을수있어서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란거죠.
벨루면벨루가
23.06.14
제가 알기로도 윗분 말씀이 맞고 첨언하자면 삼겹살! 참치! 같은 지방이 맛있는 이유도 단위질량당 칼로리가 높아서라더군요
그불스튜디오
23.06.15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맛들이 다 생존에 도움이 되었기에 느끼게 되었다고 어디서 들은 거 같아요!
말씀하신 것처럼 에너지로 전환되기 가장 쉬운 탄수화물= 단맛
몸의 각종 구성요소를 만드는 데 필요한 단백질, 지방? = 감칠맛
입에 넣은 게 독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용 = 쓴맛
염분 섭취 = 짠 맛
먹는 게 상했는지 안 상했는 지 판단용 = 신맛
등등!
정확하진 않은데 뭔가 요런 느낌으로 우리 몸에 들어오는 화학 검문소 역활로 맛을 느낀 개체들이 살아남았고 아닌 개체들은 다 도태된 거 아닐까 싶어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현재글 진화론 관련 '맛' 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3
질문
빠끄침스
·
조회수 538
·
23.06.14
6개 정도 질문이 있습니다. 6
질문
쿼리어스
·
조회수 703
·
23.06.13
아 늙기 싫다 3
질문
벚꽃비
·
조회수 713
·
23.06.13
이거 실제로 가능한가요? 4
질문
겨털참치덮밥
·
조회수 650
·
23.06.12
의미없고 어이없는질문일 수 있습니다.. 7
질문
Hwany
·
조회수 705
·
23.06.11
이중슬릿 사고실험 좀 알려줘요 6
질문
뇌팔렘
·
조회수 645
·
23.06.10
동물의 정액에도 3억마리가 있나요? 1
질문
안산식이름
·
조회수 538
·
23.06.10
허수시간이란 무엇인가요? 7
질문
정사민수
·
조회수 1207
·
23.06.08
궤도님! 순간이동에 대해 궁금합니다 2
질문
두와트
·
조회수 574
·
23.06.08
일본 알프스에 대해
질문
도궤쿤
·
조회수 500
·
23.06.06
생명과학 잘 아시는 분께 질문드립니다. 4
질문
모어모어쌍쌍
·
조회수 596
·
23.06.05
문득 유튜브보다가 궁금해서요 5
질문
ox232
·
조회수 729
·
23.06.04
개미 vs 물고기 논쟁 9
질문
삼전개미
·
조회수 693
·
23.06.02
화학 잘하시는 분들 질문드립니다. 4
질문
rlvlf
·
조회수 584
·
23.05.31
원시인들도 조개를 먹을때 해감을 했을까요? 3
질문
계피분말
·
조회수 551
·
23.05.30
시간을 멈추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질문
이말이
·
조회수 544
·
23.05.30
머리카락이 어쩜 이렇게 수평으로 자랄 수 있는거죠? 33
질문
독일맨
·
조회수 8568
·
23.05.30
우주에서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사용불가능한게 맞나요? 4
질문
안산식이름
·
조회수 549
·
23.05.28
장거리 우주여행을 위한 수면 연구가 궁금합니다. 6
질문
불사의북북노인
·
조회수 522
·
23.05.28
우주에서도 추위를 느끼나요? 6
질문
si7slc
·
조회수 750
·
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