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가속도에 대한 질문
1
23.04.18
·
조회 581
진공에서 깃털과 쇠공이 똑같이 떨어지는 이유는,
단순히 공기저항만 생각하다가 “이해했어” 하고 끝이 나기 마련인데,
중력 또한 하나의 힘으로 생각하면 의문점이 하나 생깁니다.
무거운 물체일 수록 움직이기 힘듭니다.
중력 또한 마찬가지일텐데, 무거운 물체일 수록 떨어지는 속도가 느려져야 합니다.
근데 가벼운 물체와 같은 속도로 떨어지는 이유는, 무거운 물체일 수록 작용하는 중력의 힘도 비례해서 커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물체의 무게와 관계없이 똑같이 떨어지는 이유는,
“우연히” 물체가 해당 속도로 떨어지는데 필요한 힘이 중력의 힘과 일치하기 때문인가요?
댓글
정수론민수
23.04.18
우연히 라기보단... 결국 뉴턴의 제 2법칙 F = ma 때문이죠. 정지해 있는 물체가 같은 속도로 떨어지기 위해서는 가속도가 같아야 하는데, 가속도 a는 F/m지요. 힘에 해당하는 F는 중력인데, 중력은 F = mg이기 때문에, 결국 F/m = mg/m = g입니다. 즉 우연히 라기보단, 힘과 가속도의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같습니다.
오즈마스터
23.04.18
감사합니다~
그렇구나~ 하고 생각하다가 다시 의문이...
F=ma 여기서 a 는 중력가속도.
그렇다면 m 이 높을 수록 F 가 커지니까
역시 질량이 클수록 작용하는 힘이 커져야 하는거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작용하는 힘이 크다면? 더 빨리 떨어져야???
정수론민수
23.04.18
질량이 클수록 받는 중력이 커지지만, 또 다시 정지상태의 물체를 움직이는데는 무거울수록 더 큰 힘이 필요하죠.
@오즈마스터
시카고노동자
23.04.18
F = GmM/R^2
a = F/m = GM/R^2
G만유인력 상수 M 지구의 질량 R 지구 중심까지의 거리 이므로 지표면에서 모두 상수입니다.
근데 실제로 공기저항까지 고려하면 속도는 달라집니다 깃털은 실제로 공보다 늦게 떨어지니까요
궤도
23.04.18
수식이 어렵지만, 수식으로 이해하는 편이 가장 좋습니다 :)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23.04.18
중력 : 미안하지만 나도 어쩔 수 없잖슴~
비센샤프트
23.04.18
작용하는 힘이 커지는 것은 맞지만, 힘이 커진다고 속도가 빨라지진 않습니당(무거운물체를 가벼운물체가 떨어지는 속도랑 똑같이 만들려면 더 쎄게 당겨야하기 때문에)
이거를 수식을 F=mg 로 이해하면 가끔 헷갈리는데, F/m=g 로 생각해보면 오히려 이해가 가더라구요.(=무게에 상관없이 중력가속도는 g로 같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 우연히 힘이 일치했다기보단, 그런 힘을 중력이라고 정의했다고 생각하는게 낫지않을까요. 과학보다는 자연이 먼저니깐!
비스크
23.04.18
저는 이렇게 쓰니까 이해가 되더라고요.
F=ma니까 어떤 물체가 받는 가속도는 받는 힘 / 무게 - a=F/m
떨어질 때 F는 중력이니까 중력상수*(지구무게x떨어질 물체 무게)/거리제곱
a = 중력상수*(지구무게x떨어질 물체 무게)/거리제곱 / 떨어질 물체 무게 = 중력상수*(지구무게)/거리제곱
따라서 떨어질 때 물체 자체의 무게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여기서 거리도 대강 정해서 구한 값이 흔히 말하는 지구의 중력가속도 9.8 m/s²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현재글
중력가속도에 대한 질문
9
궤도님이 연애의 과학에서 연락을 안 하는 게 상대의 행복이라면
8
인수가 화나면?
3
혹시 여기 영어도 잘하나요?
6
침투부 과학특강추천
2
스페이스x 발사 링크 입니다.
3
토성은 유기물인가요?
2
식물은 숫자를 카운트할 수 있다?!
2
궤도님 오시는 날
2
정수 전체에서 짝수를 뽑을 확률이 뭔가요
7
교재 집필하다가 발견한 궤도님의 글
1
사진 찍다가 흔들릴 때 찍히는 사람도 같은 방향과 속력으로 움직이면 사진이 정상적으로 찍힐까?
7
뇌절을 마시는 새
1
맑은 눈의 복어
7
아이브X궤도 합방기원 1일차 숨참습니다 흡
2
오늘 21시 스페이스X 스타십 완전체 첫 궤도 시험비행
2
진공에 관하여질문
7
식물이 기억을 하는게 가능한가요?
3
방금 MBC 라디오 잠깐만 코너에 궤도님 나오셨네요ㅋㅋㅋ
4
쉽게 이해하는 우주물리학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