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이 세상이 사실은 외계인이 만든 latent vector space라면?

그리피스
23.04.12
·
조회 514

안녕하세요. 과학과 공학에 관심이 부쩍 생긴 문과생입니다.

최근에 ChatGPT 열풍에 인공지능에 대해서 이것저것 탐독을 하고 있는데요. 

딥러닝 생성 AI(Generative AI)에 있어서 결국 핵심은 세상 모든 데이터를 vector로 만들어서 패턴을 찾고 벡터를 조작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 같더라고요. 그 과정에서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줄여서 파악하는, ‘차원축소’라는 인공지능 비지도학습의 역량이 뽐내어 지는 거고요.

 

그래서 불현듯 피어난 상상입니다.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당연히 어렵겠지만, 만약에 이 세상이 모든 것이 벡터로 이뤄진 것이라고 한다고 가정해보면요.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보는 것처럼, 영화적 상상력으로는 사건의 지평선 너머의 세상이 5차원 이상의 공간으로 이뤄졌더라고요. 

그 세상은 현대 물리법칙으로는 “무너진 상태”라고 표현을 하던데, 제 생각에는 아직 우리가 그 세상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너졌다고 말하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 요지는, 특이점을 넘어 간 세상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고차원 영역인데, 블랙홀이라는 일종의 ‘인코더’를 통해서 저차원으로 변환되는 게 아닐까 하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3차원 세상은 저차원으로 축소된 latent vector space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 말해, 블랙홀 특이점 안쪽의 세상으로부터 블랙홀이라는 인코더를 통해 차원축소가 된 공간에서 관측가능한 우주가 저차원으로 mapping된 게 아닐까요? 사실은 우리가 보고 있는 별 하나하나가 이미지의 픽셀과 같은 작은 데이터고, 외계인과 같은 어떤 초월자이자 “엔지니어”가 만들어낸 세상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관련해서, 데이터 사이언스에서 쓰이는 엔트로피와 물리학에서의 엔트로피는 서로 연관을 지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ChatGPT에 물어보니, ChatGPT조차 이건 흥미롭다고 답변은 하는데, 그 이상 재밌는 상상력이 가미되지는 않아서 이렇게 궤도님께 말씀 여쭙습니다.

어줍잖은 제 공상을 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항상 존경합니다. 궤도님. 아 그리고 침착맨도 고마워요.

댓글
시카고노동자
23.04.12
한 가지 꽃혀서 말씀 그리자면
딥러닝 등에서 쓰이는 엔트로피라는 말은
정보 이론에서 온 거고
열역학의 엔트로피랑 같은게 맞습니다
맥스웰 데몬 같이 재밌는 이야기가 무궁무진 하지만 저는 전문가는 아니고 (그래서 재밌을 지도..?) 여기서 줄이겠습니다
그리피스 글쓴이
23.04.12
오오 많이 아시는 분 같네요! 댓글 고맙습니다.
비센샤프트
23.04.14
결국엔 지적설계설의 한 갈래인가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스타크래프트 립버전 1.16.1 다운로드 2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1931
·
23.04.12
과학의 눈으로 본 넷플릭스 피지컬100 (with.궤도)
궤도
왕초왕건이병건
·
조회수 600
·
23.04.12
4/21이 무슨 날인지 몰랐는데
궤도
이스마일
·
조회수 546
·
23.04.12
현재글 이 세상이 사실은 외계인이 만든 latent vector space라면? 3
궤도
그리피스
·
조회수 515
·
23.04.12
칼 세이건의 책으로 선서를 한 나사 직원 3
궤도
꽁치가처넌
·
조회수 695
·
23.04.12
티즐을 마시는 새
궤도
궤하궤하
·
조회수 735
·
23.04.12
머리카락은 모낭 내 세포가 죽어서 생긴다는데 2
궤도
오목오목
·
조회수 549
·
23.04.12
안될과학 랩미팅 라이브에서 침착맨 암살예고 1
궤도
김떡봉
·
조회수 968
·
23.04.12
안한다고 말하면.. 12
궤도
빨간망토율무차차
·
조회수 665
·
23.04.11
식물도 기억을 한다? 8
궤도
수갑차는소리는챠캅
·
조회수 584
·
23.04.11
누리호 3차 발사 안내 3
궤도
개미지욱
·
조회수 733
·
23.04.11
침착맨 유니버스가... 27
궤도
뉴건담
·
조회수 10342
·
23.04.11
와 당첨! 1
궤도
sjgvcx
·
조회수 720
·
23.04.11
빛의 속도를 넘길 수 있는 방법 12
궤도
방귀스
·
조회수 816
·
23.04.10
[속보] 4월 21일 궤도님 침투부 출연 예정! 31
궤도
프로입털러
·
조회수 8767
·
23.04.10
에이전트H 님과 함께하신 방송 다들 보셨나요? 3
궤도
궤도는사랑입니다
·
조회수 878
·
23.04.10
눈 양쪽 색감이 다릅니다 1
궤도
일론머스크3세
·
조회수 724
·
23.04.09
공대생이라서 AI로 음악 전시를 한 건에 대하여 (스압) 11
궤도
도우원결의
·
조회수 873
·
23.04.09
안될과학 게스트 추천해봅니다. 2
궤도
이만수
·
조회수 703
·
23.04.09
단호하네 GPT 3
궤도
맹수침드로
·
조회수 714
·
2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