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있습니다!!
2
23.03.11
·
조회 454
궤도님 안녕하세요. 저는 궤도님의 방송을 즐겨보는 문과생입니다.
궤도님께서 보통 과학에 대해 설명하실 때 자연선택의 원리를 많이 가져오시는데, 듣다보니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생존에 적합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살아남아 지금의 생물종을 이룬 거라면, 인간에게 있는 양심, 도덕심은 생존과 번식에 어떤 유익한 영향을 미친 걸까요? 혹은 이전에는 양심이 전혀 없었는데 인간이 진화를 거듭하고 드디어 살만해지니 후천적으로•사회를 이루고 살기 위해 생겨난 걸까요?
솔직히 직관적으로, 양심 있는 인류보다는 양심 없는 인류가 더 상대를 누르기에 유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양심과 도덕심은 단순히 무리를 지키고 규칙에 따라 사는 걸 넘은, 더 선하고 고차원적인 영역입니다. 예를 들면 타인을 해치면 마음이 불편해진다던가 나와 상관없는 사람을 위해서 희생을 감수한다던가요..)
도덕과 양심은 워낙에 철학적이고 복잡한 개념이라 이를 정의하는 것 부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지만, 궤도님이라면 명쾌하게 대답해주시겠죠?!??
항상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고 본업도 화이팅입니다?
댓글
무명소졸
23.03.11
그 따라쟁이 전략이라고 있는데 우호행동/배신행동이 둘만 선팩지가 있다고 해볼게요? 양측 다우호행동을 하면 10 점을 먹습니다 한쪽만 우호행동을 하면 7점을 배신한쪽이 얻습니다 둘 다 배신행동을 하면 둘 다 0점을 얻습니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던 전략은 처음에는 우호행동, 그후 상대가 마지막으로 냈던 행동을 따라하는겁니다. 명백하게 정의로운 성향이죠? 인간은 지능이 있으니까 이런 전략을 택하는 쪽이 생존에 유리했고 우호행동을 많이 보이는거죠(우호행동만 하는 전략과 따라쟁이전략이 서로 만났을 때 서로를 구분 불가능)
무명소졸
23.03.11
또, 같은 무리 내에서는 유전적 부동효과로 자신의 DNA를 어느 정도 공유하는 개체들이 많습니다. 평균 1퍼센트만 내 유전자를 공유한다고 할게요.(부모자식간 유전자공유가 50퍼)그럼 개체 백명이상을 살리기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선택을 하는 개체는 유전적으로 이득을 본 것이겠죠? 이 현상이 아주 큰 무리에도 적용될수있는거겠죠
gexoo4
23.03.11
오.. 그러고보니 이기적 유전자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본 것 같네요. 케이비 이론이라던가..
다만 인간의 양심은 우호행동으로 설명하기엔 조금 더 복잡미묘하지 않나요? 학습된 우호행동이 인간의 지능으로 인해 발전되어 도덕심이 된 걸까요?
@무명소졸
무명소졸
23.03.11
저는 인간의 양심이란게 별로 복잡하지 않다고생각하는데.... 개가 사람구하는게 더 복잡한 양심이고 돌고래가 사람구하는게 더 복잡한 양심같아요
@gexoo4
IC2W
23.03.11
이기적 유전자를 이미 읽어보셨다면 에드워드 윌슨의 지구의 정복자를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도킨스와는 다른 방향에서 인간의 진사회성을 다루는 책입니다.
시카고노동자
23.03.11
인간의 심리와 사화 현상을 진화론적으로 설명하는건 분명 흥미롭고 재밌는 주제입니다만
문제는 인간의 심리를 진화생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흔히 진화심리학이라고 불리는 것은
별로 과학적이지가 않습니다
생물의 심리는 화석 자료가 남지 않으니까요
증거 없이 그냥 썰을 풀고 검증할 방법이 별로 없는데
진화는 기본적으로 무작위 요소가 강해서 엄청 큰 근거가 되어주지 않습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이식된 장기의 노화
7
np문제는 지수시간으로만 풀이가 가능한가요?
9
공포 영화 볼 때마다 웃음이 나옵니다 어쩌죠?
7
안녕하세요 궤도님 제가 갑자기 든 생각인데요
8
교수님께 여쭤보기엔 너무 창피해서 익명을 빌려 여러분들께 여쭤봅니다
7
(질문) 카니보어 식단을 아시나요?
7
체신머리없는 닉네임에 수준급 지식글이 점철되는 게시판… 이거 귀하네요.
5
우주팽창률과 지구, 태양 사이의 거리
3
지구와 다른 중력에서 임신 후 출산하면 어떻게 될까요?
3
에스키모에게 냉장고 파는 방법
8
사람은 무손실 압축 음질을 제대로 즐길수 있나요
16
제가 !새로운 별! 을 발견하면 제 마음대로 이름 붙일 수 있나요?
6
냄비를 설거지한 후에 한번 끓여야 할까요?
19
챗gpt가 까마귀와 까치는 교배가 안된다고 하네요
6
🎧노이즈캔슬링🎧은 어떤 원리인가요?
12
로봇의 3원칙같은 전제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논의된 적이 있나요?
2
횐님덜 제가 광학 공부를 급하게 해야하거덩여
3
뉴진스 민지가 궁금해하는거
12
체육과 지구과학의 연관성?
7
현재글
질문있습니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