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속을 배제한 하드SF 기반 소설? 다중 저작 온라인 SF 세계관도 있더군요
1
23.04.24
·
조회 367
요즘 한국에 좀 소개되는 SCP재단 시리즈처럼, 일종의 다중 저작 SF 소설 세계관인데
팬픽의 모임 같은 것인데 기존 SF 소설류와 좀 차이가 나는 점은 상당히 하드한(과학적으로 좀 엄격한) SF 기반으로 설정을 하는 것 같아서 흥미롭습니다
예를 들면 초광속 기술의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성계를 개척하는 문명들이 나옵니다
또 다들 들어본 다이슨 스피어, 또는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에서 사는 종족, 또는 대부분이 정보체로 데이터 세계속으로 들어가서 사는 종족 등 다양한 컨셉이 나오는데
나름 재밌더라구요
우주가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반드시 광속을 넘어서야만 유의미한 우주 개척 문명이 존재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꼭 그런 관점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물론 기껏해야 은하 내의 개척 위주인 듯 합니다. 은하 간의 이동은 초광속 없이는 현실성이 너무 떨어져서)
SF 과학 좋아하시는 분들 심심하면 재밌으실 듯
https://namu.wiki/w/Orion's%20Arm
국내는 SF갤러리 공지글에 번역하는 분들이 있더라구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cifi&page=4&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head=20
댓글
인턴사원
23.04.24
이 세계관의 설정과 같이 하드한 SF를 기반으로 고려하면 고도로 발달한 문명이 많아도 충분히 외계인이 지구를 찾아오거나 접촉하지 않았다는 것도 설명이 됩니다. 우리 은하계에 여러 개의 극도로 발달한 문명이 있어도 빛을 초월하는 수단만 없다면 접촉은 반드시 긴 세월이 걸리는 설정 이네요. 기본적으로 대체로 수백만년 이상의 단위를 최소로 문명이 존속해야 이웃 문명과 교류가 가능한 수준의 진출과 역량이 되는 듯 해요.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23.04.24
생각해 보면 인간의 문명은 엄청시리 빨리 발전한 거네요 흐흐흐
인턴사원
23.04.24
저 세계관에서 인간의 문명이 특별히 더 빠르게 발전한다는 얘기는 없더라구요. 특이점이 오면서 빨라지는 건 맞는데 지성체 문명들은 대체로 비슷한 시기를 겪는 것 같습니다. 또 특이점이 한 번이 아니고 몇 가지 계기로 몇 단계에 걸쳐 나눠져 있는 느낌 입니다. 재밌는 건 팬픽이지만 AI, 자동화 단계에서 통제를 못하고 자신들의 발명품에게 잡아먹히거나 반란에 의해 망해버리는 문명이나 종족이 꽤 많이 나오더라구요. 꼭 우리 단계의 기술이 아니라 다항성계 종족이 된 이후에도 어떤 적이나 이슈를 만나서 일종의 자동화 체계를 만들고 나서 그들에 의해 창조자까지 청소당하는 케이스도..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도그호스트
23.04.25
디씨에 sf 마갤이 있을거란걸 왜 생각을 못 했을까요... 한번 가봐야겠네요. 디씨 특유의 저질성이 많다면 튕겨져 나오겠지만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마이크로소프트, 핵융합 회사 헬리온과 전력 구매 계약 체결
4
안될과학 뱅 온 이집트! 부처핸썸도 이집트가 최초?!(한국이직트학연구소 곽민수 소장)[안될과학 랩미팅]
5
나 혼자 신나서 써보는 헛간과 사다리 역설 (사다리/창고 역설)
4
아니 이게 뭐랍니까? 보자마자 신청했어요 ㅋㅋ
6
궤도침하!
14
EPFL, 쥐의 뇌 활동을 비디오로 재구성해주는 AI 도구 개발
1
한국 토종 여우를 복원시킨 건 개장수다?
4
우리가 아는 쓰나미와 실제 쓰나미
3
주변물질 빨아들이며 만들어지는 '블랙홀 부착원반' 최초 포착
1
[장문] 엔트로피를 느끼는 방법
9
현재글
초광속을 배제한 하드SF 기반 소설? 다중 저작 온라인 SF 세계관도 있더군요
4
오픈AI, 휴머노이드에 챗GPT 통합 작업 진행
X를 눌러 기다리시오 - 레데리2 관련 논문 기사
11
관측 가능 우주의 지름 930억 광년, 그럼 빅뱅 우주 전체의 크기는?
3
골도슨 멀웨어 안드로이드 앱 대량 해킹
5
일론 머스크도 완전 '과학'인데요?!
7
4월 14일
안드로이드 감수성이 결여된 방장을 위한 명강
1
중력장
2
한국인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