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OOO는 유전인가요?” 에 대한 현대적인 답변

rgmq19
22.12.02
·
조회 6642

 

키는 유전인가요?

지능은 모계유전인가요?

탈모는 격세 유전인가요?

 

ADHD는 유전인가요?

신장암은 유전인가요?

 

등등..

 

너무나 유전에 대해 설왕설래가 많아서 (특히 안좋은 쪽으로),

핵심 개념인 “유전율 (heritability)”을

짚고 넘어가고 싶습니다.

 

의치약수, 생물학 종사하시는 분들이 

모두 사용하시는 포탈에서 

한 선생님께서 쓰신 기고문을 발췌하여 갈음합니다.

 

(쉽게 쓰인 글인 만큼 한번쯤 숙독을 권장합니다.)

 

 

전체링크: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33382

 

 

유전율의 초기 개념을 발전시킨 사람 중 한명은

현대 통계학의 아버지이자 

수리통계학, 머신러닝 교과서에 1억번 등장하는

킹갓엠퍼러 로널드 피셔 경 입니다.

통계학에서 “거의 모든 것의 신” 같은 존재..

 

인공지능, 데이터과학 하시는 분들도

진짜 아마 한번 쯤은 들어보셨을 그 이름..

 

 

아무튼, 일단 키, 당뇨발병, 자폐증 같은 복잡한 형질은

관여하는 DNA 상 위치가 수백~수천 곳이 넘습니다.

애초에 몇 개 유전자 만의 다양성으로 좌지우지되는 형질이 아닙니다.

 

위 기고문을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키와 같은 복잡한 형질의 다양성이

DNA 다양성에 의해 설명되는 분율 ( 유전율),

이것이야 말로, 대강 “OOO는 유전인가요?”에 대한

가장 현대적인 답변입니다.

 

정확하게는 

 

최신의 메타분석 결과 OOO는 

약 ~45%의 유전율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게 가장 적절한 표현입니다.

 

총 유전율을 추정하긴 어렵습니다.

다른 변인을 최대한 통제하기 위해

일란성 (100% 서열 공유) / 이란성 (~50% 서열 공유) 쌍둥이 

를 추적관찰하여, 쌍둥이간 형질 일치성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이 굉장히 전통적입니다만 (Falconer의 유전율),
시간도 오래걸리고 대규모 연구도 어렵습니다.

 

DNA 서열이 서로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에서

유독” 특정 형질이 공유되는 비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이 높겠지요?

 

(MZ: 일란성 쌍둥이, DZ: 이란성 쌍둥이. 

형질이 일란성에서 더 일치하고, 이란성에서 덜 일치할수록,

즉, 그 간극이 더 클수록 유전율이 높습니다.

그림에선 왼쪽 위로 착 붙을수록 높겠지요.)

 

 

 

 

 

 

 

 

기고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유전율은 대개

“총 유전율", “좁은 의미의 유전율”, “SNP 유전율”

등으로 나뉩니다.

 

(SNP 유전율 좁은 의미의 유전율 총 유전율)의

 

포함관계를 갖는 지표 중,

대규모 게놈 분석을 통해 측정한 

SNP 유전율”이란 것을 대신 자주 씁니다.

 

 

 

 

UK 바이오뱅크라고,

영국에서 아주 대규모로 사람들의

게놈데이터와 각종 형질 및 계측데이터

수집해놓은 자료가 있습니다.

 

영어가 되시는 분들은 

직접 하버드 연구팀 브라우저 가시면

얘네들이 가장 최신 방법으로 

 

UK 바이오뱅크 분석한 

SNP 유전율의 결과물이 있으니,

 

원하시는 복합 형질이 

얼마나 유전적인지 대강 검색가능합니다..

 

“우연에 따른“ 과대 혹은 과소 추정을 방지하기 위해

 

이런 대규모 게놈 분석 연구는 보통

여러 독립적인 집단에서 2차 3차 재검증을 합니다.

https://nealelab.github.io/UKBB_ldsc/h2_browser.html

 

대충 h2 sig가 (z7 or z4)인지 확인하고

h2 값을 읽으시면 해당 형질의 SNP 유전율 확인 가능합니다.

