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과 식품으로 섭취하는 단백질은 다른 건가요?
23.03.11
·
조회 368
세포 내에서 리보솜이 단백질을 합성하는 기능을 한다는데, 이 때의 단백질은 고기 같은 식품을 먹어서 몸에 흡수되는 단백질과는 다른 것인가요?
식품으로 섭취한 단백질은 소화 후 어떻게 이용되는지도 궁금합니다.
댓글
침덩이덕쿵덕
23.03.11
섭취한 단백질은 소화효소로 분해해서 아미노산이 되구요 분해된 아미노산을 조합해서 다시 몸에 필요한 단백질로 만들어용
와장창을열어
23.03.11
아미노산을 rna 정보에 따라서 리보솜이 단백질을 합성하는 건가요? 그렇게 합성된 단백질을 여러 군데에서 이용하는 거고요?
침덩이덕쿵덕
23.03.11
넵 mRNA 염기서열따라서 아미노산 순서가 정해져요 그 아미노산들이 결합결합 쭈루룩 이어지게되면 큰 덩어리의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몸의 이곳저곳에서 이용해용
@와장창을열어
와장창을열어
23.03.11
고맙습니다. 궁금한 걸 해결해서 기분이 좋네요
@침덩이덕쿵덕
카스가이치반
23.03.11
단백질은 몸에 바로 흡수되기 어려운 고분자 물질입니다. 새우잡이 그물은 새우가 통과할 수 있게 만들었는데 거기에 고래를 통과시킬 수는 없으니까요. 그래서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합니다. 흡수한 아미노산은 종류가 20가지 정도 되는데, 리보솜이 유전정보에 맞는 아미노산을 순서대로 데려와서 결합하면 다시 단백질이 됩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현재글
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과 식품으로 섭취하는 단백질은 다른 건가요?
5
gps를 사용하는 기기가 많아져도 위성이 그 정보를 다 처리할 수 있나요?
5
궤도님 전정기관과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5
또 이상한 상상..이게 가능한가요(약,생명관련)
3
*약스포* 프로젝트 헤일메리 읽다가 생긴 궁금증
1
해외 시차와 몸의 변화?
8
안될과학으로 초등학교 수업하기...
10
고체 공유결합 물질에서 끄트머리에 있는 애들의 결합 상태는?
9
피부과 각종 주사들 효능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나요??
2
궤도님 어려운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9
전기 자동차는 유명한데 왜 전기 오토바이는 별로 유명하지않나요?
10
다트우주선의 소행성 충돌 후기 뉴스를 보며 생긴 의문점
4
구리 섬유의 항균성에 대해 질문
5
시간에도 최소단위가 있나요?
6
수학은 발견인가요 발명인가요
13
핵융합이 상용화된다면 쓰레기섬이 줄어들 수 있을까요?
5
휴지를 유압프레스로 누르면 폭발하는 이유
5
블랙홀의 과학 보는데 도저히 모르겠는게 있어용
7
E=mc² rest energy에대해서
3
AI가 창의성을 지배할수 있을까요?
14