 

가령 키 (standing height)는 상당히 significant 하고 (z7),

SNP 유전율이 ~48.5%로 추정되네요.

 

 

 

 

 

 

자 이제 실전 예시입니다.

ADHD의 유전율이 궁금하시면,

“Heritability, ADHD” 구글링 하시고

 

괜찮은 리뷰 논문 찾아봅시다.

 

 

네이쳐 자매지이자, 정신의학의 생물학적 연구 최고권위 저널인 

Molecular Psychiatry 리뷰 논문이 바로 뜨네요.

리뷰해주신 분이 친절하게 초록에다가 74%라고 적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능 모계유전 아닙니다.

상염색체 상 수많은 유전좌위가 관여합니다.

 

남성형 탈모 격세유전 아닙니다.

 

IQ 수치는 대략 60-70%,

키는 대략 ~80%의 총 유전율로 추정됩니다.

 

유전율이 너무 중요한 컨셉인데,

우리나라 미디어에서는 잘 안다뤄지더라구요.

 

우리 이제

OOO는 유전율이 XX 퍼센트야~

라는 스마트 게놈 라이프를 삽시다..

 

궤도님 덕에 이런 장이 마련돼서 좋고,

퍼가기 적극 환영합니다.

 

 

 

4줄 요약 )))

 

 1) 유전이다 아니다 말고, 유전율(%)로 얘기하자. 

     (Fake news, 너무 많아요 in Korea.)

 

 2) 유전율은 해당 형질이 얼마나 “유전적”인지 측정한 것.

 

 3) 키 같은 형질 ㅈㄴ 복잡하지만 매우 유전율이 높다. 

    (다만 관여하는 유전자가 ㅈㄴ 많다.)

 

 4) 이상할 정도로 한국어 자료는 거의 없으니, 

      heritability of XXX로 검색하자.

댓글
정우영
22.12.02
BEST
한줄 요약 : 지능 모계유전... 탈모 격세유전...
철수형사랑해요
22.12.02
BEST
읽어도 잘 모르시겠는 분들은, 훌륭한 과학 힐링 영화 '유전' 추천 드립니다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22.12.02
BEST
흐흐흐 이과 놈들 이런다고 바보같은 질문을 멈추리라 생각하는건가..! 라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rgmq19 글쓴이
22.12.02
BEST
같은 감독님의 스웨덴 여름 인류학 힐링 영화 ‘미드소마’ 도 좋습니다.
고독하구만
22.12.02
유전의과학
레모비타C
22.12.02
그래서 키는 유전이라고~?
rgmq19 글쓴이
22.12.02
키의 유전율은 ~80% 추정
레모비타C
22.12.02
높다 ㄷㄷ
@rgmq19
정우영
22.12.02
BEST
한줄 요약 : 지능 모계유전... 탈모 격세유전...
궤착맨
22.12.02
ㅋㅋㅋㅋㅋㅋ
아드리안마르티네즈
22.12.02
메모: 발가락이 닮았다...
먹지마라탕
22.12.02
마지막으로 지능 모계유전 아닙니다.
상염색체 상 수많은 유전좌위가 관여합니다.
 남성형 탈모 격세유전 아닙니다.
...에 '아니다'가 빠졌잖슴~
미르띤이마룡
22.12.02
이런 나쁜놈
치금시
22.12.02
아니다를 빼먹으면 요약내용이 다르잖슴~ ㅋㅋㅋㅋ
rgmq19 글쓴이
22.12.02
Ah,,
에드몽
22.12.02
빌어먹을..
사촌간볼빨기
22.12.02
아니라고는 하는데.. 살면서 느끼는건데..
주변분들 천천히 겪어보면 지능은 묘하게 모계유전 맞는것 같..
rgmq19 글쓴이
22.12.02
모계유전은 오로지 미토콘드리아 DNA 뿐입니다
절대햄탈해
22.12.02
어머니의 사고방식을 따라가게 되는게 95인거 같네용
키드레이번
22.12.02
만약 "지능이 모계유전이다"라고 믿어지신다면 가능한 답변은 두 개겠네요.
1. 지능의 유전율에 있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
2. 흔히 우리가 말하는 지능은 유전적 요소가 아니거나 관련이 적다.
민지와쪄여뿌우
22.12.02
그러네요 일반적으로? 어머니랑 어린시절 보내는 시간이 많다 보니 어머니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아서 그럴 수 있을것같아요
@절대햄탈해
하깨팔이
22.12.02
저희가 유전이라고 생각하는 것들 중 대부분은 유전보다는 부모님의 성장환경이나 교육 방식, 지식 수준에 영향을 받은 게 아닐까 싶습니다. 지능이 좋더라도 가정에서 접할 수 있는 교양과 지식 수준에 영향을 많이 받을 테니까요. 특히 교육의 접근성이 한정된 시대일수록 그 차이가 더 크지 않나 싶네요. 그렇다고 온라인 시대에 그 격차가 줄어들었냐 하면 오히려 도움되지 않는 지식과 놀거리가 범람하는 시대라 변별력 있는 교육 환경이 더 중요해진 것 같기도 하구요. 공교육이 그 격차를 조금이라도 매워주길 바랄 수밖에..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22.12.02
BEST
흐흐흐 이과 놈들 이런다고 바보같은 질문을 멈추리라 생각하는건가..! 라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장강김
22.12.02
지능은 무엇보다 후천적 요인이 정말 큰 것 같아요. 특히 주변 환경
데꺼드케인
22.12.02
좋은글
침댕이
22.12.02
와 너무 똑똑하시다 아이디부터 뭔가 학문적이심…
rgmq19 글쓴이
22.12.02
아무거나 타이핑해서 만든 닉입니다,,
침댕이
22.12.02
헉 그 유명한 인싸들이 아이디 만드는법 ㄷㄷ
@rgmq19
야스왕야추킹
22.12.02
과학추
첫사랑케이스보유자
22.12.02
누렁맨
22.12.02
브금땜에 춤추느라 읽기 힘들었잔슴~
할수이떠
22.12.02
이 게놈의 자식! (쓰담쓰담)
침하하전문눈팅팀
22.12.02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69980773576-koj1q3pyxck.jpg
위험한남자이흥건
22.12.02
z7 or z4 확인하라는건 어떤걸 확인하는건가요??
rgmq19 글쓴이
22.12.02
저 아래 깃허브 링크 타고 가보시면 h2 sig 란이 z7, z4인거만 필터해서 보심 됩니다.
위험한남자이흥건
22.12.02
답 감사합니다. 링크는 안눌러보았는데 ㅎㅎ,, 눌러보니 설명이 있네요. z7 z4가 아니면 신뢰도가 낮은 것인가보군요.
@rgmq19
벗방스트리머주호민
22.12.02
안녕하세요 문과입니다 켄드릭 라마형님의 dna만 듣고 꺼지겠습니다
철수형사랑해요
22.12.02
BEST
읽어도 잘 모르시겠는 분들은, 훌륭한 과학 힐링 영화 '유전' 추천 드립니다
쓸만한구쭈
22.12.02
영화 본지 오래 됐는데 진짜 아직도 먹먹하고 감동이 가시지 않습니다. 어머니의 사랑의 위대함
rgmq19 글쓴이
22.12.02
BEST
같은 감독님의 스웨덴 여름 인류학 힐링 영화 ‘미드소마’ 도 좋습니다.
절대햄탈해
22.12.02
진짜 개나뻥
원조민수
22.12.02
이렇게 긴글 올려도 되나요?
키타키타키타
22.12.02
iq, 키, adhd 다 생각보다 유전율이 꽤 높구나
막연히 생각만 하던걸 과학적인 수치로 보니 뭔가 씁쓸하네요
IC2W
22.12.02
ADHD의 절반 가량이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yeezy
22.12.02
나 완전 알았어!!
삑꽷츢
22.12.02
그.. 길어서 못 읽겠는데 그래서 유전인가요?
잘알려드립니다
22.12.02
그럼 이제 후생유전학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rgmq19 글쓴이
22.12.04
후성유전학 재밌죠. 대충 2차적인 놈들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대표적으로 DNA의 2차 가공 (메틸화), DNA를 잡아주고 전사-번역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구조물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 3차원상 DNA의 엮임과 접힘, DNA 접근성 뭐 이런 주제들이 있습니다.
rgmq19 글쓴이
22.12.04
다만, 이게 무슨 유전학 만큼의 강력한 역할을 한다거나, 혹은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을 가능케한다거나 요런 주장은 대개 과대포장 된 경우가 많긴합니다.
잘알려드립니다
22.12.04
설명은 짧으나 흥미로우니 2 궤하하 드립니다.
@rgmq19
rgmq19 글쓴이
22.12.04
대충 짧게 이야기하면, 단백질을 특정 설계도대로 생산해내고 (DNA->mRNA->단백질) 그 설계도면이 유전되며, 설계도면의 세대에 따른 변화가 진화를 이끌어낸다는 것이 유전학의 핵심이라면, 후성유전학의 경우 그 생산파이프라인을 2차적으로 조절하는 다양한 자회사들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잘알려드립니다
누리할대
22.12.02
우리나라는 유전국가인가요?
미르띤이마룡
22.12.02
한줄요약: 유전말고 여러가지 관여하는 요소가 많기 때문에 유전인지는 확률로만 알 수 있다.
대마맛쿠키
22.12.02
역싀 Kendrick larmar네요~ 잘듣고갑니다~
에버튼
22.12.02
4줄요약추~~
깨비돌돌말아조
22.12.02
우울은 유전율이 꽤 높네요 우리 부모님 안우울하셨으면 좋겠다~~
꿀떡꿀떡꿀주먹
22.12.02
유전민수야 고맙다~
펭귄왕
22.12.02
지식이 늘었다!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69982975737-9f6odnphddh.gif
단추에요
22.12.02
쿼카인
22.12.02
작성자 화나게 하기) 내 경험상 공부는 유전이 맞음 내친구도 엄마가 서울대나와서 공부잘하더라
1 2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사령부 여러분 가시기 전에 이거 하나만 알려주세요 1
궤도
게시판
·
조회수 4026
·
24.03.18
이 게시판은 곧 이벤트호라이즌으로?
궤도
성이름
·
조회수 1345
·
24.03.18
(초초스압) 궤도사령부에 쏘아 올리는 마지막 불꽃: 짤털 3
궤도
배추살땐무도사
·
조회수 1571
·
24.03.17
마지막 질문이 있습니다. 1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1541
·
24.03.17
테이저건 1
궤도
휴지통
·
조회수 502
·
24.03.17
우주 관련 여러가지 망상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1
질문
마약상
·
조회수 700
·
24.03.17
혹시나 길을 잃어버린 당신께 100
궤도
궤도
·
조회수 18897
·
24.03.17
스포주의) 키링과 함께 파묘 보고왔습니다 9
궤도
야이신짱구야
·
조회수 1328
·
24.03.16
궤도민수 vs 애굽민수 3
궤도
내친구라이카
·
조회수 885
·
24.03.16
궤도님 태블렛 바꾸신거같네요?? 4
궤도
애굽궤도
·
조회수 1027
·
24.03.15
안될과학(항성님)과 함께하는 스타쉽3차 중계영상(편집본)
궤도
무로돌아감
·
조회수 417
·
24.03.15
궤도님 목격 썰 4
궤도
정사민수
·
조회수 937
·
24.03.15
가설도 과학계에서 주류이론이라고 말할수 있나요? 4
질문
kjnnn0
·
조회수 647
·
24.03.15
쌍둥이 역설 이해가 안돼요 도와주세요 2
질문
총호사마의
·
조회수 722
·
24.03.15
안될과학과 함께하는 '스타쉽' 3차 발사 생중계 2
정보
무로돌아감
·
조회수 709
·
24.03.14
궤도님 소식 이제 어디서듣죠 9
궤도
궤줌마
·
조회수 1760
·
24.03.14
아인슈타인 생일카페 4
궤도
나는야물개다
·
조회수 1133
·
24.03.14
무한궤도 1
궤도
내마음깊은곳의너
·
조회수 531
·
24.03.14
체르멜로 정리와 바둑AI 미래?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97
·
24.03.14
이번 팝업에서 1
궤도
Savemylife
·
조회수 462
·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